쓴 도라지[오이]… 🌟의미
쓴 도라지[오이] 보듯
:
원두한이 팔 수 없는 쓴 오이를 본다는 뜻으로, 남을 멸시하거나 무시함을 이르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원두한이 쓴 외 보듯: 원두한이 팔 수 없는 쓴 오이를 본다는 뜻으로, 남을 멸시하거나 무시함을 이르는 말.
![쓴 도라지[오이] 보듯 : 원두한이 팔 수 없는 쓴 오이를 본다는 뜻으로, 남을 멸시하거나 무시함을 이르는 말.](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22905.webp)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감기 고뿔도 남을 안 준다 : 감기까지도 남에게 주지 않을 만큼 지독하게 인색하다는 말.
- 갑인년 흉년에도 먹다 남은 것이 물이다 : 물 한 모금도 얻어먹기 어려운 경우를 이르는 말.
- 갓장이 헌 갓 쓰고 무당 남 빌려 굿하고 : 제가 제 것을 만들어 가지지 못하고 제가 제 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남 장사 : 오직 제 이익만 생각하고, 태도가 오만한 사람을 이르는 말.

- 쓴 도라지[오이] 보듯 : 원두한이 팔 수 없는 쓴 오이를 본다는 뜻으로, 남을 멸시하거나 무시함을 이르는 말.
- 핑계 핑계 도라지 캐러 간다 : 적당한 핑계를 대고 제 볼일을 보러 간다는 말.

- 송도 계원(契員) : 낮은 지위나 작은 세력을 믿고 남을 멸시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선 시대 중신인 한명회가 송도에서 벼슬을 할 때 동료들이 친목계를 맺으면서 한명회는 미천하다고 계원으로 받아 주지 않았는데 그 뒤 한명회가 출세를 하여 높은 지위에 오르자 동료들이 크게 후회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말이다.
- 쓴 도라지[오이] 보듯 : 원두한이 팔 수 없는 쓴 오이를 본다는 뜻으로, 남을 멸시하거나 무시함을 이르는 말.
- 원두한이 쓴 외 보듯 : 원두한이 팔 수 없는 쓴 오이를 본다는 뜻으로, 남을 멸시하거나 무시함을 이르는 말.
- 저 걷던 놈도 나만 보면 타고 가려네 : 사람이 어려운 처지에 놓이면 천한 사람까지 자기를 멸시하려 든다는 말.

-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 가늘게 내리는 비는 조금씩 젖어 들기 때문에 여간해서도 옷이 젖는 줄을 깨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그것이 거듭되면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크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도 무는[사나운] 개를 돌아본다 : 같은 개끼리도 사나운 개를 두려워하듯이, 사람 사이에서도 영악하고 사나운 사람에게는 해를 입게 될 것을 두려워하여 도리어 잘 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네 개 짖는 소리(만 못하게 여긴다) : 남이 하는 말을 무시하여 들은 체도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만만한 싹을 봤나 : 왜 사람을 무시하느냐고 항의하는 말.
- 무는 개를 돌아본다 : 너무 순하기만 하면 도리어 무시당하거나 관심을 끌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슴도치 외[오이] 따 지듯[걸머지듯] : 고슴도치가 오이를 따서 등에 진 것 같다는 뜻으로, 빚을 많이 짊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보리 주면 오이[외] 안 주랴 : 제 것은 아까워하면서 남만 인색하다고 여기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 있어야 받는 것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송도 오이 장수 : 이익을 더 많이 보려다가 그만 기회를 놓쳐 헛수고만 하고 오히려 낭패를 보게 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송도의 오이 장수가 시세에 따라 서울과 의주를 돌았으나, 가는 곳마다 시세가 떨어져 개성에 되돌아왔을 때에는 오이가 곯고 썩어 쓸모가 없어졌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 쓴 도라지[오이] 보듯 : 원두한이 팔 수 없는 쓴 오이를 본다는 뜻으로, 남을 멸시하거나 무시함을 이르는 말.
-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 열린다 :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루 팔러 가니 바람이 불고 소금 팔러 가니 이슬비 온다 : 가루 장사를 가면 바람이 불어 가루를 날리고 소금 장사를 가면 이슬비가 와서 소금을 다 녹여 버린다는 뜻으로, 일이 뜻대로 되지 않고 엇나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팔아 두 냥(兩) 반(半) : 개를 팔아 두 냥 반을 받았으니 양반(兩班)은 한 냥 반으로 개 한 마리 값만도 못하다는 뜻으로, 못난 양반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개 팔자가 상팔자 : 놀고 있는 개가 부럽다는 뜻으로, 일이 분주하거나 고생스러울 때 넋두리로 하는 말.
- 걱정도 팔자(다) : 하지 않아도 될 걱정을 하거나 관계도 없는 남의 일에 참견하는 사람에게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곰배팔이 담배 목판 끼듯 : 무슨 물건을 옆에 꼭 끼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쓴 도라지[오이] 보듯
:
듯으로 끝나는 단어: 총 627개
-
듯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92개입니다.- 예: 개 패듯, 비 오듯, 개 잡듯, 콩 볶듯, 박 패듯
-
듯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5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2개입니다.- 예: 오복조르듯, 벼락불 치듯, 묵은장 쓰듯, 노루 잠자듯, 윷짝 가르듯
-
듯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5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개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개입니다.- 예: 개 패듯, 개미역사 하듯, 개 고양이 보듯, 개 잡듯, 개미 메 나르듯
-
듯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85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개 패듯, 겻섬 털듯, 개 잡듯, 건듯건듯, 건듯
-
-
쓴 도라지[오이] 보듯
:
보듯으로 끝나는 단어: 총 32개
-
보듯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2개입니다.- 예: 의붓어미 눈치 보듯, 개 고양이 보듯, 강 건너 불 보듯, 진사 노새 보듯, 장님 등불 쳐다보듯
-
보듯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8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개입니다.- 예: 봉사 등불 쳐다보듯, 의붓어미 눈치 보듯, 원두한이 쓴 외 보듯, 장님 등불 쳐다보듯, 최동학의 기별 보듯
-
보듯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7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닭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예: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닭 쫓던 개 지붕[먼 산] 쳐다보듯, 닭 쫓던 개 울타리 넘겨다보듯
-
보듯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8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개 고양이 보듯, 강 건너 불 보듯, 굶은 개 부엌 들여다보듯, 개똥 보듯, 고양이 개 보듯
-
-
: 자음 ㅆㄷㄹㅈ[ㅇㅇ]ㅂ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ㅆㄷㄹㅈ[ㅇㅇ]ㅂ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ㅡㅗㅏㅣ[ㅗㅣ]ㅗㅡ 단어: 총 1개
-
모음 ㅡㅗㅏㅣ[ㅗㅣ]ㅗㅡ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쓴 도라지[오이] 보듯
:
쓴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0개
-
쓴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개입니다.
-
쓴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개입니다.
-
쓴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
쓴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3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
쓴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
-
쓴 도라지[오이] 보듯
:
쓴도로 시작하는 단어: 총 1개
-
쓴도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