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백론 (堅白論) 🌟의미
견백론
: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명사
한자어
단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견백동이: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
발음:
견뱅논

堅
굳을 견
총획:11
부수:土
白
흰 백
총획:5
부수:白
-
식물
:
백창(白菖)
백렴(白蘞)
백선(白鮮)
백소(白蘇)
백단(白椴)
백화(白化)
백단(白檀)
백호(白蒿)
백미(白薇)
백등(白藤)
-
지명
:
백산(白山)
백강(白江)
태백(太白)
백해(白海)
백두(白頭)
백봉(白峯)
백오(白烏)
백수산(白水山)
백운산(白雲山)
소백산(小白山)
-
역사
:
백도(白陶)
백패(白牌)
백군(白軍)
백자(白字)
왕백(王白)
백혁(白革)
백문(白文)
백건(白建)
반백(半白)
백도(白徒)
-
동물
:
백관(白鸛)
백서(白鼠)
백하(白蝦)
백곡(白鵠)
백전(白顚)
백교(白鮫)
백분(白鱝)
백토(白兔)
백로(白鷺)
백기(白驥)
-
의학
:
백선(白癬)
백반(白斑)
백안(白眼)
백목(白目)
회백질(灰白質)
백혈구(白血球)
백모증(白毛症)
백판증(白板症)
백반증(白斑症)
백피증(白皮症)
論
논의할 론
총획:15
부수:言
-
철학
:
이론(理論)
추론(推論)
결론(結論)
낙론(洛論)
성론(性論)
논식(論式)
성론(聲論)
덕론(德論)
논리(論理)
승론(勝論)
-
책명
:
제론(齊論)
논어(論語)
노론(魯論)
논형(論衡)
여론(輿論)
고론(古論)
전론(典論)
실천론(實踐論)
모순론(矛盾論)
독일론(獨逸論)
-
경제
:
분배론(分配論)
가치론(價値論)
지대론(地代論)
지수론(指數論)
단세론(單稅論)
동태론(動態論)
정태론(靜態論)
금융론(金融論)
단일세론(單一稅論)
시장 이론(市場理論)
-
물리
:
양자론(量子論)
섭동론(攝動論)
장이론(場理論)
색력론(色力論)
전자론(電子論)
상대론(相對論)
고체론(固體論)
이론식(理論式)
물성론(物性論)
충돌론(衝突論)
-
불교
:
대론(大論)
중론(衆論)
경론(經論)
논가(論家)
논강(論講)
석론(釋論)
백론(百論)
논사(論師)
법론(法論)
논종(論宗)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견백론
:
론으로 끝나는 단어: 총 1,154개
-
론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39개입니다.- 예: 강론(講論), 여론(餘論), 대론(臺論), 대론(大論), 벽론(僻論)
-
론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64개입니다.- 예: 일신론, 무신론, 황화론, 주토론, 후천론
-
론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1개의 분야 중에서 철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260개입니다.- 예: 낙론, 이론, 결론, 덕론, 무신론
-
론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07 종류의 한자 중에서 1,016번 사용된 論이 최다입니다.- 예: 강론(講論), 여론(餘論), 대론(大論), 벽론(僻論), 론(論)
-
론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91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정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29개입니다.- 예: 정한론, 정론, 정당론, 정보론, 정수론
-
론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04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이론, 외론, 여론, 요론, 아론
-
-
견백론
:
백론으로 끝나는 단어: 총 2개
-
백론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자음 ㄱㅂㄹ 단어: 총 64개
-
자음 ㄱㅂㄹ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9개입니다.- 예: 겹비례(겹比例), 골바람, 감바리, 강박류(糠粕類), 가보르(Gábor, Dennis)
-
자음 ㄱㅂㄹ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개의 분야 중에서 인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7개입니다.- 예: 구봉령, 김병록, 김병로, 가보르, 게바라
-
자음 ㄱㅂㄹ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9 종류의 한자 중에서 6번 사용된 金이 최다입니다.- 예: 김병로(金炳魯), 금분로(金盆露), 김법린(金法麟), 김병록(金丙錄), 금블록(金bloc)
-
-
: 모음 ㅕㅐㅗ 단어: 총 37개
-
모음 ㅕㅐㅗ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7개입니다.- 예: 영매소(零賣所), 평행조(平行調), 혈액독(血液毒), 결핵종(結核腫), 연애고(戀愛苦)
-
모음 ㅕㅐㅗ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개의 분야 중에서 지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예: 연대도, 현내봉, 연대봉
-
모음 ㅕㅐㅗ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8 종류의 한자 중에서 10번 사용된 行이 최다입니다.- 예: 연행도(緣行道), 평행조(平行調), 병행조(竝行調), 연행록(燕行錄), 여행도(女行圖)
-
모음 ㅕㅐㅗ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연행도, 연애고, 연행록, 연대도, 연애론
-
-
견백론
:
견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565개
-
견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77개입니다.- 예: 견(堅), 견(絹), 견(繭), 견집(堅執), 견축(見逐)
-
견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20개입니다.- 예: 견속, 견혹, 견곤, 견잠, 견부
-
견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0개의 분야 중에서 불교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2개입니다.- 예: 견혹, 견하, 견분, 견루, 견차
-
견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8 종류의 한자 중에서 154번 사용된 見이 최다입니다.- 예: 견루(見漏), 견분(見分), 견해(見解), 견진(見眞), 견식(見識)
-
견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8개입니다.- 예: 견표하다, 견중하다, 견디다, 견주다, 견패하다
-
-
견백론
:
견백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개
-
견백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