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 💕시작 단어 💡식물 분야 10개
-
창이
(蒼耳)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5미터 정도이고 온몸에 거친 털이 많으며, 잎은 삼각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여름에 노란 두상화(頭狀花)가 피는데 수꽃은 꼭지에 붙고 암꽃은 그 밑에 붙으며, 열매는 수과(瘦果)로 갈고리 모양의 가시와 짧은 털이 있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蒼: 푸를 창 耳: 귀 이 -
창백출
(蒼白朮)
:
창출과 백출을 아울러 이르는 말.
🌏 蒼: 푸를 창 白: 흰 백 朮: 차조 출 -
창출
(蒼朮)
:
1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50cm이며, 잎은 어긋난다. 8월에 붉은색이나 흰색의 두상화(頭狀花)가 핀다. 평남의 산지(山地)에서 자란다.
2
당삽주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소화 불량, 설사, 수종(水腫) 따위에 쓴다.
🌏 蒼: 푸를 창 朮: 차조 출 -
창방조생
(倉方早生)
:
복숭아의 조숙종 품종의 하나. 과실의 크기는 중간 정도로 살이 단단하고 달며 품질이 좋다. 7월 상순부터 수확한다.
🌏 倉: 곳집 창 方: 모 방 早: 일찍 조 生: 날 생 -
창맨드라미
(槍맨드라미)
:
비름과의 한해살이풀. 맨드라미의 한 변종으로 높이는 15~50cm이며, 줄기와 잎은 누런 녹색이고 꽃이삭은 원뿔형이다. 8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포과(胞果)로 10월에 익는다. 화단용 또는 꽃꽂이용으로 재배한다.
🌏 槍: 무기 창 -
창포
(菖蒲)
:
1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70~100cm이며, 온몸에 향기가 있다. 뿌리줄기는 통통하고 마디가 많으며,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나고 가는 선 모양이다. 6~7월에 연한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꽃줄기 끝에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붉은 장과(漿果)를 맺는다. 뿌리는 약용하고 단오에 창포물을 만들어 머리를 감거나 술을 빚는다. 연못이나 도랑의 가장자리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동아시아, 시베리아, 말레이시아, 인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2
‘석창포’의 뿌리. 의식이 혼미하거나 소화 불량, 건망증 따위에 쓴다. (석창포: 천남성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마디가 많으며, 잎은 뭉쳐나고 선 모양이다. 6~7월에 잎처럼 생긴 꽃줄기 끝에 누런 녹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뿌리와 줄기는 청량 건위제나 구충제로 쓰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흐르는 물가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 菖: 창포 창 蒲: 부들 포 - 창질경이 : 질경잇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피침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7~8월에 흰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蒴果)로 검게 익는다. 유럽이 원산지이고 우리나라에는 귀화하여 전역에 분포한다.
-
창초
(鬯草)
:
백합과 튤립속의 여러해살이풀을 이르는 말. 높이는 2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 모양이다. 4~5월에 종 모양의 흰색, 노란색, 자주색의 겹꽃이 핀다. 꽃은 술을 빚는 데 쓰기도 한다. 관상용이고 동남 유럽과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다.
🌏 鬯: 술 이름 창 草: 풀 초 -
창꼴
(槍꼴)
:
식물의 잎이 창날처럼 된 모양. 메꽃의 잎 따위가 있다.
🌏 槍: 무기 창 - 창고사리 :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잎은 드문드문 난다. 홀씨주머니무리는 선 모양이고 길이가 일정하지 않다.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제주, 일본 남부,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