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ㅎ 🌷자음(초성) 단어 1,143개
-
기후 (Gihu[岐阜]) : 일본 기후현 서남부에 있는 시. 방직ㆍ기계ㆍ기구ㆍ제재 및 목제품 공업이 발달하였으며, 우산ㆍ초롱ㆍ부채 따위의 특산물이 있다. 물고기 잡는 풍습이 전해져 내려와 관광 자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현청 소재지이다.
-
귀화 (鬼火) : 밤에 무덤이나 축축한 땅 또는 고목이나 낡고 오래된 집에서 인 따위의 작용으로 저절로 번쩍이는 푸른빛의 불꽃.
-
가화 (加貨) : 많은 선물.
-
공후 (公侯) : 1 다섯 등급으로 나눈 귀족 계급 가운데서 공작과 후작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봉건 시대에 군주가 내려 준 땅을 다스리던 사람.
-
계해 (癸亥) : 육십갑자의 예순째.
-
금화 (禁火) : 1 화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불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함. 2 조선 시대에, 방화에 대하여 규정한 병전의 조목. 오부(五部)를 비롯한 병조, 형조 따위 당직 관원의 복무 수칙 및 백성들의 방화에 대한 지침을 규정하고 있다.
-
국혼 (國婚) : 왕실의 혼인. 임금, 왕세자, 왕세손, 왕자, 공주, 옹주, 왕손 등의 혼인을 이른다.
-
권한 (權限) : 어떤 사람이나 기관의 권리나 권력이 미치는 범위.
-
각혈 (咯血) : 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가래를 토함. 또는 그런 증상. 결핵, 암 따위로 인해 발생한다.
-
금혁 (金革) : 전쟁에 쓰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
거휘 (擧揮) : 법무(法舞)에서 하는 춤사위의 하나. 왼쪽에서 시작하면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시작하면 왼쪽으로 연속하여 두 손을 모아 하늘을 향해 내뻗는다.
-
곡희 (穀餼) : 곡식이 풍성함.
-
규합 (糾合) : 어떤 일을 꾸미려고 세력이나 사람을 모음.
-
가후 (駕後) : 조선 시대에, 임금이 행차할 때 그 가교 뒤를 따르던 시위병.
-
가화 (家禍) : 집안에 일어난 재앙.
-
구행 (九行) : 1 구주(九州)의 길. 2 예로부터 훌륭히 여겨져 온 아홉 가지의 행동. 인(仁)ㆍ행(行)ㆍ양(讓)ㆍ신(信)ㆍ고(固)ㆍ치(治)ㆍ의(義)ㆍ의(意)ㆍ용(勇) 또는 효(孝)ㆍ자(慈)ㆍ문(文)ㆍ신(信)ㆍ언(言)ㆍ충(忠)ㆍ공(恭)ㆍ용(勇)ㆍ의(義)가 있다. 3 달의 아홉 가지 궤도. 각각 두 개의 흑도(黑道)ㆍ적도(赤道)ㆍ백도(白道)ㆍ청도(靑道)와 한 개의 황도(黃道)가 있다.
-
기회 (機會) : 1 겨를이나 짬. 2 어떠한 일을 하는 데 적절한 시기나 경우.
-
가화 (佳話) : 아름답고 좋은 내용의 이야기.
-
경형 (黥刑) : 중국에서 행하던 오형(五刑) 가운데 하나. 죄인의 이마나 팔뚝 따위에 먹줄로 죄명을 써넣던 형벌이다.
-
국화 (國貨) : 1 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공식으로 인정하여 쓰던 화폐. 초기에는 포(布)와 저화(楮貨)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그 후 동전을 사용하였다. 2 나라의 재화(財貨).
-
국휼 (國恤) : 국민 전체가 복상(服喪)을 하던 왕실의 초상. 태상왕(太上王), 상왕(上王), 왕, 왕세자, 왕세손 및 그 비(妃)의 상사(喪事)를 이른다.
-
기해 (氣海) : ‘대기’를 바다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대기: ‘공기’를 달리 이르는 말., 천체(天體)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
-
고함 (高喊) : 크게 부르짖거나 외치는 소리.
-
감화 (鹼化) : 유기 화학에서, 에스터를 알칼리의 촉매 작용으로 가수 분해 하여 알코올과 산의 알칼리염으로 분해되거나 그렇게 되게 함. 또는 그런 반응.
-
교화 (敎化) : 1 가르치고 이끌어서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함. 2 부처의 진리로 사람을 가르쳐 착한 마음을 가지게 함.
-
강호 (江湖) : 1 강과 호수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예전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등이 현실을 도피하여 생활하던 시골이나 자연. 3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세상: 사람이 살고 있는 모든 사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기간. 또는 그 기간의 삶., 어떤 개인이나 단체가 마음대로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이나 공간., 절, 수도원, 감옥 따위에서 바깥 사회를 이르는 말., 세상 사람들의 마음., ‘지상’을 천상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비할 바 없이’, ‘아주’의 뜻을 나타내는 말., ‘도무지’, ‘조금도’의 뜻을 나타내는 말.)
-
궁할 (宮割) : 중국에서 행하던 오형(五刑) 가운데 하나. 죄인의 생식기를 없애는 형벌이다.
-
가호 (加護) : 1 신 또는 부처가 힘을 베풀어 보호하고 도와줌. 2 보호하여 줌.
-
광협 (廣狹) : 1 넓음과 좁음. 2 평면이나 넓은 물체의 가로로 건너지른 거리.
-
국한 (國漢) : 1 한글과 한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국어(國語)와 한어(漢語)를 아울러 이르는 말.
-
금학 (琴鶴) : 거문고와 학이라는 뜻으로, 관리의 청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조변(趙抃)이 관리가 되어 부임할 때 거문고와 학만 싣고 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금후 (今後) : 지금으로부터 뒤에 오는 시간.
-
건학 (乾涸) : 1 내나 못의 물이 졸아 마름. 2 물건을 말려서 굳게 함.
-
견훤 (甄萱) : 후백제의 시조(867~936). 본성은 이(李). 효공왕 4년(900)에 완산에 도읍하고 후백제를 세웠다. 929년 고창(古昌)에서 왕건의 군사에게 크게 패한 뒤 차츰 형세가 기울자 935년에 고려에 항복하였다.
-
개형 (槪形) : 자세히 보지 아니하고 대체로 본 형상이나 모양.
-
교환 (交換) : 1 서로 바꿈. 2 전화나 전신이 통할 수 있도록 사이에서 선로를 연결해 줌. 3 전화 교환의 일을 맡아보는 사람. ... (총 6개의 의미)
-
강학 (講學) : 학문을 닦고 연구함.
-
기후 (氣候) : 몸과 마음의 형편이라는 뜻으로, 웃어른께 올리는 편지에서 문안할 때 쓰는 말.
-
기화 (起畫) : 단청에서, 먼저 무늬를 채색한 다음 빛깔과 빛깔의 구별이 뚜렷하게 보이도록 먹으로 줄을 그리는 일.
-
곤형 (棍刑) : 조선 후기에, 곤장을 치던 형벌. 영조 21년(1745)에 편찬된 ≪속대전≫에 처음으로 그 규정이 보인다.
-
공하 (恐嚇) : 힘으로 으르고 협박함.
-
강호 (降弧) : 총포 따위로 쏜 탄알이 다다른 정점과 떨어지는 지점이 이루는 각도.
-
기화 (機化) : 사람이나 동물이 하는 노동을 기계가 대신함. 또는 그렇게 함.
-
고환 (苦患) : 괴로워하고 번뇌함.
-
극혈 (郤穴) : 경맥 가운데 기혈이 많이 모이는 혈(穴). 장부(臟腑)에 급성병이 생겼을 때에 해당 경맥의 극혈에 반응이 나타난다.
-
극혈 (隙穴) : 벌어져 사이가 난 자리.
-
고형 (苦刑) : 숨기고 있는 사실을 강제로 알아내기 위하여 육체적 고통을 주며 신문함.
-
구환 (句喚) : 법원이 피고인, 증인, 변호인, 대리인 따위의 소송 관계인에게 소환장을 발부하여, 공판 기일이나 그 밖의 일정한 일시에 법원 또는 법원이 지정한 장소에 나올 것을 명령하는 일.
-
고향 (鼓響) : 북소리의 울림.
-
광휘 (光輝) : 1 눈부시게 훌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환하고 아름답게 눈이 부심. 또는 그 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