詞 🌏한자(사자성어) 💡언어 분야 265개
-
동사
(動詞)
: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와 함께 활용을 하며, 그 뜻과 쓰임에 따라 본동사와 보조 동사, 성질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 어미의 변화 여부에 따라 규칙 동사와 불규칙 동사로 나뉜다.
🌏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본동사
(本動詞)
: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동사.
🌏 本: 근본 본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명사절
(名詞節)
:
명사 구실을 하는 절. ‘철수가 그 어려운 일을 해냈음이 분명하다.’에서 ‘철수가 그 어려운 일을 해냈음’ 따위이다.
🌏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節: 마디 절 -
부정칭 대명사
(不定稱代名詞)
:
정해지지 아니한 사람, 물건, 방향, 장소 따위를 가리키는 대명사. ‘아무’, ‘아무개’ 따위가 있다.
🌏 不: 아닌가 부 定: 정할 정 稱: 일컬을 칭 代: 대신할 대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관형사형 어미
(冠形詞形語尾)
:
문장에서 용언의 어간에 붙어 관형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어미. ‘-ㄴ’, ‘-는’, ‘-던’, ‘-ㄹ’ 따위가 있다.
🌏 冠: 갓 관 形: 형상 형 詞: 말씀 사 形: 형상 형 語: 말씀 어 尾: 꼬리 미 -
변격 동사
(變格動詞)
:
불규칙 활용을 하는 동사.
🌏 變: 변할 변 格: 격식 격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품사 체계
(品詞體系)
:
한 언어 안에 들어 있는 품사들의 유기적인 체계.
🌏 品: 물건 품 詞: 말씀 사 體: 몸 체 系: 이을 계 -
중성 대명사
(中性代名詞)
:
성(性)을 구별하는 문법에서, 남성도 여성도 아닌 대명사.
🌏 中: 가운데 중 性: 성품 성 代: 대신할 대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존재 형용사
(存在形容詞)
:
사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형용사. ‘있다’, ‘없다’, ‘계시다’ 따위이다.
🌏 存: 있을 존 在: 있을 재 形: 형상 형 容: 얼굴 용 詞: 말씀 사 -
인성 명사
(人性名詞)
: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 ‘노인’, ‘남자’, ‘여자’ 따위가 있다.
🌏 人: 사람 인 性: 성품 성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합성 수사
(合成數詞)
:
둘 이상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수사. ‘열하나’, ‘예닐곱’ 따위이다.
🌏 合: 합할 합 成: 이룰 성 數: 셀 수 詞: 말씀 사 -
의태 부사
(擬態副詞)
: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이나 움직임을 흉내 낸 부사. ‘뒤뚱뒤뚱’, ‘까불까불’, ‘데굴데굴’ 따위가 있다.
🌏 擬: 헤아릴 의 態: 모양 태 副: 버금 부 詞: 말씀 사 -
수 관형사
(數冠形詞)
:
사물의 수나 양을 나타내는 관형사. ‘두 사람’의 ‘두’, ‘세 근’의 ‘세’ 따위이다.
🌏 數: 셀 수 冠: 갓 관 形: 형상 형 詞: 말씀 사 -
장소 부사
(場所副詞)
:
행동이 진행되는 장소를 가리키는 부사. ‘멀리’, ‘가까이’, ‘집집이’, ‘곳곳이’ 따위이다. (멀리: 한 시점이나 지점에서 시간이나 거리가 몹시 떨어져 있는 상태로.)
🌏 場: 마당 장 所: 바 소 副: 버금 부 詞: 말씀 사 -
수량 대명사
(數量代名詞)
: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사. 양수사와 서수사가 있다.
🌏 數: 셀 수 量: 헤아릴 량 代: 대신할 대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지시 형용사
(指示形容詞)
:
사물의 성질, 시간, 수량 따위가 어떠하다는 것을 형식적으로 나타내는 형용사. ‘그러하다’, ‘어떠하다’, ‘아무러하다’ 따위가 있다.
🌏 指: 가리킬 지 示: 보일 시 形: 형상 형 容: 얼굴 용 詞: 말씀 사 -
남성 대명사
(男性代名詞)
:
성(性)을 구별하는 문법에서, 남성에 속하는 대명사.
🌏 男: 사내 남 性: 성품 성 代: 대신할 대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완전 타동사
(完全他動詞)
:
1
보어가 없어도 뜻이 완전한 타동사.
2
어미 활용이 완전하여 여러 가지 어미가 자유로이 붙는 타동사.
🌏 完: 완전할 완 全: 온전할 전 他: 다를 타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피동사
(被動詞)
: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하여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보이다’, ‘물리다’, ‘잡히다’, ‘안기다’, ‘업히다’ 따위가 있다.
🌏 被: 입을 피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무정 명사
(無情名詞)
:
감정을 나타내지 못하는, 식물이나 무생물을 가리키는 명사.
🌏 無: 없을 무 情: 뜻 정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완전 명사
(完全名詞)
:
다른 말의 도움을 받지 아니하고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명사.
🌏 完: 완전할 완 全: 온전할 전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단위 명사
(單位名詞)
:
수효나 분량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쌀 한 말, 쇠고기 한 근, 굴비 한 두름, 북어 한 쾌, 고무신 한 켤레, 광목 한 필’에서 ‘말’, ‘근’, ‘두름’, ‘쾌’, ‘켤레’, ‘필’ 따위이다.
🌏 單: 홑 단 位: 자리 위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양상 부사
(樣相副詞)
:
화자(話者)의 태도를 나타내는 문장 부사. ‘과연’, ‘설마’, ‘제발’, ‘정말’, ‘결코’, ‘모름지기’, ‘응당’, ‘어찌’ 따위가 있다.
🌏 樣: 모양 양 相: 서로 상 副: 버금 부 詞: 말씀 사 -
속격 조사
(屬格助詞)
:
문장 안에서, 앞에 오는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이 뒤에 오는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의 관형어임을 보이는 조사.
🌏 屬: 무리 속 格: 격식 격 助: 도울 조 詞: 말씀 사 -
무형 명사
(無形名詞)
: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 ‘사랑’, ‘희망’, ‘삶’ 따위가 있다.
🌏 無: 없을 무 形: 형상 형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정칙 동사
(正則動詞)
:
규칙적인 활용을 하는 동사.
🌏 正: 바를 정 則: 법 칙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완전 동사
(完全動詞)
:
1
보어가 없어도 뜻이 완전한 동사.
2
활용 어미를 고루 갖추어 활용할 수 있는 동사.
🌏 完: 완전할 완 全: 온전할 전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자격격 조사
(資格格助詞)
:
자격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로서’가 있다. (로서: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 (예스러운 표현으로)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는 격 조사.)
🌏 資: 재물 자 格: 격식 격 格: 격식 격 助: 도울 조 詞: 말씀 사 -
상징 부사
(象徵副詞)
:
사람이나 사물의 소리와 모양을 흉내 낸 의성 부사와 의태 부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철썩철썩’, ‘데굴데굴’ 따위가 있다. (철썩철썩: ‘철써덕철써덕’의 준말., ‘철써덕철써덕’의 준말.)
🌏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徵: 부를 징 副: 버금 부 詞: 말씀 사 -
복합 대명사
(複合代名詞)
:
둘 이상의 말이 결합된 대명사. ‘이이’, ‘그이’, ‘저이’ 따위가 있다.
🌏 複: 겹옷 복 合: 합할 합 代: 대신할 대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품사
(品詞)
: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 문법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아홉 가지로 분류한다.
🌏 品: 물건 품 詞: 말씀 사 -
동명사
(動名詞)
:
영어 따위에서 동사와 명사의 기능을 겸한 품사. 동사의 명사형으로 된 말로, 영어에서는 ‘-ing’라는 어미를 가진다.
🌏 動: 움직일 동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원수사
(原數詞)
:
수량을 셀 때 쓰는 수사. 하나, 둘, 셋 따위이다.
🌏 原: 근원 원 數: 셀 수 詞: 말씀 사 -
변칙 동사
(變則動詞)
:
불규칙 활용을 하는 동사.
🌏 變: 변할 변 則: 법 칙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소유격 조사
(所有格助詞)
:
문장 안에서, 앞에 오는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이 뒤에 오는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의 관형어임을 보이는 조사.
🌏 所: 바 소 有: 있을 유 格: 격식 격 助: 도울 조 詞: 말씀 사 -
유정 명사
(有情名詞)
:
감정을 나타내는, 사람이나 동물을 가리키는 명사.
🌏 有: 있을 유 情: 뜻 정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부사형 어미
(副詞形語尾)
:
문장에서 부사어 구실을 하게 하는 활용 어미. ‘-게’, ‘-도록’ 따위가 있다.
🌏 副: 버금 부 詞: 말씀 사 形: 형상 형 語: 말씀 어 尾: 꼬리 미 -
불구 타동사
(不具他動詞)
:
어미 활용이 완전하지 못한 타동사. ‘달다’, ‘데리다’ 따위가 있다.
🌏 不: 아닐 불 具: 갖출 구 他: 다를 타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종합 명사
(綜合名詞)
: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 ‘국립 국어원’, ‘국립 국악원’ 따위가 있다.
🌏 綜: 바디 종 合: 합할 합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전치사
(前置詞)
:
명사나 대명사 앞에 놓여 다른 명사나 대명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 영어의 ‘in’, ‘on’ 따위가 있다.
🌏 前: 앞 전 置: 둘 치 詞: 말씀 사 -
지시 부사
(指示副詞)
:
처소나 시간을 가리켜 한정하거나 앞의 이야기에 나온 사실을 가리키는 부사. ‘이리’, ‘그리’, ‘내일’, ‘오늘’ 따위가 있다.
🌏 指: 가리킬 지 示: 보일 시 副: 버금 부 詞: 말씀 사 -
관사
(冠詞)
: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따위에서 명사 앞에 놓여 단수, 복수, 성, 격 따위를 나타내는 품사. 정관사와 부정 관사가 있다.
🌏 冠: 갓 관 詞: 말씀 사 -
부정사
(不定詞)
:
영어 따위에서, 인칭ㆍ수ㆍ시제에 대하여 제약을 받지 아니하는 동사형. 동사 원형 앞에 ‘to’가 붙기도 하고, 동사 원형 홀로 쓰이기도 한다.
🌏 不: 아닌가 부 定: 정할 정 詞: 말씀 사 -
양수사
(量數詞)
:
수량을 셀 때 쓰는 수사. 하나, 둘, 셋 따위이다.
🌏 量: 헤아릴 양 數: 셀 수 詞: 말씀 사 -
상태 부사
(狀態副詞)
:
서술어의 모양을 꾸미는 부사. ‘잘’, ‘못’, ‘빨리’, ‘매우’ 따위가 있다.
🌏 狀: 형상 상 態: 모양 태 副: 버금 부 詞: 말씀 사 -
중다명사
(衆多名詞)
:
같은 종류의 것이 여럿 모여 있는 전체를 나타내는 명사.
🌏 衆: 무리 중 多: 많을 다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강세 대명사
(強勢代名詞)
:
문장에 강세를 둔 대명사. 의문 대명사, 지시 대명사 따위가 있다.
🌏 強: 강할 강 勢: 기세 세 代: 대신할 대 名: 이름 명 詞: 말씀 사 -
불완전 타동사
(不完全他動詞)
:
1
보충하는 말이 있어야 서술이 완전해지는 타동사.
2
어미 활용이 완전하지 못한 타동사. ‘달다’, ‘데리다’ 따위가 있다.
🌏 不: 아닐 불 完: 완전할 완 全: 온전할 전 他: 다를 타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합성 동사
(合成動詞)
:
둘 이상의 말이 결합된 동사. ‘본받다’, ‘앞서다’, ‘들어가다’, ‘가로막다’ 따위가 있다.
🌏 合: 합할 합 成: 이룰 성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복합 부사
(複合副詞)
:
둘 이상의 말이 결합하여 된 부사. ‘밤낮’, ‘한바탕’, ‘곧잘’ 따위가 있다.
🌏 複: 겹옷 복 合: 합할 합 副: 버금 부 詞: 말씀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