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ㅁ 🌷자음(초성) 단어 986개
-
강목 (講目) : 강독하는 경전의 명목(名目).
🌏 講: 강론할 강 目: 눈 목 -
감면 (酣眠) : 깊이 단잠을 잠.
🌏 酣: 즐길 감 흥겨울 감 술을즐길 감 격렬할 감 맑을 감 무르익을 감 잠이깊이들 감 眠: 잠잘 면 -
계명 (階名) : 1 음계를 이루는 자리의 이름. 각 음의 높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절대 음높이를 나타내는 음이름과 구별된다. 서양 음악의 ‘도, 레, 미, 파, 솔, 라, 시’와 국악의 ‘궁, 상, 각, 치, 우’가 이에 해당한다. 2 계급이나 품계의 이름.
🌏 階: 섬돌 계 名: 이름 명 -
건모 (乾모) : 1 마른논에 못자리를 하였다가 모낼 시기가 되면 물을 대거나 비가 온 뒤에 뽑아서 내는 모. 2 마른논에 내는 모.
🌏 乾: 하늘 건 마를 건 -
구묘 (丘墓) :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기도 하고 돌로 평평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대개 묘석을 세워 누구의 것인지 표시한다.
🌏 丘: 언덕 구 墓: 무덤 묘 -
기마 (騎馬) : 1 말을 탐. 2 타고 다니는 데 쓰는 말.
🌏 騎: 말탈 기 馬: 말 마 -
근민 (勤敏) : ‘근민하다’의 어근. (근민하다: 부지런하고 재빠르다.)
🌏 勤: 부지런할 근 敏: 민첩할 민 -
급무 (急務) : 빨리 처리하여야 할 일.
🌏 急: 급할 급 務: 힘쓸 무 -
계명 (鷄鳴) : 1 닭이 욺. 또는 그런 울음. 2 첫닭이 울 무렵인 축시(丑時). 곧 새벽 한 시에서 세 시 사이를 이른다.
🌏 鷄: 닭 계 鳴: 울 명 -
계문 (戒文) : 계율의 조문.
🌏 戒: 경계할 계 文: 글월 문 꾸밀 문 -
강맹 (強猛) : ‘강맹하다’의 어근. (강맹하다: 아주 굳세고 사납다.)
🌏 強: 강할 강 猛: 사나울 맹 -
기문 (期門) : 1 중국 후한 때에 둔, 천자의 호위병. 무제 때 농서ㆍ천수ㆍ안정ㆍ북지ㆍ상군ㆍ서하의 6개 군의 양가 자제로 조직하였으며, 광록훈에 소속되었다. 2 군영(軍營)의 입구.
🌏 期: 기약할 기 門: 문 문 -
긍민 (矜愍) : ‘긍민하다’의 어근. (긍민하다: 불쌍하고 가엾다.)
🌏 矜: 불쌍히 여길 긍 愍: 근심할 민 -
기문 (奇文) : 기묘한 글.
🌏 奇: 기이할 기 文: 글월 문 꾸밀 문 -
건망 (健忘) : 1 경험한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어느 시기 동안의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또는 드문드문 기억하기도 하는 기억 장애. 2 잘 잊어버림.
🌏 健: 굳셀 건 忘: 잊을 망 -
계문 (啓聞) : 조선 시대에, 신하가 글로 임금에게 아뢰던 일.
🌏 啓: 열 계 聞: 들을 문 -
궐미 (厥尾) : 짧은 꼬리. 또는 꼬리가 짧은 개.
🌏 厥: 그 궐 尾: 꼬리 미 -
권문 (權門) : 진실한 도(道)로 이끌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설(假說)을 가지고 설명하는 교법.
🌏 權: 권세 권 門: 문 문 -
기명 (忌明) : 1 꺼려 하는 일이 그침. 2 기일(忌日)이 끝남.
🌏 忌: 꺼릴 기 明: 밝을 명 -
관말 (官말) : 나라에서 녹(祿)을 줄 때 쓰던 말.
🌏 官: 벼슬 관 -
경마 (驚蟆) : 청개구릿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2.5~4cm로 작으며, 등은 회색 또는 녹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흩어져 있고 배는 흰색 또는 연한 황색인데 주위 환경에 따라 몸의 색깔이 변한다. 발가락 끝에 빨판이 있고 수컷은 턱 밑에 울음주머니가 있으며 산란기나 습도가 높은 날이면 운다. 한국, 일본, 아시아 중부, 유럽, 북아프리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 驚: 놀랄 경 蟆: 두꺼비 마 -
기면 (旗面) : 깃대에 달린 천이나 종이로 된 부분.
🌏 旗: 기 기 面: 낯 면 -
근맥 (筋脈) : 힘줄과 핏줄을 아울러 이르는 말.
🌏 筋: 힘줄 근 脈: 맥 맥 -
고무 (鼓舞) : 1 북을 치고 춤을 춤. 2 힘을 내도록 격려하여 용기를 북돋움.
🌏 鼓: 북 고 舞: 춤출 무 -
게문 (偈文) : 부처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노래인 가타(伽陀)의 글귀. 네 구(句)를 한 게(偈)로, 다섯 자나 일곱 자를 한 구로 하여 한시(漢詩)처럼 짓는다.
🌏 偈: 중의 글귀 게 文: 글월 문 꾸밀 문 -
곤마 (困馬) : 1 사람이 오래 타서 지친 말. 2 바둑에서, 살아나기 어려운 돌.
🌏 困: 괴로울 곤 馬: 말 마 -
극명 (克明) : 1 속속들이 똑똑하게 밝힘. 2 매우 분명함.
🌏 克: 이길 극 明: 밝을 명 -
근모 (根毛) : 식물의 뿌리 끝에 실처럼 길고 부드럽게 나온 가는 털. 표피 세포의 벽이 길게 자라서 하나의 세포, 또는 여러 개의 세포들로 이루어져 생긴 것으로 땅속에서 양분과 수분을 빨아들이는 작용을 한다.
🌏 根: 뿌리 근 毛: 털 모 -
교미 (嬌媚) : 아리따운 태도로 아양을 부리는 일.
🌏 嬌: 아리따울 교 媚: 아첨할 미 -
갈망 (渴望) : 간절히 바람.
🌏 渴: 목마를 갈 望: 바랄 망 -
강매 (強買) : 강권에 못 이겨 남의 물건을 억지로 삼.
🌏 強: 강할 강 買: 살 매 -
과모 (寡母) : 남편을 잃고 혼자 사는 여자.
🌏 寡: 적을 과 母: 어머니 모 -
견면 (繭綿) : 누에가 고치를 만들 때에, 고치 겉면을 둘러쌀 솜 층으로 토하여 놓는 물질.
🌏 繭: 고치 견 綿: 이어질 면 -
간모 (奸謀) : 간사한 꾀.
🌏 奸: 간음할 간 謀: 꾀할 모 -
경막 (硬膜) : 뇌막 가운데 바깥층을 이루는 두껍고 튼튼한 섬유질 막. 원래 경질막 층과 머리뼈의 속을 싸는 뼈막이 붙어서 두 층을 이룬다.
🌏 硬: 굳을 경 膜: 꺼풀 막 -
극모 (棘毛) : 환형동물, 윤형동물 따위의 몸 표면에 있는, 굵고 가시와 같이 억센 털.
🌏 棘: 가시나무 극 毛: 털 모 -
감매 (監寐) : 자나 깨나 언제나.
🌏 監: 볼 감 寐: 잠잘 매 -
계목 (鷄鶩) : 닭과 집오리란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鷄: 닭 계 鶩: 집오리 목 -
고묘 (告廟) : 나라나 왕실 또는 집안에 큰일이 있을 때에, 이를 종묘나 사당에 고하던 일.
🌏 告: 아뢸 고 廟: 사당 묘 -
경명 (景命) : 임금의 명령을 이르던 말.
🌏 景: 경치 경 命: 목숨 명 -
격멸 (擊滅) : 전쟁이나 전투 따위에서 적을 없앰.
🌏 擊: 부딪칠 격 滅: 멸망할 멸 -
경모 (敬慕) : 깊이 존경하고 사모함.
🌏 敬: 공경할 경 慕: 사모할 모 -
관물 (官物) : 정부나 관청 소유의 물건.
🌏 官: 벼슬 관 物: 만물 물 -
광맥 (鑛脈) : 암석의 갈라진 틈에 유용 광물이 많이 묻혀 있는 부분. 광분(鑛分)이 섞인 물이 암석의 틈에 스며들어 광분이 가라앉음으로써 생겨난다.
🌏 鑛: 쇳돌 광 脈: 맥 맥 -
국모 (麴母) : 홍국(紅麴)을 만드는 재료. 찐 찹쌀밥을 물에 버무려 독에 넣어 익힌 뒤에 갈아서 풀과 같이 만든다.
🌏 麴: 누룩 국 母: 어머니 모 -
과문 (過門) : 아는 사람의 집 문 앞을 지나면서도 들르지 아니함.
🌏 過: 지날 과 門: 문 문 -
겉목 : → 건목. (건목: 물건을 만들 때에 다듬지 않고 거칠게 대강 만드는 일. 또는 그렇게 만든 물건.)
-
구민 (丘民) : 1 많은 백성. 2 시골 사람.
🌏 丘: 언덕 구 民: 백성 민 -
기물 (奇物) : 1 기이한 물건. 2 성격이나 행동이 야릇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奇: 기이할 기 物: 만물 물 -
격면 (隔面) : 서로의 교제를 끊음.
🌏 隔: 막을 격 面: 낯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