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ㄷ 🌷자음(초성) 단어 974개
-
겸대 (兼帶) : 두 가지 이상의 직무를 아울러 맡아봄. 또는 그 직무.
🌏 兼: 겸할 겸 帶: 띠 대 -
강도 (講道) : 1 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일. 2 도를 강의하거나 설명함.
🌏 講: 강론할 강 道: 길 도 -
그덧 : 잠시 그동안.
-
가두 (街頭) : 도시의 길거리.
🌏 街: 거리 가 頭: 머리 두 -
구도 (寇盜) :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따위의 나쁜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
🌏 寇: 도둑 구 盜: 도둑 도 -
교단 (校壇) : 학교의 운동장에 무대처럼 만들어 놓은 단. 조회 시간이나 운동 시간에 교사가 그 위에 올라가 훈시하거나 지휘를 한다.
🌏 校: 학교 교 壇: 단 단 -
갑두 (閘頭) : 운하나 수로, 항구 따위에서 때때로 여닫는 수문(水門).
🌏 閘: 문 여닫을 갑 頭: 머리 두 -
감동 (感動) : 크게 느끼어 마음이 움직임.
🌏 感: 느낄 감 動: 움직일 동 -
갉다 : 1 날카롭고 뾰족한 끝으로 바닥이나 거죽을 박박 문지르다. 2 갈퀴 따위로 빗질하듯이 좀스럽게 끌어 들이다. 3 남을 좀스럽게 헐뜯다. ... (총 4개의 의미)
-
고담 (古談) : 예전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
🌏 古: 옛 고 談: 말씀 담 -
거두 (去頭) : 머리를 잘라 버림.
🌏 去: 갈 거 頭: 머리 두 -
각담 (咯痰) : 가래를 뱉음. 또는 그 가래.
🌏 咯: 울 각 痰: 가래 담 -
귀동 (貴童) : 특별히 귀염을 받는 아이.
🌏 貴: 귀할 귀 童: 아이 동 -
계도 (戒刀) : 비구가 늘 가지고 다니는 작은 칼. 머리카락이나 손톱, 베를 자르는 데 쓴다.
🌏 戒: 경계할 계 刀: 칼 도 -
견당 (遣唐) : 당나라에 사신을 보냄.
🌏 遣: 보낼 견 唐: 당나라 당 -
강대 (講對) : 경서를 강론하고 묻고 대답함.
🌏 講: 강론할 강 對: 대답할 대 -
금당 (禁堂) : 조선 시대에, 의금부의 당상관.
🌏 禁: 금할 금 堂: 집 당 -
금도 (金桃) : 복숭아의 한 종류.
🌏 金: 쇠 금 桃: 복숭아나무 도 -
고단 (庫緞) : 중국 비단의 하나. 가는 실로 촘촘히 짠 것으로 윤이 나고 두껍다.
🌏 庫: 곳집 고 緞: 비단 단 -
경독 (耕讀) : 1 농사짓기와 글 읽기. 2 농사를 지으며 글을 읽음.
🌏 耕: 밭갈 경 讀: 읽을 독 -
계덕 (季德) : 백제의 십육 관등 가운데 열째 등급. 비색(緋色)의 공복(公服)에 푸른 띠를 둘렀다.
🌏 季: 계절 계 德: 덕 덕 -
객담 (喀痰) : 가래를 뱉음. 또는 그 가래.
🌏 喀: 토할 객 痰: 가래 담 -
군도 (群盜) : 떼를 지어 도둑질을 하는 무리.
🌏 群: 무리 군 盜: 도둑 도 -
격단 (激湍) : 몹시 빠르게 흐르는 여울.
🌏 激: 과격할 격 湍: 여울 단 -
경대 (瓊臺) : 옥으로 장식한 궁전과 누대(樓臺)라는 뜻으로, 호화로운 궁전을 이르는 말.
🌏 瓊: 붉은 옥 경 臺: 돈대 대 -
교독 (交讀) : 1 글을 번갈아 읽음. 2 예배 때에 십계명이나 시편, 또는 성경에서 발췌한 글을 설교자와 신도가 한 구절씩 번갈아 읽는 일.
🌏 交: 사귈 교 讀: 읽을 독 -
공대 (空垈) : 1 집을 지을 빈터. 2 울 안의 빈터.
🌏 空: 빌 공 垈: 터 대 -
구등 (篝燈) : 바람을 막기 위하여 불어리를 씌운 등.
🌏 篝: 배롱 구 燈: 등잔 등 -
기도 (箕島) : 전라남도 신안군 상의면에 속하는 섬. 면적은 0.21㎢.
🌏 箕: 키 기 島: 섬 도 -
가동 (街童) : 길거리에서 노는 아이들.
🌏 街: 거리 가 童: 아이 동 -
공도 (公道) : 공중(公衆)이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통행하도록 나라나 도(道), 시(市) 등에서 마련하여 관리하는 길.
🌏 公: 공변될 공 道: 길 도 -
강두 (江頭) : 강가의 나루 근처.
🌏 江: 강 강 頭: 머리 두 -
기단 (氣團) : 넓은 지역에 걸쳐 있는, 수평 방향으로 거의 같은 성질을 가진 공기 덩어리. 발원지에 따라 적도 기단, 열대 기단, 한대 기단, 북극 기단 따위가 있다.
🌏 氣: 기운 기 團: 둥글 단 -
관동 (關東) : 강원도에서 대관령 동쪽에 있는 지역.
🌏 關: 빗장 관 東: 동녘 동 -
강담 (講談) : 강연이나 강의식의 말투로 이야기함. 또는 그런 이야기.
🌏 講: 강론할 강 談: 말씀 담 -
간도 (懇到) : 지극히 정성스럽게 마음을 씀.
🌏 懇: 정성 간 到: 다다를 도 -
감동 (撼動) : 이리저리 뒤흔듦.
🌏 撼: 흔들 감 動: 움직일 동 -
것다 : (예스러운 표현으로) 해라할 자리에 쓰여, 경험이나 이치로 미루어 틀림없이 그러할 것임을 추측하거나 다짐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괴대 (拐帶) : 속임수를 써서 사람을 유괴하거나 물건을 가지고 달아남.
🌏 拐: 속을 괴 帶: 띠 대 -
공대 (供臺) : 공양할 물건을 얹는 대.
🌏 供: 이바지할 공 臺: 돈대 대 -
간디 (Gandhi, Indira Priyadarshini Nehru) : 인도의 정치가(1917~1984). 네루 수상의 딸로, 일찍부터 인도 독립 운동에 참가하여 1966년에 수상에 취임하였다. 1977년에 퇴진하였으나 1980년에 다시 수상에 취임하였다. 1984년에 시크교도에게 암살되었다.
-
갈두 (楬豆) : 장식을 하지 아니한 나무 제기(祭器).
🌏 楬: 푯말 갈 豆: 콩 두 -
계도 (桂櫂) : 계수나무로 만든 노.
🌏 桂: 계수나무 계 櫂: 노 도 -
기대 (機臺) : 기계를 올려놓는 받침.
🌏 機: 틀 기 臺: 돈대 대 -
권당 (眷黨) : 친족과 외척을 아울러 이르는 말.
🌏 眷: 돌아볼 권 黨: 무리 당 -
겸득 (兼得) : 여러 가지를 아울러 얻음.
🌏 兼: 겸할 겸 得: 얻을 득 -
건대 (건袋) : 승려가 시중에 나가 쌀이나 돈을 얻는 데 쓰는 종이 주머니.
🌏 袋: 자루 대 -
구도 (構圖) : 그림에서 모양, 색깔, 위치 따위의 짜임새.
🌏 構: 얽을 구 圖: 그림 도 -
경동 (驚動) : 놀라서 움직임.
🌏 驚: 놀랄 경 動: 움직일 동 -
기도 (氣度) : 기개와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 氣: 기운 기 度: 법도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