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시작 단어 💡책명 분야 17개
-
십죽재 화보
(十竹齋畫譜)
:
중국 명나라의 십죽재 호정언(胡正言)의 목판 화보. 서화보(書畫譜), 과보(果譜), 영모보(翎毛譜), 묵화보(墨畫譜), 난보(蘭譜), 죽보(竹譜), 매보(梅譜), 석보(石譜)의 8책으로 되어 있다. 고금의 작품을 수록한 복제(複製) 서화집으로, 중국 색쇄 판화(色刷版畫)의 형태를 잘 보여 준다.
🌏 十: 열 십 竹: 대 죽 齋: 재계할 재 畫: 그림 화 譜: 계보 보 -
십삼경
(十三經)
:
중국의 열세 가지 경서. ≪역경≫, ≪서경≫, ≪시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좌씨전≫, ≪공양전≫, ≪곡량전≫, ≪논어≫, ≪효경≫, ≪이아≫, ≪맹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十: 열 십 三: 석 삼 經: 경서 경 -
십칠사찬고금통요
(十七史纂古今通要)
:
조선 시대의 역사 평론서. 중국 원나라의 호일계(胡一桂)가 편찬한 태고(太古)에서 오대(五代)까지의 17정사(正史)를 간추린 책을 태종 연간에 계미 동활자(癸未銅活字)를 사용하여 간행하였다. 오늘날은 권지십육(卷之十六), 권지십칠(卷之十七)의 각 1책이 전한다. 국보 제148호.
🌏 十: 열 십 七: 일곱 칠 史: 역사 사 纂: 모을 찬 古: 옛 고 今: 이제 금 通: 통할 통 要: 중요할 요 -
십칠첩
(十七帖)
:
중국 동진(東晉)의 왕희지의 편지를 한 권으로 모아 엮은 법첩(法帖). 초서(草書)의 대표작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 十: 열 십 七: 일곱 칠 帖: 휘장 첩 -
십삼사
(十三史)
:
중국의 열세 가지의 사서(史書). 당나라 때 ≪사기≫, ≪한서(漢書)≫, ≪후한서≫, ≪삼국지≫, ≪진서(晉書)≫, ≪송서≫, ≪남제서≫, ≪양서(梁書)≫, ≪진서(陳書)≫, ≪후위서(後魏書)≫, ≪북제서≫, ≪주서(周書)≫, ≪수서(隋書)≫를 이르는 말이다.
🌏 十: 열 십 三: 석 삼 史: 역사 사 -
십팔사
(十八史)
:
중국의 ‘십칠사’에 ≪송사(宋史)≫를 더한 열여덟 사서(史書). (십칠사: 중국 태고(太古)에서 오대(五代)까지의 17정사(正史).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서(晉書)≫, ≪송서≫, ≪남제서≫, ≪양서≫, ≪진서(陳書)≫, ≪후위서(後魏書)≫, ≪북제서≫, ≪주서≫, ≪수서≫, ≪남사≫, ≪북사≫, ≪신당서≫, ≪신오대사≫를 이른다.)
🌏 十: 열 십 八: 여덟 팔 史: 역사 사 -
십구사략언해
(十九史略諺解)
:
조선 영조 48년(1772)에 중국 명나라 여진(余進)의 ≪십구사략통고≫ 제1권을 한글로 음과 토를 달아 간행한 책. 2권 1책.
🌏 十: 열 십 九: 아홉 구 史: 역사 사 略: 다스릴 략 諺: 상말 언 解: 풀 해 -
십삼경주소
(十三經注疏)
:
중국 송나라 말기에 지은 ≪십삼경≫의 주석서. ≪주역정의(正義)≫, ≪상서정의≫, ≪모시정의≫, ≪예기정의≫, ≪춘추좌씨전정의≫, ≪주례정의≫, ≪의례정의≫, ≪춘추공양전정의≫, ≪춘추곡량전정의≫, ≪효경정의≫, ≪논어정의≫, ≪이아정의≫, ≪맹자정의≫이다. 416권.
🌏 十: 열 십 三: 석 삼 經: 경서 경 注: 물댈 주 疏: 트일 소 -
십일경
(十一經)
:
중국의 열한 가지 경서(經書). ≪주역≫, ≪서경≫, ≪시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삼전≫, ≪효경≫, ≪이아≫를 이른다.
🌏 十: 열 십 一: 하나 일 經: 경서 경 -
십비판서
(十批判書)
:
1945년에 중국 고대사가인 궈모뤄(郭沫若)의 연구 논문집. 중국의 고대 사회 기구와 고대 학술 사상을 비판적으로 연구하였다.
🌏 十: 열 십 批: 비평할 비 비파 비 칠 비 물리칠 비 깎을 비 비답 비 보일 비 개선할 비 평어 비 判: 판가름할 판 書: 글 서 -
십육국 춘추
(十六國春秋)
:
중국 위(魏)나라 최홍(崔鴻)이 오호 십육국의 사적(事跡)을 기록한 책. ≪전조록(前趙錄)≫, ≪후조록(後趙錄)≫, ≪전연록(前燕錄)≫, ≪전진록(前秦錄)≫, ≪후연록(後燕錄)≫, ≪후진록(後秦錄)≫, ≪남연록(南燕錄)≫, ≪하록(夏錄)≫, ≪전량록(前涼錄)≫, ≪촉록(蜀錄)≫, ≪후량록(後涼錄)≫, ≪서진록(西秦錄)≫, ≪남량록(南涼錄)≫, ≪서량록(西涼錄)≫, ≪북량록(北涼錄)≫, ≪북연록(北燕錄)≫으로 이루어져 있다.
🌏 十: 열 십 六: 여섯 육 國: 나라 국 春: 봄 춘 秋: 가을 추 -
십익
(十翼)
:
중국의 공자가 지었다고 전하는, 역(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 상하(上下)의 단전(彖傳), 상하의 상전(象傳), 상하의 계사전(繫辭傳), 문언전(文言傳), 서괘전(序卦傳), 설괘전(說卦傳), 잡괘전(雜卦傳)의 10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 十: 열 십 翼: 날개 익 -
십팔사략
(十八史略)
:
중국 원나라의 증선지(曾先之)가 ‘십팔사’를 요약하여 초학자용(初學者用)으로 편찬한 책. 중국 태고(太古)에서 송말(宋末)까지의 사실(史實)을 압축하여 기록하였다. 원간본(原刊本) 2권. (십팔사: 중국의 ‘십칠사’에 ≪송사(宋史)≫를 더한 열여덟 사서(史書). (십칠사: 중국 태고(太古)에서 오대(五代)까지의 17정사(正史).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서(晉書)≫, ≪송서≫, ≪남제서≫, ≪양서≫, ≪진서(陳書)≫, ≪후위서(後魏書)≫, ≪북제서≫, ≪주서≫, ≪수서≫, ≪남사≫, ≪북사≫, ≪신당서≫, ≪신오대사≫를 이른다.))
🌏 十: 열 십 八: 여덟 팔 史: 역사 사 略: 다스릴 략 -
십종곡
(十種曲)
:
중국 청나라의 이어(李漁)가 지은 희곡집.
🌏 十: 열 십 種: 씨 종 曲: 굽을 곡 -
십구사
(十九史)
:
중국에서, ≪십팔사≫에 ≪원사(元史)≫를 더한 열아홉 가지의 사서(史書).
🌏 十: 열 십 九: 아홉 구 史: 역사 사 -
십훈요
(十訓要)
:
고려 태조가 후손에 전한 신서(信書)와 훈계(訓戒) 10조로 이루어진 정치 지침서. 불교 신앙과 풍수지리 사상이 대부분으로, 역대의 왕이 이에 의하여 정치를 하였다고 한다.
🌏 十: 열 십 訓: 가르칠 훈 要: 중요할 요 -
십경
(十經)
:
유가(儒家)의 열 가지 경서. ≪주역≫, ≪상서≫, ≪모시≫, ≪예기≫, ≪주례≫, ≪의례≫, ≪춘추좌씨전≫, ≪공양전≫, ≪곡량전≫에 ≪논어≫ 또는 ≪효경≫을 합친 것을 이르는 말이다.
🌏 十: 열 십 經: 경서 경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 분야로 구분한 통계
▹ 사용된 한자로 구분한 통계
▹ 끝나는 글자로 구분한 통계
💡십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6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