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 🌻모음(중성) 단어 182개
-
뜸 : 병을 치료하는 방법의 하나. 약쑥을 비벼서 쌀알 크기로 빚어 살 위의 혈(穴)에 놓고 불을 붙여서 열기가 살 속으로 퍼지게 한다.
-
능 (能) : ‘능하다’의 어근. (능하다: 어떤 일 따위에 뛰어나다.)
-
은 (銀) : 1 금속 원소의 하나. 흰 광택이 있고 무르며 늘어나고 펴지는 성질이 금 다음으로 강하고, 전기 전도율과 열전도율은 금속 가운데 가장 높다. 공기 중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나 유황 화합물에 닿으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멕시코ㆍ미국ㆍ캐나다ㆍ페루 등지에서 나며, 화학용 기구나 화폐ㆍ장식품 따위로 쓴다. 원자 기호는 Ag, 원자 번호는 47, 원자량은 107.868. 2 ‘은색’, ‘은제’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음 (淫) : ‘음하다’의 어근. (음하다: 색정에 대한 욕심이 지나치게 많다.)
-
그 : 1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앞에서 이미 이야기하였거나 듣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주로 남자를 가리킬 때 쓴다. 2 앞에서 이미 이야기하였거나 듣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3 앞에서 이미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킬 때 쓰는 말. ... (총 5개의 의미)
-
증 (贈) : 기증한다는 뜻으로, 선물을 보내는 이가 선물에 쓰는 말.
-
틀 : 1 일정한 격식이나 형식. 2 간단한 구조로 된 기계나 장치. 3 가마, 상여 따위와 기계를 세는 단위. ... (총 7개의 의미)
-
뜸 : 음식을 찌거나 삶아 익힐 때에, 흠씬 열을 가한 뒤 한동안 뚜껑을 열지 않고 그대로 두어 속속들이 잘 익도록 하는 일.
-
증 (證) : 1 어떤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근거. 2 어떤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
-
근 (斤) : 우리나라의 성(姓)의 하나. 주요 본관은 청주(淸州)가 현존한다.
-
급 (急) : ‘급하다’의 어근. (급하다: 사정이나 형편이 조금도 지체할 겨를이 없이 빨리 처리하여야 할 상태에 있다., 시간의 여유가 없어 일을 서두르거나 다그쳐 매우 빠르다., 마음이 참고 기다릴 수 없을 만큼 조바심을 내는 상태에 있다., 병이 위독하다., 성격이 팔팔하여 참을성이 없다., 기울기나 경사가 가파르다., 물결 따위의 흐름이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
-
음 (陰) : ‘음하다’의 어근. (음하다: 날씨가 흐리다., 마음이 엉큼하고 검다.)
-
등 (燈) : 불을 켜서 어두운 곳을 밝히거나 신호를 보내는 기구.
-
흔 : ‘흔하다’의 어근. (흔하다: 보통보다 더 자주 있거나 일어나서 쉽게 접할 수 있다.)
-
뜸 : ‘뜸하다’의 어근. (뜸하다: 자주 있던 왕래나 소식 따위가 한동안 없다.)
-
뜸 : 짚, 띠, 부들 따위로 거적처럼 엮어 만든 물건. 비, 바람, 볕을 막는 데 쓴다.
-
습 (拾) : 활을 쏠 때에 왼팔 소매를 걷어 매는 띠.
-
금 : 1 사람의 가치나 인격적인 됨됨이. 2 시세나 흥정에 따라 결정되는 물건의 값.
-
는 : 1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2 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대조됨을 나타내는 보조사. 3 문장 속에서 어떤 대상이 화제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
드 : ‘심하게’ 또는 ‘높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끗 : 1 접쳐서 파는 피륙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한 끗은 피륙을 한 번 접은 만큼의 길이이다. 2 화투나 투전과 같은 노름 따위에서, 셈을 치는 점수를 나타내는 단위.
-
층 (層) : 1 나이나, 재산이나 사물 따위가 서로 같지 아니하거나 수평을 이루지 못하여 나는 차이. 2 물체가 거듭 포개져 생긴 켜. 3 위로 높이 포개어 짓는 건물에서, 같은 높이를 이루는 부분. ... (총 7개의 의미)
-
끝 : → 끗. (끗: 접쳐서 파는 피륙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한 끗은 피륙을 한 번 접은 만큼의 길이이다., 화투나 투전과 같은 노름 따위에서, 셈을 치는 점수를 나타내는 단위.)
-
끌 : ‘끄르륵’의 준말. (끄르륵: 무엇이 끓거나 트림하는 소리.)
-
증 (蒸/烝) : 1 약물을 시루에 넣고 찌는 일. 2 몸에서 찌듯이 열이 나는 증상.
-
글 : 1 학문이나 학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말을 적는 일정한 체계의 부호. 3 생각이나 일 따위의 내용을 글자로 나타낸 기록.
-
들 : ‘야생으로 자라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승 (承) : 어떤 글의 체계를 기승전결로 구분할 때의 둘째 단계. 앞에서 내놓은 문제를 이어받아 전개한다.
-
금 (金) : 1 문서에서 돈을 이르는 말. 2 ‘금색’, ‘금제’의 뜻을 나타내는 말. 3 황색의 광택이 있는 금속 원소. 금속 가운데 퍼지는 성질과 늘어나는 성질이 가장 크다.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고, 공기 중에서도 산화되지 않는다. 원자 번호는 79, 원소 기호는 Au, 원자량은 196.967. ... (총 4개의 의미)
-
금 (錦) : 비단 자락과 같이, 오색(五色)으로 갖은 무늬를 써서 그린 단청.
-
늑 : ‘늑하다’의 어근. (늑하다: ‘느긋하다’의 준말.)
-
극 (極) : ‘더할 나위 없는’ 또는 ‘정도가 심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급 (笈) : 여러 권의 책과 종이를 꾸려 짊어지도록 만든 상자.
-
흥 (興) :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
-
흠 (欠) : 1 사람의 성격이나 언행에 나타나는 부족한 점. 2 어떤 물건의 이지러지거나 깨어지거나 상한 자국. 3 어떤 사물의 모자라거나 잘못된 부분.
-
근 (根) : 1 부스럼 속에서 곪아 단단하여진 망울. 2 ‘그 기간만큼 묵은 뿌리’의 뜻을 나타내는 말. 3 어떤 작용을 일으키는 강력한 힘. 육근(六根)의 능력을 이른다. ... (총 5개의 의미)
-
극 (極) : 1 전지에서 전류가 드나드는 양쪽 끝. 양극과 음극이 있다. 2 자석에서 자력이 가장 센 양쪽의 끝. 남극과 북극이 있다. 3 지축(地軸)의 양쪽 끝. 곧, 북극과 남극을 이른다. ... (총 9개의 의미)
-
금 (琴) : 아악기에 속하는 현악기의 하나. 현의 수에 따라 일현금ㆍ삼현금ㆍ오현금ㆍ칠현금ㆍ구현금 등으로 이름이 붙여진다. 줄을 괴는 기러기발이 없어 그 소리가 맑으나 미약하다. 조선 시대까지 등가(登歌)에 쓰였으나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
늠 (廩) : 쌀을 넣어 두는 곳집.
-
읍 (邑) : 1 시(市)나 군(郡)에 속한 지방 행정 구역 단위의 하나. 인구 2만 이상이 되어야 하나, 2만 미만인 경우도 있다. 2 읍의 구역 안.
-
금 (金) : ‘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흠 : 1 언짢거나 아니꼬울 때 입을 다물고 콧숨을 내쉬며 내는 소리. 2 흐뭇하거나 흥겨울 때 입을 다물고 콧숨을 내쉬며 내는 소리.
-
금 (琴) : 우리나라의 성(姓)의 하나. 본관은 봉화(奉化), 보성(寶城) 등이 현존한다.
-
뜸 : 물에 띄워서 그물, 낚시 따위의 어구를 위쪽으로 지탱하는 데에 쓰는 물건.
-
뜸 : 한동네 안에서 몇 집씩 따로 모여 있는 구역.
-
쯧 : 1 연민을 느끼거나 마음에 못마땅하여 가볍게 혀를 차는 소리. 2 연민을 느끼거나 마음에 못마땅할 때에 혀를 차 내는 소리.
-
은 : 1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2 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대조됨을 나타내는 보조사. 3 문장 속에서 어떤 대상이 화제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
끙 : 몹시 앓거나 힘겨울 때 내는 소리.
-
증 (症) : 1 병을 앓을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상태나 모양. 2 걸핏하면 화를 왈칵 내는 증세. 3 싫은 생각이나 느낌. 또는 그런 반응.
-
증 (症) : 1 ‘마음’, ‘느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증상’ 또는 ‘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증상: 병을 앓을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상태나 모양.,병: 생물체의 전신이나 일부분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괴로움을 느끼게 되는 현상., ‘질병’의 뜻을 나타내는 말., 기계나 기구 따위가 고장이 나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깊이 뿌리박힌 잘못이나 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