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 💕시작 단어 💡책명 분야 6개
-
심양장계
(瀋陽狀啓)
:
병자호란 후 1637년부터 1644년까지 8년 동안 청나라의 선양(瀋陽)에 볼모로 가 있던 소현 세자가 본국에 보낸 장계(狀啓). 10권 10책.
🌏 瀋: 즙 심 陽: 볕 양 狀: 문서 장 啓: 열 계 -
심리적 발달의 기초
(心理的發達의基礎)
:
1921년에 독일의 심리학자인 코프카가 미국으로 이주한 뒤 쓴 심리학서. 심리 발달의 문제를 인간의 심성에 눈을 뜨는 시기의 어린아이의 행동에 따라 고찰하고 게슈탈트 이론에 입각하여 발달의 원리를 밝히려고 하였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的: 과녁 적 發: 필 발 達: 통할 달 基: 터 기 礎: 주춧돌 초 -
심양일기
(瀋陽日記)
:
병자호란으로 청나라의 볼모로 선양(瀋陽)에 가 있던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의 일기. ≪심양장계≫와 함께 당시 우리나라와 청나라의 관계를 아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 瀋: 즙 심 陽: 볕 양 日: 날 일 記: 기록할 기 -
심야 총서
(深夜叢書)
:
1942년에 프랑스에서 창간된 문예 총서. 제이 차 세계 대전 중 나치스 점령하의 파리에서 비합법적으로 출판되었다. 베르코르의 <바다의 침묵>이 첫 권이며 모리아크의 <검은 수첩> 등을 수록하였다. 전 40권.
🌏 深: 깊을 심 夜: 밤 야 叢: 모을 총 書: 글 서 -
심리록
(審理錄)
:
조선 정조 23년(1799)에 홍인호(洪仁浩)와 홍의호(洪義浩)가 쓴 판례집. 정조가 왕위에 있었던 24년 동안의 형옥(刑獄) 법안을 편집한 것이다. 32권 18책.
🌏 審: 살필 심 理: 다스릴 리 錄: 기록할 록 -
심경석의
(心經釋疑)
:
중국 송나라의 진서산(眞西山)이 ≪심경≫을 풀이한 책. 퇴계 이황이 ≪심경≫을 강의할 때 그의 문인 이덕홍, 이함형 등이 받아 적은 것을 숙종 때, 송시열, 박세채 등이 교정하여 간행하였다. 4권 1책의 인본(印本).
🌏 心: 마음 심 經: 경서 경 釋: 풀 석 疑: 의심할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