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 🌏한자(사자성어) 💡한의 분야 124개
- 흑임자 (黑荏子) : ‘검은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영양을 돕고 대변을 부드럽게 한다. (검은깨: 빛깔이 검은 참깨.)
- 대력자 (大力子) : 우엉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인후염, 홍역 초기, 해수(咳嗽) 따위에 쓰인다.
- 나복자 (蘿蔔子) : ‘무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체하거나 담을 다스리는 데에 쓴다. (무씨: 무의 종자.)
- 청심연자음 (淸心蓮子飮) : 연밥, 인삼, 황기, 맥문동 따위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심화(心火)가 성하여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며, 오줌이 붉고 잘 나오지 않는 데 쓴다.
- 자암증 (子瘖症) : 임신 말기에 임신부가 며칠 동안 말을 못 하는 병증.
- 가구자 (家韭子) : 성숙한 부추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몽설, 요통, 백대하, 오줌 싸는 데에 약재로 쓰인다.
- 백개자 (白芥子) : 갓의 씨앗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은 따뜻하고 기침과 담을 다스리는 데 쓰인다.
- 탄자대 (彈子大) : 탄알만 한 크기라는 뜻으로, 알약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 15~20g이다.
- 충위자 (茺蔚子) : 익모초의 씨. 혈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눈을 밝게 하는 데 쓴다.
- 산자리 (産子痢) : 산후(産後)에 있는 이질.
- 마자정 (麻子疔) : 피부에 좁쌀이나 삼씨 알만 한 둥글고 굳은 구진이 돋는 병.
- 괴각자 (槐角子) : 회화나무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풍열(風熱)을 치료할 때나 난산(難産)일 때에 쓴다.
- 마린자 (馬藺子) : 꽃창포 열매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황달, 설사, 이질, 출혈증 따위에 쓴다.
- 계거자 (鷄距子) : 헛개나무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술 먹은 뒤를 깨끗하게 하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 데에 쓴다.
- 욱리자 (郁李子) : ‘산앵두’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산앵두: ‘산앵두나무’의 열매.)
- 차전자 (車前子) : 질경이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오줌을 잘 나오게 하고 설사를 다스리며, 눈을 맑게 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는 데에 쓰인다.
- 아자 (牙子) : 짚신나물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출혈과 설사를 멈추게 하며, 해독제ㆍ구충제로 쓰인다.
- 동과자 (冬瓜子) : 동아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맛이 달고 성질은 차며, 오줌을 잘 나오게 하여 부증(浮症)ㆍ소갈증(消渴症) 따위에 쓴다.
- 대금음자 (對金飮子) : 주체(酒滯)나 소화 불량으로 인한 복통, 토사(吐瀉)에 쓰는 탕약(湯藥).
- 견우자 (牽牛子) : 나팔꽃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붉은 꽃의 씨는 흑축(黑丑), 흰 꽃의 씨는 백축(白丑)이라 하는데, 맛이 쓰고 성질이 차며 대소변을 통하게 한다. 변비, 부종, 적취(積聚), 요통 따위의 치료에 쓴다.
- 내진자 (嬭疹子) : 젖먹이에게 생기는 발진성 질병.
- 앵자속 (罌子粟) : 양귀비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설사, 경련 따위에 쓴다.
- 조협자 (皁莢子) : 쥐엄나무 열매의 씨. 피를 잘 돌게 하고 부은 것을 내리고 고름을 빼며 풍을 없애고 독을 푼다.
- 목별자 (木鼈子) : 1 천오두(川烏頭)의 가장자리에 대추씨같이 잘게 붙은 뿌리. 이질, 냉루창(冷漏瘡) 따위에 쓰인다. 2 목별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맛은 쓰고 약간 달며 성질은 따뜻하여 외과(外科)의 약으로 쓰이거나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데 쓰인다.
- 자기 (子氣) : 임신부의 다리와 발이 붓는 증세.
- 육군자탕 (六君子湯) : 사군자탕에 진피(陳皮)와 반하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기가 허하고 담이 성하여 온몸이 나른하면서 입맛이 없고 속이 메스꺼운 데에 쓴다.
- 비자 (疿子) : ‘땀띠’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땀띠: 땀으로 피부가 자극되어 생기는 발진. 좁쌀 크기의 붉은색 또는 무색 발진이 오밀조밀하게 돋아 가렵고 따가운데, 특히 살과 살이 맞닿는 부위에 땀이 고여 있을 때 많이 생긴다.)
- 오배자 (五倍子) : 붉나무에 생긴 혹 모양의 벌레집. 타닌이 들어 있어 기침, 설사, 출혈증의 약재로 쓰거나 잉크ㆍ염료 따위의 재료로 쓴다.
- 서점자 (鼠黏子) : 우엉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인후염, 홍역 초기, 해수(咳嗽) 따위에 쓰인다.
- 비자 (榧子) : 비자나무의 익은 열매. 맛이 매우 떫다. 촌충약, 변비 치료제로 쓰이며 기침을 멈추게 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 흑견우자 (黑牽牛子) : 붉은 나팔꽃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차며 부종, 적취, 요통 따위에 쓰이는 약재이다.
- 서리자 (鼠李子) : ‘갈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하제(下劑)로 쓰인다. (갈매: 갈매나무의 열매. 팥알만 한 크기로, 둥글고 빛이 검다. 한약재로 쓴다.)
- 토사자 (兔絲子) : 말린 새삼의 씨.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데나 유정(遺精), 소갈(消渴), 설사, 눈이 어두워지는 증상 따위에 쓴다.
- 두자 (痘子) : 수두나 두창을 앓을 때 피부에 돋는 물집.
- 낙추자 (落箒子) : 댑싸리의 씨. 오줌을 순하게 하고 피부를 깨끗하게 하는 데에 쓰인다.
- 빈랑자 (檳榔子) : 빈랑나무의 열매.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맵고 쓰며 식상(食傷), 적취(積聚), 수종(水腫) 따위에 쓰이고 살충제로도 쓰인다.
- 내복자 (萊菔子) : ‘무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체하거나 담을 다스리는 데에 쓴다. (무씨: 무의 종자.)
- 기구자 (기椇子) : → 지구자. (지구자: 헛개나무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술 먹은 뒤를 깨끗하게 하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 데에 쓴다.)
- 부자이중환 (附子理中丸) : 백부자의 덩이뿌리, 삽주 땅속줄기, 감초, 인삼, 마른 생강 따위를 꿀로 반죽하여 만든 환약. 짙은 밤색을 띠고 있으며 특이한 냄새와 고유한 여러 가지 맛이 나는데, 건위제(健胃劑)로 쓴다.
- 지구자 (枳椇子) : 헛개나무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술 먹은 뒤를 깨끗하게 하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 데에 쓴다.
- 오미자환 (五味子丸) : 오미자, 설탕, 꿀을 가지고 만든 알약. 기침과 기관지염의 치료에 좋고 자양 강장제나 원기 회복제로도 쓰인다.
- 자처 (子處) : ‘자궁’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자궁: 여성의 정관의 일부가 발달하여 된 것으로 태아가 착상하여 자라는 기관.)
- 봉선자 (鳳仙子) : 봉선화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따뜻하고 약간의 독성이 있으며, 어혈(瘀血)ㆍ적취(積聚)ㆍ난산(難産) 따위에 쓰인다.
- 정력자 (葶藶子) : 다닥냉이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차고 맛이 맵고 쓴 이뇨ㆍ거담의 약재로서 담, 해수, 수종, 소변불리 따위에 쓰인다.
- 청상자 (靑葙子) : ‘강남조’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차서 간열(肝熱)로 인한 눈병, 고혈압, 두통 따위에 쓰인다. (강남조: 개맨드라미의 씨. 한방에서는 ‘청상자’로 불리며 강장제로 쓰인다. (청상자: ‘강남조’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차서 간열(肝熱)로 인한 눈병, 고혈압, 두통 따위에 쓰인다.))
- 해송자 (海松子) : 1 ‘잣’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따뜻하여 동맥 경화증 방지와 변비 치료에 쓴다. (잣: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2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자장 (子臟) : ‘자궁’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자궁: 여성의 정관의 일부가 발달하여 된 것으로 태아가 착상하여 자라는 기관.)
- 감자 (柑子) : 홍귤나무의 열매. 갈증과 술독을 풀어 주고 대변을 부드럽게 하는 데에 쓴다.
- 율자치 (栗子痔) : 치질 결절의 모양이 밤알과 비슷하게 생긴 치질.
- 낭자 (狼子) : 짚신나물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출혈과 설사를 멈추게 하며, 해독제ㆍ구충제로 쓰인다.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한자 子 (아들 자)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22개입니다.
- 1 글자 7개 : 자
- 2 글자 491개 : 자규, 간자, 쾌자, 가자, 음자, 회자, 완쯔, 차자, 화자, 무자 3 글자 1,068개 4 글자 1,122개 5 글자 560개
▹ 분야로 구분한 통계
💡한자 子 (아들 자)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9개의 분야 중에서 물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5개입니다.
- 물리 465개 : 음자, 원자, 핵자, 양자, 입자, 전자, 진자, 광자, 격자
- 역사 274개 : 자, 회자, 차자, 원자, 여자, 악자, 봉자, 자사, 노자, 당자 전기·전자 195개 생명 185개 화학 17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