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ㅈ ㅈ 🌷자음(초성) 단어 234개
-
일직자 (日直者) : 일직을 맡은 사람.
🌏 日: 날 일 直: 곧을 직 者: 놈 자 -
으지직 : 꽤 단단한 물건이 부스러져 깨지거나 찌그러지는 소리.
-
염전적 (厭戰的) : 1 전쟁을 싫어하는 것. 2 전쟁을 싫어하는.
🌏 厭: 싫을 염 戰: 싸울 전 的: 과녁 적 -
이주자 (移住者) : 다른 곳으로 옮겨 가서 사는 사람. 또는 다른 곳에서 옮겨 와서 사는 사람.
🌏 移: 옮길 이 住: 살 주 者: 놈 자 -
왕존장 (王尊丈) : 1 할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이르는 말. 2 남의 할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王: 임금 왕 尊: 높을 존 丈: 어른 장 -
월정집 (月汀集) : 조선 선조 때의 문인 윤근수의 시문집. 인조 25년(1647)에 후손들이 펴냈다. 7권 4책.
🌏 月: 달 월 汀: 물가 정 集: 모을 집 -
임정주 (任靖周) : 조선 시대의 학자(1727~1796). 자는 치공(穉恭). 호는 운호(雲湖). 영조 때 세손(世孫)을 보필하고 학문을 강론하여 정조의 신임을 얻었으며, 형 성주(聖周)의 학문을 이어받아 주기설(主氣說)을 확립하였다. 저서에 ≪운호집≫이 있다.
🌏 任: 맡길 임 靖: 편안할 정 周: 두루 주 -
용정자 (龍亭子) : 나라의 옥책(玉冊), 금보(金寶) 따위의 보배를 운반할 때 쓰던 가마.
🌏 龍: 용 용 亭: 정자 정 子: 아들 자 -
외제지 (外制止) : 무한한 새로운 자극이 조건 자극과 함께 제시되면 조건 형성 된 반응이 억제되는 일. 제정 러시아의 생리학자 파블로프의 용어이다.
🌏 外: 바깥 외 制: 억제할 제 止: 그칠 지 -
압제자 (壓制者) : 권력이나 폭력으로 남을 꼼짝 못 하게 강제로 누르는 사람.
🌏 壓: 누를 압 制: 억제할 제 者: 놈 자 -
양주잔 (洋酒盞) : 양주를 마실 때 쓰는 유리잔.
🌏 洋: 큰 바다 양 酒: 술 주 盞: 술잔 잔 -
이중저 (二重底) : 사이에 공간을 두고 겹으로 만든 배의 바닥.
🌏 二: 두 이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底: 밑 저 -
이중직 (二重織) : 겉면과 뒷면의 실이나 짜임새가 다른 천.
🌏 二: 두 이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織: 짤 직 -
어제정 (魚臍疔) : 짐승 가죽과 털을 다루는 사람에게 독이 침입하여 생긴 부스럼. 종기 부리의 한가운데가 움쑥 들어가고, 이것이 터지면 누르스름한 물이 흐르고 가장자리가 붓는다.
🌏 魚: 물고기 어 臍: 배꼽 제 疔: 헌데 정 -
업종자 (業種子) : 선악의 업(業)을 오랫동안 지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선악의 씨앗.
🌏 業: 업 업 種: 씨 종 子: 아들 자 -
연존장 (年尊長) : 서로 나이를 비교하였을 때, 스무 살 이상 많은 어른.
🌏 年: 해 연 尊: 높을 존 長: 길 장 -
을진저 : (예스러운 표현으로) 해라할 자리에 쓰여, ‘-어야 할 것이다’ 또는 ‘-일 것이다’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장엄성을 띤 글에 쓴다.
-
이중점 (二重點) :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표제어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쓰거나, 희곡 따위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따위를 구별할 때, 의존 명사 대(對)가 쓰일 자리에 쓰인다.
🌏 二: 두 이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點: 점찍을 점 -
인정전 (仁政殿) : 창덕궁의 정전(正殿). 조선 태종 5년(1405)에 창덕궁과 함께 창건되었으며, 지금의 건물은 순조 3년(1803)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이듬해 중건한 것으로, 구조와 양식을 비롯하여 단청 장식에 이르기까지 모두 조선 후기 건축을 대표하는 것이다. 국보 정식 명칭은 ‘창덕궁 인정전’이다. 국보 제225호.
🌏 仁: 어질 인 政: 정사 정 殿: 큰 집 전 -
욀재주 : 잘 외는 재주.
-
안정제 (安靜劑) : 피질하 영역에 작용하여 정신적 흥분을 가라앉히는 약. 수면, 진통, 해열, 마취 따위의 작용이 없이 병적인 이상 흥분만을 진정시킨다.
🌏 安: 편안할 안 靜: 고요할 정 劑: 약지을 제 -
원장제 (元狀祭) : 본제사에 앞서 지내던 제사. 대개 정월에 지냈다.
🌏 元: 으뜸 원 狀: 문서 장 祭: 제사 제 -
익조직 (搦組織) : 이웃한 날실들이 교차되어 씨실과 엮인 천의 짜임새.
🌏 搦: 억누를 익 組: 짤 조 織: 짤 직 -
위종지 (僞終止) : 화성법의 하나. 딸림화음이 으뜸화음으로 나아가지 않고 6도의 화음으로 나아가 악곡을 매듭짓는 방식으로, 쇼팽ㆍ브람스ㆍ바그너와 같은 낭만파 작곡가가 즐겨 썼다.
🌏 僞: 거짓 위 終: 마칠 종 止: 그칠 지 -
유장증 (乳長症) : 해산을 한 후에 양쪽 젖이 아랫배까지 늘어지고 몹시 아픈 병.
🌏 乳: 젖 유 長: 길 장 症: 증세 증 -
유자즙 (柚子汁) : 유자에서 짜낸 물.
🌏 柚: 유자나무 유 子: 아들 자 汁: 즙 즙 -
오중주 (五重奏) : 다섯 개의 악기로 이루는 합주.
🌏 五: 다섯 오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奏: 아뢸 주 -
양장점 (洋裝店) : 여자의 양장 옷을 짓고 파는 가게.
🌏 洋: 큰 바다 양 裝: 꾸밀 장 店: 가게 점 -
양정재 (養正齋) : 고려 시대에 둔 칠재(七齊)의 하나. ≪춘추≫를 익히던 분과이다.
🌏 養: 기를 양 正: 바를 정 齋: 재계할 재 -
인진주 (茵蔯酒) : 구운 사철쑥에 차조와 누룩을 함께 섞어 빚은 술.
🌏 茵: 사철쑥 인 蔯: 사철쑥 진 酒: 술 주 -
아지직 : 조금 단단한 물건이 바스러져 깨지거나 짜그라지는 소리.
-
이지점 (二至點) : 동지점(冬至點)과 하지점(夏至點)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二: 두 이 至: 이를 지 點: 점찍을 점 -
옷주제 : 변변하지 못한 옷을 입은 모양새.
-
유지자 (維持者) : 어떤 상태를 지탱하여 나가는 사람.
🌏 維: 바 유 持: 가질 지 者: 놈 자 -
영정절 (永貞節) : 고려 예종 때에, 태자의 생일을 기념하던 날.
🌏 永: 길 영 貞: 곧을 정 節: 마디 절 -
연자질 (硏子질) : 연자매로 곡식을 찧는 일.
🌏 硏: 갈 연 子: 아들 자 -
원자전 (原子戰) : 핵무기를 사용하는 전쟁.
🌏 原: 근원 원 子: 아들 자 戰: 싸울 전 -
안정적 (安定的) : 1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 2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 安: 편안할 안 定: 정할 정 的: 과녁 적 -
열저장 (熱貯藏) : 태양열을 해양에서 받아 저장한 열. 해면의 온도 차가 생기게 한다.
🌏 熱: 더울 열 貯: 쌓을 저 藏: 감출 장 -
유적지 (遺跡地) : 유적이 있는 곳.
🌏 遺: 남길 유 跡: 자취 적 地: 땅 지 -
인접점 (鄰接點) : 이웃하여 있는 점이나 자리.
🌏 鄰: 이웃 인 接: 접할 접 點: 점찍을 점 -
양주정 (佯酒酊) : 거짓으로 하는 주정.
🌏 佯: 거짓 양 酒: 술 주 酊: 술취할 정 -
응집제 (凝集劑) : 액체 속의 작은 알갱이를 가라앉게 하는 시약.
🌏 凝: 엉길 응 集: 모을 집 劑: 약지을 제 -
외재적 (外在的) : 1 어떤 사물이나 범위의 외부에 있는 것. 2 어떤 사물이나 범위의 외부에 있는.
🌏 外: 바깥 외 在: 있을 재 的: 과녁 적 -
양자지 (洋紫芝) : 서양식의 자줏빛 물감.
🌏 洋: 큰 바다 양 紫: 자주 빛 자 芝: 지초 지 -
연자주 (軟紫朱) : 1 연한 자주색. 2 연한 자줏빛.
🌏 軟: 부드러울 연 紫: 자주 빛 자 朱: 붉을 주 -
원작자 (原作者) : 처음에 지은 사람.
🌏 原: 근원 원 作: 지을 작 者: 놈 자 -
역적죄 (逆賊罪) : 역적 행위를 한 죄.
🌏 逆: 거스를 역 賊: 도둑 적 罪: 허물 죄 -
억제제 (抑制劑) : 화학 반응이나 생리 작용 따위에서 어떠한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니는 물질. 산화 방지제, 안정제 따위가 있다.
🌏 抑: 누를 억 制: 억제할 제 劑: 약지을 제 -
양자주 (洋紫朱) : 서양식의 자줏빛 물감.
🌏 洋: 큰 바다 양 紫: 자주 빛 자 朱: 붉을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