ㅣ ㅏ 🌻모음(중성) 단어 2,507개
-
시창 (始創) : 어떤 사상이나 학설 따위를 처음으로 시작하거나 내세움.
🌏 始: 비로소 시 創: 비롯할 창 상처 창 다칠 창 벨 창 부스럼 창 처음 창 창작할 창 건물이나구조물을만들 창 늘릴 창 징계할 창 -
미란 (Miran) : 중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동남부에 있는 도시 유적. 1906년에 영국의 고고학자 스타인(Stein, M. A.)이 발견하였다. 3세기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사원의 폐허와 8세기경의 성(城)이 남아 있다.
-
신탄 (薪炭) : 땔나무와 숯, 또는 석탄 따위를 이르는 말.
🌏 薪: 땔나무 신 炭: 숯 탄 -
비망 (備忘) : 잊지 아니하기 위한 준비.
🌏 備: 갖출 비 忘: 잊을 망 -
칭탁 (稱託) : 사정이 어떠하다고 핑계를 댐.
🌏 稱: 일컬을 칭 託: 부탁할 탁 -
신악 (神岳) : 신령스러운 기운이 서린 산.
🌏 神: 귀신 신 岳: 큰산 악 -
진상 (進上) : 1 진귀한 물품이나 지방의 토산물 따위를 임금이나 고관 따위에게 바침. 2 겉보기에 허름하고 질이 나쁜 물건을 속되게 이르는 말.
🌏 進: 나아갈 진 上: 위 상 -
실함 (실函) : 여러 가지 실테나 실패를 넣어 두는 자그마한 함.
🌏 函: 함 함 -
미발 (未發) : 1 아직 떠나지 않음. 2 어떤 감정 따위가 아직 생기지 않음. 3 일이 아직 일어나지 않음. ... (총 4개의 의미)
🌏 未: 아닐 미 發: 필 발 -
지탑 (支塔) : 현수교(懸垂橋)에서 쇠사슬이나 밧줄 따위를 한곳에 고정하는 시설.
🌏 支: 지탱할 지 塔: 탑 탑 -
인상 (印象) : 어떤 대상에 대하여 마음속에 새겨지는 느낌.
🌏 印: 도장 인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
비학 (非學) : 학문을 하지 않음. 또는 학문이 없음.
🌏 非: 아닐 비 學: 배울 학 -
일하 (一夏) : 승려들이 음력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일정한 곳에 머물며 수도(修道)하는 일.
🌏 一: 하나 일 夏: 여름 하 -
기마 (騎馬) : 1 말을 탐. 2 타고 다니는 데 쓰는 말.
🌏 騎: 말탈 기 馬: 말 마 -
신하 (臣下) : 임금을 섬기어 벼슬하는 사람.
🌏 臣: 신하 신 下: 아래 하 -
침란 (沈亂) : ‘침란하다’의 어근. (침란하다: 주색에 빠져 문란하다.)
🌏 沈: 잠길 침 亂: 어지러울 란 -
기자 (棋子/碁子) : 바둑을 둘 때에 쓰는 둥글납작한 돌. 흰 돌과 검은 돌의 두 가지이며 상수(上手)가 흰 돌을 차지한다.
🌏 棋: 바둑 기 子: 아들 자 碁: 바둑 기 子: 아들 자 -
치상 (治喪) : 초상을 치름.
🌏 治: 다스릴 치 喪: 죽을 상 -
미타 (彌陀) : 서방 정토에 있는 부처. 대승 불교 정토교의 중심을 이루는 부처로, 수행 중에 모든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대원(大願)을 품고 성불하여 극락에서 교화하고 있으며, 이 부처를 염하면 죽은 뒤에 극락에 간다고 한다.
🌏 彌: 두루 미 陀: 비탈질 타 -
인작 (人作) : 사람이 만듦. 또는 그런 물건.
🌏 人: 사람 인 作: 지을 작 -
신단 (神壇) : 신령에게 제사 지내는 단.
🌏 神: 귀신 신 壇: 단 단 -
익아 (溺兒) : 옛날 중국에서, 집안이 가난한 경우에 노동에 필요한 인원 외의 어린이를 대야의 물에 얼굴을 박아 죽이던 관습.
🌏 溺: 빠질 익 兒: 아이 아 -
진달 (進達) : 1 말이나 편지를 받아서 올림. 2 관하(管下)의 공문 서류를 상급 관청으로 올려 보냄.
🌏 進: 나아갈 진 達: 통할 달 -
징가 (癥瘕) : 배 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 주로 여자에게 많이 생기는데 ‘징’은 뭉쳐서 일정한 곳에 자리하여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이르고, ‘가’는 이곳저곳으로 옮겨 다니며 모양도 일정하지 않은 덩어리를 이른다.
🌏 癥: 적취 징 瘕: 뱃병 가 -
침자 (針子) : 옷 따위를 짓거나 꿰매는 데 쓰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쇠로 된 물건. 한쪽 끝에 있는 작은 구멍에 실을 꿰어서 쓴다.
🌏 針: 바늘 침 子: 아들 자 -
식담 (食痰) : 담병의 하나. 음식에 체하여 생기는데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여진다.
🌏 食: 먹을 식 痰: 가래 담 -
일강 (日講) : 1 매일마다 선생님 앞에서 배운 글이나 들은 말을 외는 일. 2 매일 강의함.
🌏 日: 날 일 講: 강론할 강 -
지다 : ‘그런 성질이 있음’ 또는 ‘그런 모양임’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
미타 (未妥) : ‘미타하다’의 어근. (미타하다: 온당하지 않다., 든든하지 못하고 미심쩍은 데가 있다.)
🌏 未: 아닐 미 妥: 온당할 타 -
피한 (皮寒) : 피부가 차갑게 되는 병증.
🌏 皮: 가죽 피 寒: 찰 한 -
신랑 (神廊) : 1 신자의 영혼에 대한 지도와 전교를 맡은 주임 신부가 상주하는 성당. 2 절에서 본존을 모신 집.
🌏 神: 귀신 신 廊: 복도 랑 -
밀사 (密査) : 비밀히 살피고 조사함.
🌏 密: 빽빽할 밀 査: 사실할 사 -
미방 (未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남(正南)에서 서로 30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안의 방향이다.
🌏 未: 아닐 미 方: 모 방 -
실가 (實價) : 에누리 없는 실제의 값.
🌏 實: 열매 실 價: 값 가 -
입사 (入仕) : 벼슬한 뒤에 처음으로 그 벼슬자리에 나아감.
🌏 入: 들 입 仕: 벼슬할 사 -
실박 (實樸) : ‘실박하다’의 어근. (실박하다: 물건의 품질이나 겉모양, 또는 사람의 옷차림 따위가 그리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고 제격에 어울리는 품이 어지간하다.)
🌏 實: 열매 실 樸: 통나무 박 -
신사 (信使) : 나라를 대표하여 일정한 사명을 띠고 외국에 파견되는 사람.
🌏 信: 믿을 신 使: 부릴 사 -
빈사 (賓師) : 예전에, 제후에게 빈객(賓客)의 대우를 받던 학자.
🌏 賓: 손 빈 師: 스승 사 -
미다 : 살이 드러날 만큼 털이 빠지다.
-
집합 (緝合) : 주워 모아서 합함.
🌏 緝: 모을 집 合: 합할 합 -
칭당 (稱當) : ‘칭당하다’의 어근. (칭당하다: 무엇에 꼭 알맞다.)
🌏 稱: 일컬을 칭 當: 마땅할 당 -
필사 (筆寫) : 베끼어 씀.
🌏 筆: 붓 필 寫: 베낄 사 -
기자 (記者) : 1 신문, 잡지, 방송 따위에 실을 기사를 취재하여 쓰거나 편집하는 사람. 2 문서의 초안을 잡는 사람.
🌏 記: 기록할 기 者: 놈 자 -
신다 : 신, 버선, 양말 따위를 발에 꿰다.
-
입탕 (入湯) : 목욕탕에 들어감. 또는 목욕을 함.
🌏 入: 들 입 湯: 끓일 탕 -
이락 (里落) :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 里: 마을 이 落: 떨어질 락 -
기자 (忌恣) : ‘기자하다’의 어근. (기자하다: 시기심이 많고 방자하다.)
🌏 忌: 꺼릴 기 恣: 방자할 자 -
신자 (信者) : 종교를 믿는 사람.
🌏 信: 믿을 신 者: 놈 자 -
입단 (入團) : 어떤 단체에 가입함.
🌏 入: 들 입 團: 둥글 단 -
비상 (非常) : 1 평범하지 아니하고 뛰어남. 2 뜻밖의 긴급한 사태. 또는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속히 내려지는 명령. 3 예사롭지 아니함. ... (총 4개의 의미)
🌏 非: 아닐 비 常: 항상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