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언 다라니 (眞言陀羅尼) 🌟의미
眞
참 진
총획:10
부수:目
-
불교
:
응진(應眞)
견진(見眞)
시진(侍眞)
진인(眞因)
진정(眞淨)
진승(眞乘)
진식(眞識)
천진(天眞)
진문(眞文)
진승(眞僧)
-
영상
:
적사진(赤寫眞)
청사진(靑寫眞)
사진기(寫眞機)
사진염(寫眞染)
활동사진(活動寫眞)
순간 사진(瞬間寫眞)
어안 사진(魚眼寫眞)
합성 사진(合成寫眞)
공중 사진(空中寫眞)
집성 사진(集成寫眞)
-
물리
:
진공(眞空)
진공로(眞空爐)
진비중(眞比重)
진공도(眞空度)
진자기(眞磁氣)
진전하(眞電荷)
진공계(眞空計)
초고진공(超高眞空)
진공 증착(眞空蒸着)
분말 사진(粉末寫眞)
-
전기·전자
:
진공관(眞空管)
고진공(高眞空)
진공 융해(眞空融解)
진공 전구(眞空電球)
전송 사진(電送寫眞)
진공 방전(眞空放電)
진공 회로(眞空回路)
이극 진공관(二極眞空管)
진공 광전관(眞空光電管)
사극 진공관(四極眞空管)
-
인명
:
진정(眞定)
진종(眞宗)
진가(眞可)
감진(鑑眞)
담진(曇眞)
오진(悟眞)
이진(李眞)
진제(眞諦)
진호(眞虎)
진표(眞表)
言
말씀 언
총획:7
부수:言
-
언어
:
와언(訛言)
약언(約言)
방언(方言)
체언(體言)
용언(用言)
박언학(博言學)
언어사(言語史)
수식언(修飾言)
본용언(本用言)
언리학(言理學)
-
철학
:
정언(定言)
입언(立言)
언명(言明)
연언(連言)
선언(選言)
가언(假言)
가언적(假言的)
선언적(選言的)
사언교(四言敎)
정언적(定言的)
-
역사
:
언지(言地)
구언(求言)
정언(正言)
전언(典言)
언관(言官)
대언(代言)
헌언(獻言)
상언(上言)
납언(納言)
언책(言責)
-
문학
:
칠언(七言)
오언(五言)
사언(四言)
잡언(雜言)
우언(寓言)
일언제(一言題)
사언시(四言詩)
칠언율(七言律)
환언법(換言法)
칠언시(七言詩)
-
정보·통신
:
시 언어(C言語)
전언 통신(傳言通信)
형식 언어(形式言語)
공통 언어(共通言語)
인공 언어(人工言語)
정보 언어(情報言語)
산법 언어(算法言語)
기호 언어(記號言語)
로봇 언어(robot言語)
간이 언어(簡易言語)
陀
총획:8
부수:阜
-
불교
:
미타(彌陀)
난타(難陀)
가타(伽陀)
두타(頭陀)
타불(陀佛)
불타(佛陀)
미타불(彌陀佛)
안타회(安陀會)
아미타(阿彌陀)
건다색(乾陀色)
-
역사
:
사타(沙陀)
마갈타(摩竭陀)
나란타(那爛陀)
거타주(居陀州)
수다라(首陀羅)
설연타(薛延陀)
마가타(摩伽陀)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계유명 전씨 아미타불 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감산사 석조 아미타불 입상(甘山寺石造阿彌陀佛立像)
-
인명
:
화타(華陀)
마라난타(摩羅難陀)
기타 태자(祇陀太子)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
-
지명
:
가나다(加那陀)
푸퉈산(Putuo[普陀]山)
두타산(頭陀山)
보타산(普陀山)
-
종교 일반
:
폐타(吠陀)
이구폐타(梨俱吠陀)
羅
그물 라
총획:19
부수:网
-
불교
:
나찰(羅刹)
마라(魔羅)
다라(多羅)
나망(羅網)
염라(閻羅)
나한(羅漢)
수라(修羅)
나복(羅卜)
괘라(掛羅)
나절(羅切)
-
역사
:
가라(加羅/伽羅/迦羅)
전라(全羅)
설라(薛羅)
신라(新羅)
나졸(羅卒)
사라(斯羅)
나제(羅濟)
둔라(屯羅)
나당(羅唐)
탁라(乇羅)
-
인명
:
나식(羅湜)
나빈(羅彬)
일라(日羅)
나세(羅世)
나습(羅什)
나철(羅喆)
나빙(羅聘)
나목(羅牧)
나유(羅裕)
나중소(羅仲昭)
-
지명
:
나진(羅津)
섬라(暹羅)
나성(羅城)
나부(羅府)
나주(羅州)
나마(羅馬)
나남(羅南)
나마니(羅馬尼)
나진만(羅津灣)
마라도(馬羅島)
-
식물
:
다라(多羅)
나왕(羅王)
가라(伽羅)
암라(菴羅)
나한송(羅漢松)
전추라(翦秋羅)
암마라(菴摩羅)
전춘라(翦春羅)
나전초(羅氈草)
부라수(簿羅樹)
尼
여승 니
화평할 니
총획:5
부수:尸
-
불교
:
이강(尼講)
이사(尼寺)
선니(禪尼)
이고(尼姑)
이원(尼院)
이승(尼僧)
이계(尼戒)
비니(毘尼)
도니(度尼)
승니(僧尼)
-
인명
:
중니(仲尼)
이문(泥文/尼文)
덕니(德尼)
이보(尼父)
탈해 이사금(脫解尼師今)
벌휴 이사금(伐休尼師今)
흘해 이사금(訖解尼師今)
일성 이사금(逸聖尼師今)
첨해 이사금(沾解尼師今)
지마 이사금(祗摩尼師今)
-
역사
:
니야(Niya[尼雅])
이사금(尼師今)
이계상(尼谿相)
이탕개의 난(尼蕩介의亂)
아니대도유나(阿尼大都唯那)
마니산 참성단(摩尼山塹星壇)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
지명
:
인니(印尼)
나마니(羅馬尼)
마니산(摩尼山)
마니라(摩尼剌)
토니사(土尼斯)
남비니(藍毘尼)
-
문학
:
아기니(阿耆尼/阿祇儞)
나니가(羅尼歌)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진언 다라니
:
니로 끝나는 단어: 총 877개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75개입니다.- 예: 옥니(玉니), 비니(Vigny, Alfred Victor, de Comte), 오니, 은니(銀泥), 은니(銀니)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76개입니다.- 예: 모노포니, 을데라니, 젖어머니, 말주머니, 호모포니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2개의 분야 중에서 인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0개입니다.- 예: 세니, 버니, 중니, 헤니, 비니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69 종류의 한자 중에서 55번 사용된 泥이 최다입니다.- 예: 청니(靑泥), 장니(障泥), 은니(銀泥), 적니(赤泥), 동니(銅泥)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36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아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개입니다.- 예: 아기니, 아니, 아자버니, 아랫니, 아그니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73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오니, 옷니, 으니, 은니, 육니
-
-
진언 다라니
:
라니로 끝나는 단어: 총 36개
-
라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개입니다.- 예: 다라니, 폴라니(Polanyi, Michael), 초라니, 바라니(Bárány, Robert), 폴라니(Polanyi, Karl)
-
라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개입니다.- 예: 폴라니, 으라니, 느라니, 빌라니, 더라니
-
라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분야 중에서 불교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개입니다.- 예: 대다라니, 사다라니, 존승다라니, 진언 다라니, 타라니
-
라니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2 종류의 한자 중에서 11번 사용된 尼이 최다입니다.- 예: 존승다라니(尊勝陀羅尼), 복장 다라니(伏藏陀羅尼), 진언 다라니(眞言陀羅尼),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 타라니(陀羅尼)
-
라니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9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예: 고라니, 고시라니
-
라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6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을데라니, 으라니, 앙크라니, 아이 초라니, 육자 다라니
-
-
: 자음 ㅈㅇㄷㄹㄴ 단어: 총 1개
-
자음 ㅈㅇㄷㄹㄴ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ㅣㅓㅏㅏㅣ 단어: 총 3개
-
모음 ㅣㅓㅏㅏㅣ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진언 다라니
:
진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952개
-
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46개입니다.- 예: 진(晉), 진(陳), 진(眞), 진(秦), 진(辰)
-
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25개입니다.- 예: 진해, 진면, 진로, 진거, 진사
-
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5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94개입니다.- 예: 진무, 진연, 진, 진곡, 진관
-
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21 종류의 한자 중에서 423번 사용된 眞이 최다입니다.- 예: 진도(眞道), 진영(眞影), 진과(眞瓜), 진소(眞梳), 진작(眞勺)
-
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6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06개입니다.- 예: 진부하다, 진통하다, 진환하다, 진포하다, 진원하다
-
-
진언 다라니
:
진언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6개
-
진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6개입니다.- 예: 진언(嗔言), 진언(盡言), 진언(進言), 진언(眞諺), 진언종(眞言宗)
-
진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개입니다.- 예: 진언 비밀, 진언하다, 진언번등, 진언양부, 진언 지관
-
진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분야 중에서 불교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개입니다.- 예: 진언, 진언문, 진언양부, 진언교, 진언 지관
-
진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9 종류의 한자 중에서 21번 사용된 言이 최다입니다.- 예: 진언(嗔言), 진언(盡言), 진언(進言), 진언종(眞言宗), 진언문(眞言文)
-
진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끝 글자 중에서 언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진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