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ㅡ ㅏ 🌻모음(중성) 단어 346개
-
카스바 (qaṣba) : 아프리카 북부의 아랍 여러 나라에서 볼 수 있는, 술탄이 있는 성 또는 건물. 나아가 그 주변 주거 지역까지도 이른다. 아랍어로는 본래 ‘성새’를 뜻하며 알제리의 수도 알제의 것이 특히 유명하다. (성새: 성과 요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장득만 (張得萬) : 조선 영조 때의 화가(1684~1764). 자는 군수(君秀). 호는 수은(睡隱).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왕명으로 화사(畫師) 이치(李治)와 함께 세조의 영정을 그렸다.
-
마름자 : 마름질하는 데 쓰는 자.
-
따들싹 : ‘따들싹하다’의 어근. (따들싹하다: 여러 사람이 조금 큰 목소리로 떠들어서 시끄럽다., 소문이나 사건 따위로 분위기가 조금 수선스럽다.)
-
가들막 : ‘가들막하다’의 어근. (가들막하다: 일정한 범위 안에 거의 가득하다.)
-
간증담 (干證談) : 자신의 종교적 체험에 대한 이야기.
-
가스사 (gas絲) : 방적한 직후 가스 불꽃 속을 빠른 속도로 통과하여 잔털을 태워 매끈한 광택이 나게 한 실.
-
바르다 : 1 풀칠한 종이나 헝겊 따위를 다른 물건의 표면에 고루 붙이다. 2 차지게 이긴 흙 따위를 다른 물체의 표면에 고르게 덧붙이다. 3 물이나 풀, 약, 화장품 따위를 물체의 표면에 문질러 묻히다.
-
사층장 (四層欌) : 물건을 넣는 공간이 네 층으로 된 전통 장.
-
바르한 (barkhan) : 사막에 많이 생기는 초승달 모양의 이동성 사구(沙丘). 바람받이 쪽의 불룩한 부분은 경사가 완만하나, 그 반대편인 오목한 부분은 경사가 급하다.
-
창금장 (戧金匠) : 창금을 하는 장인.
-
살르다 : → 사르다. (사르다: 불에 태워 없애다., 어떤 것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다.)
-
방음창 (防音窓) : 소리가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한 창.
-
아크라 (Accra) : 기니만 북쪽 기슭에 있는 도시. 근교의 테마 항을 통하여 카카오, 금, 망가니즈 따위를 수출한다. 가나의 수도이다.
-
자프나 (Jaffna) : 스리랑카 북부, 자프나반도 서쪽에 있는 항구 도시. 타밀(Tamil) 왕국의 수도였으며 힌두 문화의 중심지였다.
-
갈근차 (葛根차) : 우리나라 고유의 차 가운데 하나. 말린 칡뿌리를 달이거나 볶아 가루로 만들어 끓인 물에 타서 마신다.
-
타들다 : 1 일정한 한계를 넘어서 넓게 또는 깊이 번져 가며 타다. 2 안이나 속으로 들어가며 타다. 3 입술이나 목구멍 따위가 바짝 말라 들다.
-
아프간 (afghan) : 아프간바늘로 대바늘뜨기와 코바늘뜨기의 기술을 혼합하여 왕복 두 번의 동작을 되풀이해 가며 뜨는 입체적인 뜨개질 방식. 또는 그 방식으로 짠 편물.
-
빠르다 : 1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 2 어떤 것이 기준이나 비교 대상보다 시간 순서상으로 앞선 상태에 있다. 3 어떤 일이 생기거나 어떤 일을 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한 상태에 있다. ... (총 4개의 의미)
-
락트산 (lactic酸) : 젖당이나 포도당 따위의 발효로 생기는 유기산(有機酸). 무색무취의 신맛이 나는 액체로, 물과 알코올에 잘 녹는다. 염색 공업에서 환원제, 식품 공업에서 감미제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CH3CH(OH)COOH.
-
발음학 (發音學) : 말소리를 자연 과학적인 관점에서 그것이 어떤 발음 기관의 어떠한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며, 또한 만들어진 말소리가 어떻게 전달되고 청취되는가 등을 관찰하는 학문.
-
가늠값 : 정부가 다른 물가와 균형을 이루게 결정하는 농산물의 가격. 패리티 계산에 의하여 결정한 가격으로, 농산물 생산자의 소득을 다른 생산자의 소득과 균등하게 보장하여 주기 위하여 책정한다.
-
한증탕 (汗蒸湯) : 한증을 하기 위하여 목욕탕처럼 만든 시설.
-
나쁘다 : 먹은 것이 양에 차지 아니하다.
-
사슬낫 : 무기의 하나. 긴 쇠사슬의 한쪽 끝에 쇠 추를, 다른 한쪽 끝에는 낫을 단 것으로, 추를 던져 상대편의 무기나 몸을 옭아 놓고 찍는다.
-
앞들다 : 1 앞서서 들어서다. 2 윷놀이에서, 말이 앞밭에 이르다.
-
짜르랑 : 얇은 쇠붙이 따위가 서로 가볍게 부딪쳐 울리는 소리. ‘자르랑’보다 센 느낌을 준다. (자르랑: 얇은 쇠붙이 따위가 서로 가볍게 부딪쳐 울리는 소리.)
-
다습다 : 알맞게 따뜻하다.
-
판들다 : 가지고 있던 재산을 다 써서 없애 버리다.
-
마른날 : 비나 눈이 내리지 않는 갠 날.
-
발등상 (발凳床) : 나무를 상 모양으로 짜 만들어 발을 올려놓는 데 쓰는 가구.
-
하극상 (下剋上) : 계급이나 신분이 낮은 사람이 예의나 규율을 무시하고 윗사람을 꺾고 오름.
-
작은칼 : 죄수의 목에 씌우던 칼의 하나. 길이는 1미터가량이다.
-
나프타 (naphtha) : 1 석유, 콜타르, 함유 셰일(含油shale) 따위를 증류하여 얻는 탄화수소의 혼합물. 휘발성이 높고 타기 쉬우며, 끓는점이 낮다. 2 150~220℃에서 증류하여 얻는 중질의 가솔린.
-
자드락 : 나지막한 산기슭의 비탈진 땅.
-
다층탑 (多層塔) : 탑신(塔身)이 여러 층으로 된 탑.
-
박음판 (박음版) : 인쇄하는 데 쓰는 판. 재료에 따라 목판ㆍ석판ㆍ아연판ㆍ동판 따위가 있고, 양식에 따라 평판ㆍ오목판ㆍ볼록판이 있다.
-
마음장 (馬陰藏) : 부처의 음경(陰莖)이 수말의 음경처럼 늘 배 속에 숨겨져 있어 보이지 않음을 이르는 말.
-
찰그랑 : 작고 얇은 쇠붙이 따위가 조금 가볍게 떨어지거나 맞부딪쳐 울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잘그랑’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잘그랑: 작고 얇은 쇠붙이 따위가 조금 가볍게 떨어지거나 맞부딪쳐 울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바른팔 : 1 오른쪽에 달린 팔. 2 가장 가까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 도와주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한드랑 : ‘한드랑거리다’의 어근. (한드랑거리다: 매달려 있는 작은 물체가 좁은 폭으로 가볍게 자꾸 흔들리다. 또는 그렇게 하다.)
-
상승각 (上昇角) : 비행기가 이륙할 때 지평면과 비행기가 이루는 각도.
-
마르다 : 옷감이나 재목 따위의 재료를 치수에 맞게 자르다.
-
카브랄 (Cabral, Pedro Álvares) : 포르투갈의 항해가(1467?~1520). 1500년에 국왕의 명으로 인도로 항해하다가 항로를 서남쪽으로 돌려 브라질을 발견하고 탐험하였다.
-
다르랑 : 1 조금 요란하게 울리는 소리. 2 조금 요란하게 코를 고는 소리.
-
자습반 (自習班) : 일정한 정도의 지식수준에 달한 사람들이 교사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학습하도록 구성된 반.
-
짜른작 : → 짧은작. (짧은작: 길이가 짧은 화살. 주로 단궁(短弓)에 쓴다.)
-
바르작 : ‘바르작거리다’의 어근. (바르작거리다: 고통스러운 일이나 어려운 고비를 벗어나려고 팔다리를 내저으며 작은 몸을 자꾸 움직이다.)
-
타드랑 : 깨어진 쇠 그릇 따위가 부딪치거나 떨어져 울리는 소리.
-
맞은살 : 활을 쏘아 과녁 따위의 목표물을 맞힌 화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