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꽃 🌟의미
메꽃
: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피침
모양이며
양쪽
밑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여름에
나팔꽃
모양의
큰
꽃이
낮에만
엷은
붉은색으로
피고
저녁에
시든다.
뿌리줄기는
‘메’
또는
‘속근근’
이라
하여
약용하거나
어린잎과
함께
식용한다.
들에
저절로
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명사
고유어
단어
Calystegia japonica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고자화: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피침 모양이며 양쪽 밑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여름에 나팔꽃 모양의 큰 꽃이 낮에만 엷은 붉은색으로 피고 저녁에 시든다. 뿌리줄기는 ‘메’ 또는 ‘속근근’ 이라 하여 약용하거나 어린잎과 함께 식용한다. 들에 저절로 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동의어
돈장초: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피침 모양이며 양쪽 밑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여름에 나팔꽃 모양의 큰 꽃이 낮에만 엷은 붉은색으로 피고 저녁에 시든다. 뿌리줄기는 ‘메’ 또는 ‘속근근’ 이라 하여 약용하거나 어린잎과 함께 식용한다. 들에 저절로 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동의어
메: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피침 모양이며 양쪽 밑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여름에 나팔꽃 모양의 큰 꽃이 낮에만 엷은 붉은색으로 피고 저녁에 시든다. 뿌리줄기는 ‘메’ 또는 ‘속근근’ 이라 하여 약용하거나 어린잎과 함께 식용한다. 들에 저절로 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동의어
미초: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피침 모양이며 양쪽 밑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여름에 나팔꽃 모양의 큰 꽃이 낮에만 엷은 붉은색으로 피고 저녁에 시든다. 뿌리줄기는 ‘메’ 또는 ‘속근근’ 이라 하여 약용하거나 어린잎과 함께 식용한다. 들에 저절로 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동의어
선복: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피침 모양이며 양쪽 밑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여름에 나팔꽃 모양의 큰 꽃이 낮에만 엷은 붉은색으로 피고 저녁에 시든다. 뿌리줄기는 ‘메’ 또는 ‘속근근’ 이라 하여 약용하거나 어린잎과 함께 식용한다. 들에 저절로 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동의어
선화: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피침 모양이며 양쪽 밑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여름에 나팔꽃 모양의 큰 꽃이 낮에만 엷은 붉은색으로 피고 저녁에 시든다. 뿌리줄기는 ‘메’ 또는 ‘속근근’ 이라 하여 약용하거나 어린잎과 함께 식용한다. 들에 저절로 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분류:
자연
/ 식물
•
활용:
메꽃이
메꽃만
•
발음:
메꼳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메꽃
:
꽃으로 끝나는 단어: 총 446개
-
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36개입니다.- 예: 박꽃, 과꽃, 꽃, 낯꽃, 산꽃(山꽃)
-
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8개입니다.- 예: 성에꽃, 흰참꽃, 배추꽃, 얘기꽃, 노랑꽃
-
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분야 중에서 식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37개입니다.- 예: 과꽃, 닻꽃, 바꽃, 꽃, 겹꽃
-
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0 종류의 한자 중에서 18번 사용된 地이 최다입니다.- 예: 눈양지꽃(눈陽地꽃), 은양지꽃(銀陽地꽃), 칠양지꽃(칠陽地꽃), 당양지꽃(唐陽地꽃), 긴양지꽃(긴陽地꽃)
-
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5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개입니다.- 예: 가지별꽃, 가는마디꽃, 가는할미꽃, 가시연꽃, 가는골무꽃
-
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67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금붓꽃, 귤꽃, 과꽃, 겹꽃, 갈꽃
-
-
메꽃
:
메꽃으로 끝나는 단어: 총 6개
-
메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
메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
메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분야 중에서 식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
메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
메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6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
메꽃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6 종류의 첫 자음으로 분류됩니다.
-
-
: 자음 ㅁㄲ 단어: 총 46개
-
자음 ㅁㄲ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8개입니다.- 예: 미끼, 모꼴, 먹꾼, 몰꾼, 망꼴(亡꼴)
-
자음 ㅁㄲ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분야 중에서 식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예: 멀꿀, 메꽃, 미깨
-
자음 ㅁㄲ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 종류의 한자 중에서 3번 사용된 喫이 최다입니다.- 예: 매끽(賣喫), 만끽(滿喫), 몰끽(沒喫)
-
-
: 모음 ㅔㅗ 단어: 총 293개
-
모음 ㅔㅗ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85개입니다.- 예: 제호(題號), 뗏목(뗏木), 세목(稅木), 페놀(phenol), 세종(世宗)
-
모음 ㅔㅗ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4개의 분야 중에서 인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21개입니다.- 예: 레노, 제롬, 제노, 헤론, 세종
-
모음 ㅔㅗ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0 종류의 한자 중에서 23번 사용된 世이 최다입니다.- 예: 세복(世福), 세모(世母), 세고(世苦), 세보(世寶), 세통(世統)
-
모음 ㅔㅗ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95번 사용된 ㅈ이 최다입니다.- 예: 제소, 제포, 제롬, 제호, 제도
-
-
메꽃
:
메로 시작하는 단어: 총 543개
-
메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42개입니다.- 예: 메통, 메거(Megger), 메타(meta), 메싹, 메조(mezzo)
-
메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6개입니다.- 예: 메이다, 메내다, 메스머, 메인슬, 메찰떡
-
메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5개의 분야 중에서 화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9개입니다.- 예: 메틸, 메타, 메틸록, 메틸화, 메탄올
-
메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1 종류의 한자 중에서 11번 사용된 酸이 최다입니다.- 예: 메소산(meso酸), 메타규산 칼슘(metha硅酸calcium), 메톡시안식향산(methoxy安息香酸), 메타크릴산(methacrylic酸), 메타인산(meta燐酸)
-
메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1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6개입니다.- 예: 메뜨다, 메치다, 메이다, 메내다, 메꽂다
-
-
메꽃
:
메꽃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개
-
메꽃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