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 💕시작 단어 💡철학 분야 12개
-
심정도덕
(心情道德)
:
행위의 정(正)ㆍ부정(不正)과 선악의 기준을 행위의 결과에 두지 아니하고 행위를 결정하는 심정에 두는 사상. 칸트와 립스의 인격주의가 여기에 속한다.
🌏 心: 마음 심 情: 뜻 정 道: 길 도 德: 덕 덕 -
심적 현상
(心的現象)
:
의식의 현상.
🌏 心: 마음 심 的: 과녁 적 現: 나타날 현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
심리적 쾌락주의
(心理的快樂主義)
:
인간이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심리적 사실로서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이며 또한 인생의 최고 목적이라는 학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的: 과녁 적 快: 쾌할 쾌 樂: 즐길 락 主: 주인 주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
심리설
(心理說)
:
철학을 포함하는 일반 정신과학의 여러 문제를 인간의 심리적ㆍ주관적 과정으로 환원하여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려는 경향. 따라서 가치, 논리, 규범 따위는 그 자체로서의 존립을 인정하지 않는다. 상대주의, 경험론, 생의 철학 따위가 이에 속한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說: 말씀 설 -
심미학
(審美學)
:
자연이나 인생 및 예술 따위에 담긴 미의 본질과 구조를 해명하는 학문.
🌏 審: 살필 심 美: 아름다울 미 學: 배울 학 -
심리적 쾌락설
(心理的快樂說)
:
인간이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심리적 사실로서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이며 또한 인생의 최고 목적이라는 학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的: 과녁 적 快: 쾌할 쾌 樂: 즐길 락 說: 말씀 설 -
심리주의
(心理主義)
:
철학을 포함하는 일반 정신과학의 여러 문제를 인간의 심리적ㆍ주관적 과정으로 환원하여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려는 경향. 따라서 가치, 논리, 규범 따위는 그 자체로서의 존립을 인정하지 않는다. 상대주의, 경험론, 생의 철학 따위가 이에 속한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主: 주인 주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
심리 철학
(心理哲學)
:
정신의 본질 및 영혼 따위의 심리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철학의 한 분야이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심술도덕
(心術道德)
:
행위의 정(正)ㆍ부정(不正)과 선악의 기준을 행위의 결과에 두지 아니하고 행위를 결정하는 심정에 두는 사상. 칸트와 립스의 인격주의가 여기에 속한다.
🌏 心: 마음 심 術: 꾀 술 道: 길 도 德: 덕 덕 -
심리학적 미학
(心理學的美學)
:
미를 하나의 경험적 사실로 보고 의식의 경험적 법칙성으로 설명하려는 미학.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學: 배울 학 的: 과녁 적 美: 아름다울 미 學: 배울 학 -
심신 평행론
(心身平行論)
:
마음과 물질, 정신과 육체를 각각 독립된 존재로 보고 양자는 병행하고 대응하는 관계에 있다고 하는 이론.
🌏 心: 마음 심 身: 몸 신 平: 평평할 평 行: 다닐 행 論: 논의할 론 -
심즉리
(心卽理)
:
주자의 성즉리(性卽理)에 대하여, 사람의 마음과 도리는 다른 것이 아니고 같은 것이라는 양명학의 근본 주장. 중국 남송의 육상산이 제창하고 명나라의 왕양명이 이은 학설로, 지행합일, 치양지(致良知)와 함께 양명학의 세 강령 가운데 하나이다.
🌏 心: 마음 심 卽: 곧 즉 理: 다스릴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