ㅆ 🌷자음(초성) 단어 44개
-
씨 (氏) : ‘그 성씨 자체’, ‘그 성씨의 가문이나 문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氏: 성 씨 -
씨 :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 문법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아홉 가지로 분류한다.
-
쌤 : 광산이나 탄광에서, 수직으로 파 내려간 갱도.
-
싹 : 1 조금도 남기지 않고 전부. ‘삭’보다 센 느낌을 준다. (삭: 조금도 남기지 않고 전부.) 2 거침없이 밀거나 쓸거나 비비거나 하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삭’보다 센 느낌을 준다. (삭: 거침없이 밀거나 쓸어 나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3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삭’보다 센 느낌을 준다. (삭: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쌈 : ‘싸움’의 준말. (싸움: 싸우는 일.)
-
씩 : 소리 없이 싱겁게 얼핏 한 번 웃는 모양.
-
씨 (氏) : 1 같은 성(姓)의 계통을 표시하는 말. 2 그 사람을 높이거나 대접하여 부르거나 이르는 말. 공식적ㆍ사무적인 자리나 다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에서가 아닌 한 윗사람에게는 쓰기 어려운 말로, 대체로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쓴다. 3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삼인칭 대명사. 주로 글에서 쓰는데, 앞에서 성명을 이미 밝힌 경우에 쓸 수 있다.
🌏 氏: 성 씨 -
씽 : 1 바람이 매우 세차게 스쳐 지나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 사람이나 물체가 바람을 일으킬 만큼 매우 빠르게 움직일 때 나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씨 : 천, 돗자리, 짚신 따위를 짤 때에 가로로 놓는 실, 노끈, 새끼 따위.
-
쓰 : 1 모스 부호 가운데 긴 부호인 ‘─’의 이름. 2 모스 부호 가운데 긴 부호를 송신할 때 나는 소리.
-
쌍 : 몹시 화가 났을 때 욕으로 하는 말.
-
씹 : 1 여성의 성기를 비속하게 이르는 말. 2 ‘성교’를 비속하게 이르는 말. (성교: 남녀가 성기(性器)를 결합하여 육체적 관계를 맺음.)
-
쑥 : 1 안으로 깊이 들어가거나 밖으로 불룩하게 내미는 모양. 2 깊이 밀어 넣거나 길게 뽑아내는 모양. 3 대번에 빠지거나 터지는 모양. ... (총 11개의 의미)
-
쒜 : 어린아이가 다쳐서 아파할 때 다친 곳을 만지며 위로할 때 내는 소리.
-
쑥 : 1 너무 순진하거나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너무 순진하거나 어리석은 행동.
-
쓰 (Tsu[津]) : 일본 미에현(三重縣) 동부에 있는 시. 조선ㆍ섬유ㆍ전기 공업이 발달하였다. 현청 소재지이다.
-
쌤 : 개구부의 양쪽 수직 벽면. 또는 문틀이나 창틀의 수직 부재.
-
쏴 : 1 ‘쏘아’의 준말. (쏘아: 총이나 포를 쏘라는 구령에 따라 행하는 동작.) 2 ‘쏘아’의 준말. (쏘아: 총이나 포를 쏘라는 구령.)
-
쌍 (雙) : 1 ‘두 짝으로 이루어짐.’의 뜻을 나타내는 말. 2 둘씩 짝을 이룬 것. 3 둘을 하나로 묶어 세는 단위.
🌏 雙: 쌍 쌍 -
쌍 (雙) : 장구의 북편과 채편을 한꺼번에 치는 장단.
🌏 雙: 쌍 쌍 -
썩 : 1 보통의 정도보다 훨씬 뛰어나게. 2 지체 없이 빨리.
-
쌈 : 1 옷감, 피혁 따위를 알맞은 분량으로 싸 놓은 덩이를 세는 단위. 2 금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 한 쌈은 금 백 냥쭝이다. 3 바늘을 묶어 세는 단위. 한 쌈은 바늘 스물네 개를 이른다.
-
쌩 : 1 바람이 세차게 스쳐 지나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 사람이나 물체가 바람을 일으킬 만큼 빠르게 움직일 때 나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씨 : ‘태도’ 또는 ‘모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쐐 : 1 나뭇가지나 물건의 틈 사이로 바람이 몰아쳐 부는 소리. ‘쇄’보다 센 느낌을 준다. (쇄: 나뭇가지나 물건의 틈새로 바람이 몰아쳐 부는 소리.) 2 소나기가 몰아쳐 내리는 소리. ‘쇄’보다 센 느낌을 준다. (쇄: 소나기가 몰아쳐 내리는 소리.) 3 물이 급히 나오거나 내려가는 소리. ‘쇄’보다 센 느낌을 준다. (쇄: 물이 급히 나오거나 내려가는 소리.)
-
쑬 : ‘쑬하다’의 어근. (쑬하다: ‘쑬쑬하다’의 준말.)
-
쑥 : 1 국화과에 속하는 쑥, 산쑥, 덤불쑥, 참쑥, 물쑥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12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7~10월에 분홍빛이 도는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와 잎자루는 약용한다.
-
쏙 : 1 갑자기 정신이 확 나가는 모양. 2 어떤 것에 매우 탐닉하는 모양. 3 쉽게 밀어 넣거나 뽑아내는 모양. ... (총 13개의 의미)
- ㅆ : 한글 자모 ‘ㅅ’을 어울러 쓴 글자. ‘쌍시옷’이라 이르며, ‘쌍’에서와 같이 초성으로, ‘갔다’의 ‘갔’에서와 같이 종성으로 쓰인다. 혀끝을 치조나 경구개에 거의 붙이다시피 올려 날숨이 그 사이를 비집고 나오면서 마찰하여 나는 무성음이다.
-
썩 : 1 무나 사과 따위를 한 번 베어 무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석’보다 센 느낌을 준다. (석: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삭’보다 큰 느낌을 준다.) 3 거침없이 밀거나 쓸어 나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석’보다 센 느낌을 준다. (석: 거침없이 밀거나 쓸어 나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삭’보다 큰 느낌을 준다.) ... (총 4개의 의미)
-
써 : ‘그것을 가지고’, ‘그것으로 인하여’의 뜻을 지닌 접속 부사. 한문의 ‘以’에 해당하는 말로 문어체에서 주로 쓴다.
-
씨 : 마음에 차지 않거나 못마땅할 때 내는 소리. ‘시’보다 센 느낌을 준다.
-
쌈 : 밥이나 고기, 반찬 따위를 상추, 배추, 쑥갓, 깻잎, 취, 호박잎 따위에 싸서 먹는 음식.
-
쌤 : ‘쌤통’을 속되게 이르는 말. (쌤통: 남이 낭패 본 것을 고소해하는 뜻으로 이르는 말.)
-
쓱 : 1 슬그머니 내밀거나 들어가는 모양. 2 슬쩍 사라지는 모양. 3 빨리 지나가는 모양. ... (총 5개의 의미)
-
쏠 : 작은 폭포.
-
싸 : ‘싸하다’의 어근. (싸하다: 혀나 목구멍 또는 코에 자극을 받아 아린 듯한 느낌이 있다., 어떤 것이 아린 듯한 자극성이 있다.)
-
쌀 : 1 볏과에 속한 곡식의 껍질을 벗긴 알을 통틀어 이르는 말. 쌀, 보리쌀, 좁쌀 따위가 있다. 2 벼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맹이. 3 멥쌀을 보리쌀 따위의 잡곡이나 찹쌀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쏴 : 1 나뭇가지나 물건의 틈 사이로 바람이 스쳐 부는 소리. ‘솨’보다 센 느낌을 준다. (솨: 나뭇가지나 물건의 틈 사이로 바람이 스쳐 부는 소리.) 2 비바람이 치거나 물결이 밀려오는 소리. ‘솨’보다 센 느낌을 준다. (솨: 비바람이 치거나 물결이 밀려오는 소리.) 3 물이 급히 내려가거나 나오는 소리. ‘솨’보다 센 느낌을 준다. (솨: 물이 급히 내려가거나 나오는 소리.)
-
싹 : 1 움트기 시작하는 현상 따위의 시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씨, 줄기, 뿌리 따위에서 처음 돋아나는 어린잎이나 줄기. 3 어떤 일이나 사람이 앞으로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
-
쏙 : 쏙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9cm 정도이다. 등딱지는 거의 삼각형이고 배 부분은 다섯 마디로 길다. 이마의 등 쪽은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고 털로 덮여 있다. 돔 낚시의 미끼로 쓰이며, 바닷가 모래 진흙 속에 구멍을 파고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씨 : 1 식물의 열매 속에 있는, 장차 싹이 터서 새로운 개체가 될 단단한 물질. 2 새로운 동물을 낳아 번식시키는 근원이 되는 것. 3 앞으로 커질 수 있는 근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총 5개의 의미)
-
씩 : 1 ‘그 수량이나 크기로 나뉘거나 되풀이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화자가 예상하거나 기대한 수준을 넘어서는 말 뒤에서 ‘아주 뜻밖’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속성이나 정도의 강조를 나타낸다. 주로 ‘씩이나’ 꼴로 쓰인다.
-
쌕 : 소리 없이 눈으로 얼른 한 번 웃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