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언 판단 (假言判斷) 🌟의미
가언 판단
:
어떤
가정이나
조건
아래에서
성립되는
판단.
‘만일
S가
P라면
Q는
R이다.’와
같은
형식으로,
전건(前件)과 후건(後件)은
인과
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가
같으면
두
각의
크기가
같다.’
따위이다.
한자어
구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가언적 판단: 어떤 가정이나 조건 아래에서 성립되는 판단. ‘만일 S가 P라면 Q는 R이다.’와 같은 형식으로, 전건(前件)과 후건(後件)은 인과 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가 같으면 두 각의 크기가 같다.’ 따위이다.
•
분류:
인문
/ 철학

假
거짓 가
총획:11
부수:人
-
법률
:
가자(假子)
가면(假免)
가체포(假逮捕)
가방면(假放免)
가차압(假差押)
가위탁(假委託)
가납세(假納稅)
가계약(假契約)
가출옥(假出獄)
가영치(假領置)
-
역사
:
가관(假官)
가주(假主)
가질(假質)
가옥(假獄)
가리(假吏)
가도(假賭)
가장(假將)
가가(假家)
가본적(假本籍)
가도조(假賭租)
-
철학
:
가언(假言)
가정(假定)
가상(假象)
가설(假說)
가언적(假言的)
작용가설(作用假說)
가정되다(假定되다)
작업가설(作業假說)
가정하다(假定하다)
가언 추론(假言推論)
-
의학
:
가사(假死)
가골(假骨)
가성문(假聲門)
가성대(假聲帶)
가관절(假關節)
가늑골(假肋骨)
가관절증(假關節症)
가성 결핵(假性結核)
가성 근시(假性近視)
가짜 결핵(假짜結核)
-
불교
:
가시(假時)
가체(假諦)
가제(假諦)
가유(假有)
가문(假門)
가명(假名)
허가(虛假)
진가(眞假)
가상(假相)
가법(假法)
言
말씀 언
총획:7
부수:言
-
언어
:
와언(訛言)
약언(約言)
방언(方言)
체언(體言)
용언(用言)
박언학(博言學)
언어사(言語史)
수식언(修飾言)
본용언(本用言)
언리학(言理學)
-
철학
:
정언(定言)
입언(立言)
언명(言明)
연언(連言)
선언(選言)
가언(假言)
가언적(假言的)
선언적(選言的)
사언교(四言敎)
정언적(定言的)
-
역사
:
언지(言地)
구언(求言)
정언(正言)
전언(典言)
언관(言官)
대언(代言)
헌언(獻言)
상언(上言)
납언(納言)
언책(言責)
-
문학
:
칠언(七言)
오언(五言)
사언(四言)
잡언(雜言)
우언(寓言)
일언제(一言題)
사언시(四言詩)
칠언율(七言律)
환언법(換言法)
칠언시(七言詩)
-
정보·통신
:
시 언어(C言語)
전언 통신(傳言通信)
형식 언어(形式言語)
공통 언어(共通言語)
인공 언어(人工言語)
정보 언어(情報言語)
산법 언어(算法言語)
기호 언어(記號言語)
로봇 언어(robot言語)
간이 언어(簡易言語)
判
판가름할 판
총획:7
부수:刀
-
법률
:
의판(擬判)
판시(判示)
전판(前判)
판례(判例)
자판(自判)
공판(公判)
재판(裁判)
판결(判決)
재판서(裁判書)
재판적(裁判籍)
-
역사
:
병판(兵判)
잡판(迊判)
소판(蘇判)
이판(吏判)
추판(秋判)
판하(判下)
제판(題判)
기판(騎判)
방판(幫判)
형판(刑判)
-
철학
:
비판(批判)
판단(判斷)
판명(判明)
판단력(判斷力)
비판하다(批判하다)
판단되다(判斷되다)
비판되다(批判되다)
비판주의(批判主義)
신비판설(新批判說)
판명하다(判明하다)
-
매체
:
전판(全判)
배판(倍判)
판형(判型/版型)
국판(菊判)
비판(B判)
삼륙판(三六判)
에이판(A判)
신서판(新書判)
삼오판(三五判)
국판지(菊判紙)
-
불교
:
판석(判釋)
판교(判敎)
사판(事判)
이판(理判)
교판(敎判)
사판중(事判중)
판도방(判道房)
이판승(理判僧)
사판승(事判僧)
최판관(崔判官)
斷
끊을 단
총획:18
부수:斤
-
철학
:
판단(判斷)
단안(斷案)
독단론(獨斷論)
독단설(獨斷說)
단언적(斷言的)
양단법(兩斷法)
판단력(判斷力)
판단되다(判斷되다)
독단주의(獨斷主義)
판단하다(判斷하다)
-
의학
:
진단(診斷)
절단술(切斷術)
각차단(脚遮斷)
단경기(斷經期)
진단서(診斷書)
단식법(斷食法)
단두술(斷頭術)
진단되다(診斷되다)
진단하다(診斷하다)
양수 진단(羊水診斷)
-
지구
:
단층(斷層)
단열(斷裂)
전단대(剪斷帶)
단층대(斷層帶)
단층호(斷層湖)
단열도(斷熱度)
정단층(正斷層)
층단층(層斷層)
활단층(活斷層)
역단층(逆斷層)
-
불교
:
단(斷)
단결(斷結)
회단(灰斷)
복단(伏斷)
지단(智斷)
단견(斷見)
하단(夏斷)
단덕(斷德)
단악(斷惡)
사의단(四意斷)
-
역사
:
감단(勘斷)
단근(斷筋)
단지(斷趾)
과단(科斷)
토단(土斷)
감단송(勘斷訟)
토단법(土斷法)
단대사(斷代史)
단근형(斷筋刑)
단발령(斷髮令)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가언 판단
:
단으로 끝나는 단어: 총 1,349개
-
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58개입니다.- 예: 단(簞), 단(丹), 단(旦), 단(單), 단(短)
-
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71개입니다.- 예: 감단, 일단, 분단, 첨단, 정단
-
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5개의 분야 중에서 음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89개입니다.- 예: 중주단, 가극단, 북장단, 악단, 장단
-
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400번 사용된 團이 최다입니다.- 예: 기단(氣團), 종단(宗團), 영단(營團), 사단(社團), 전단(戰團)
-
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59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0개입니다.- 예: 사단
-
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26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일단, 원단, 예단, 양단, 연단
-
-
가언 판단
:
판단으로 끝나는 단어: 총 76개
-
판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없음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74개입니다.- 예: 소속 판단(所屬判斷), 존재 판단(存在判斷), 부정 판단(否定判斷), 이해 판단(理解判斷), 비교 판단(比較判斷)
-
판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5개입니다.- 예: 이해 판단, 소속 판단, 연계 판단, 부정 판단, 묵색판단
-
판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분야 중에서 철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72개입니다.- 예: 판단, 이해 판단, 소속 판단, 연계 판단, 부정 판단
-
판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4 종류의 한자 중에서 76번 사용된 斷이 최다입니다.- 예: 묵색판단(墨色判斷), 판단(判斷), 소속 판단(所屬判斷), 존재 판단(存在判斷), 부정 판단(否定判斷)
-
판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5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연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예: 연접적 판단, 연계 판단, 연접 판단, 연결 판단, 연계적 판단
-
판단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9번 사용된 ㅈ이 최다입니다.- 예: 중재 판단, 지적 판단, 지각 판단, 종합 판단, 정언 판단
-
-
: 자음 ㄱㅇㅍㄷ 단어: 총 1개
-
자음 ㄱㅇㅍ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ㅓㅏㅏ 단어: 총 729개
-
모음 ㅏㅓㅏㅏ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93개입니다.- 예: 강설하다(講說하다), 삼선하다(三選하다), 상헌하다(詳讞하다), 자처하다(自處하다), 작범하다(作犯하다)
-
모음 ㅏㅓㅏㅏ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3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0개입니다.- 예: 강정하다, 사성하다, 감선하다, 작전하다, 반선하다
-
모음 ㅏㅓㅏㅏ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93 종류의 한자 중에서 27번 사용된 定이 최다입니다.- 예: 단정하다(斷定하다), 감정하다(戡定하다), 가정하다(加定하다), 감정하다(減定하다), 산정하다(算定하다)
-
모음 ㅏㅓㅏㅏ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08번 사용된 ㅅ이 최다입니다.- 예: 삼천갑자, 삼선하다, 산거하다, 사업하다, 사처하다
-
-
가언 판단
:
가로 시작하는 단어: 총 4,437개
-
가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626개입니다.- 예: 가세(加勢), 가(賈), 가(斝), 가(可), 가(加)
-
가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05개입니다.- 예: 가고시마, 가들막이, 가만있다, 가슴우리, 가감승제
-
가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4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43개입니다.- 예: 가독, 가라, 가야, 가읍, 가비
-
가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75 종류의 한자 중에서 549번 사용된 加이 최다입니다.- 예: 가세(加勢), 가류(加硫), 가획(加劃), 가야(伽倻/伽耶/加耶), 가계(加計)
-
가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30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
가언 판단
:
가언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6개
-
가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없음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개입니다.
-
가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개입니다.
-
가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분야 중에서 철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개입니다.
-
가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한자 중에서 16번 사용된 言이 최다입니다.
-
가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끝 글자 중에서 법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