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칙 🌾끝 단어 258개
-
그림 법칙
(Grimm法則)
:
그림(Grimm, J)이 밝힌, 인도ㆍ유럽 어족과 게르만어 사이에 존재하는 자음 추이(子音推移)의 법칙.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대칭 법칙
(對稱法則)
:
a의 b에 대한 관계가 b의 a에 대한 관계와 같다는 법칙.
🌏 對: 대답할 대 稱: 일컬을 칭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물리 법칙
(物理法則)
:
물리 현상을 설명하는 데 쓰는 여러 가지 양이나 성질 사이의 관계식.
🌏 物: 만물 물 理: 다스릴 리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음운 법칙
(音韻法則)
:
어떤 시기에 일어난 소리의 변화에 대한 규칙.
🌏 音: 소리 음 韻: 운 운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무차별의 법칙
(無差別의法則)
:
완전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장에서는 같은 상품에는 오직 하나의 가격만이 있다는 원칙.
🌏 無: 없을 무 差: 어그러질 차 別: 다를 별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평형 이동의 법칙
(平衡移動의法則)
:
열역학적 평형 이동에 관한 법칙. 화학 평형에서 계(系)의 상태를 결정하는 변수인 온도ㆍ압력ㆍ성분 농도 따위의 조건을 바꾸면, 그 계는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새로운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1884년 르샤틀리에가 발표하였으며, 1887년 브라운이 보완하였다.
🌏 平: 평평할 평 衡: 저울대 형 移: 옮길 이 動: 움직일 동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총열량 보존 법칙
(總熱量保存法則)
:
화학 반응의 엔탈피 변화, 즉 흡수되는 총열량은 중간의 경로에 관계없이 반응의 처음과 마지막 상태에 따라서 결정된다는 법칙. 1840년에 제정 러시아의 화학자 헤스가 발견한 열화학에 관한 기본 법칙이다.
🌏 總: 거느릴 총 熱: 더울 열 量: 헤아릴 량 保: 보전할 보 存: 있을 존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옥타브 법칙
(octave法則)
:
원소를 원자량의 차례로 늘어놓으면 여덟 번째마다 성질이 비슷한 원소가 나타난다고 하는 법칙. 1864년에 영국의 화학자 뉴랜즈가 발견하여 원소 주기율의 선구가 되었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헨리의 법칙
(Henry의法則)
:
일정한 온도 아래에서 기체가 액체에 용해될 때 그 용해량은 기체의 압력에 비례한다는 법칙. 1803년에 영국의 화학자 헨리가 발견하였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암페어의 법칙
(ampere의法則)
: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 닫힌 원형 회로에서의 전류가 이루는 자기장에서 어떤 경로를 따라 단위 자극(單位磁極)을 일주(一周)시키는 데에 필요한 일의 양은, 그 경로를 가장자리로 하는 임의의 면을 관통하는 전류의 총량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인구 법칙
(人口法則)
:
인구의 변동, 특히 과잉 인구와 사회악 발생의 관계에 대한 법칙. 식량의 필요성과 인간 정욕(情欲)의 불변성이라는 두 가지 공리(公理)를 내세워 인구의 증가율이 식량의 증가율을 훨씬 앞지르기 때문에 도덕적 규제가 없으면 빈곤과 죄악의 발생이 불가피하다는 내용이다. 영국의 경제학자 맬서스가 제창하였다.
🌏 人: 사람 인 口: 입 구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앙페르의 오른나사의 법칙
(Ampère의오른螺絲의法則)
:
두 벡터의 벡터 곱셈에서 두 벡터의 곱셈 방향을 오른나사의 회전 방향으로 잡을 때, 결과 벡터의 방향은 나사의 진행 방향이 된다는 법칙. 직선 전류와 그 자기장, 또는 원형 전류와 원의 중심에 만드는 자기장 방향의 관계는, 오른나사의 방향과 나사돌리개가 돌아가는 방향으로 표시된다. 1820년에 앙페르가 발견하였다.
🌏 螺: 소라 라 소라 나 絲: 실 사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기체 확산의 법칙
(氣體擴散의法則)
:
기체와 액체가 확산하는 속도는 분자량이 클수록 작아진다는 법칙. 1831년 그레이엄이 발견하였다.
🌏 氣: 기운 기 體: 몸 체 擴: 넓힐 확 散: 흩을 산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패러데이의 전기 분해 법칙
(Faraday의電氣分解法則)
:
전해질 용액의 전기 분해에서 분리되는 물질의 양은 용액을 통과한 전기의 양과 물질의 원자량에 비례하고, 1그램당량의 물질을 분석하여 내는 데에 필요한 전기의 양은 물질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법칙.
🌏 電: 번개 전 氣: 기운 기 分: 나눌 분 푼 푼 解: 풀 해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묽힌법칙
(묽힌法則)
:
용액이 묽어질수록 그 전해질의 이온화도는 더욱 커진다는 법칙. 약전해질에만 적용된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한계 효용 균등의 법칙
(限界效用均等의法則)
:
소비자나 기업 따위가 한정된 자본이나 소득으로 여러 가지 재화를 구입하는 경우, 총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재화로 얻어지는 한계 효용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소비를 해야 한다는 경제학의 법칙. 주창자의 이름을 따서 고센(Gossen, H. H.)의 제2법칙이라고도 한다.
🌏 限: 한계 한 界: 경계 계 效: 본받을 효 用: 쓸 용 均: 고를 균 等: 같을 등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제일 여현 법칙
(第一餘弦法則)
:
‘제일코사인정리’의 옛 용어. (제일 코사인 정리: 삼각형의 꼭짓점 A, B, C의 대변을 각각 a, b, c라고 할 때, ‘a=bcosC+ccosB, b=acosC+ccosA, c=acosB+bcosA’라는 관계가 성립한다는 정리.)
🌏 第: 차례 제 一: 하나 일 餘: 남을 여 弦: 시위 현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두음 법칙
(頭音法則)
:
일부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나타나지 않거나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일. ‘ㅣ, ㅑ, ㅕ, ㅛ, ㅠ’ 앞에서의 ‘ㄹ’과 ‘ㄴ’이 없어지고, ‘ㅏ, ㅗ, ㅜ, ㅡ, ㅐ, ㅔ, ㅚ’ 앞의 ‘ㄹ’은 ‘ㄴ’으로 변하는 것 따위이다.
🌏 頭: 머리 두 音: 소리 음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전해 법칙
(電解法則)
:
전해질 용액의 전기 분해에서 분리되는 물질의 양은 용액을 통과한 전기의 양과 물질의 원자량에 비례하고, 1그램당량의 물질을 분석하여 내는 데에 필요한 전기의 양은 물질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법칙.
🌏 電: 번개 전 解: 풀 해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마르코브니코프의 법칙
(Markovnikov의法則)
:
1868년 러시아의 유기 화학자 마르코브니코프(Markovnikov, V. V.)가 발견한 유기 반응 법칙의 하나. 탄소와 탄소의 이중 결합ㆍ삼중 결합에 HX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첨가될 때, 더 많은 수소가 결합한 탄소에 수소가 첨가되고 수소의 결합이 적은 탄소에 X가 첨가된다는 규칙이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잉여 가치 법칙
(剩餘價値法則)
: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의 목적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밝혀 주는 경제 법칙. 자본가들이 노동자들을 부림으로써 잉여 가치를 획득하고 잉여 가치 생산을 증대하여 나가는 법칙이다.
🌏 剩: 남을 잉 餘: 남을 여 價: 값 가 値: 값 치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수요 공급의 법칙
(需要供給의法則)
: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른 가격의 결정과 변화를 설명한 법칙.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룰 때 정해지며,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가격이 오르고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가격이 내려가게 된다.
🌏 需: 구할 수 要: 중요할 요 供: 이바지할 공 給: 줄 급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주기 법칙
(週期法則)
:
원소를 원자 번호의 차례로 배열하였을 때, 그 성질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법칙.
🌏 週: 돌 주 期: 기약할 기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키르히호프의 법칙
(Kirchhoff의法則)
:
독일의 물리학자 키르히호프가 발견한 법칙. 정상(定常) 전류에 관한 법칙과 열복사에 관한 법칙이 있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공급의 법칙
(供給의法則)
: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늘고, 가격이 내리면 공급량이 줄어든다는 법칙.
🌏 供: 이바지할 공 給: 줄 급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베버ㆍ페히너의 법칙
(Weber-Fechner의法則)
:
물리적 자극량과 반응으로서의 감각량 내지 심리량과의 관계에 관한 법칙. 베버의 법칙을 정신 물리학의 창시자 페히너가 발전시킨 것으로, 심리적인 감각량은 자극량의 대수 함수(代數函數)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생산비의 법칙
(生産費의法則)
:
자유 경쟁하에서 생산물의 가격은 생산비와 같아진다는 명제. 이때 초과 이윤은 소멸하고 기업은 균형 상태를 이루게 된다.
🌏 生: 날 생 産: 낳을 산 費: 쓸 비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수확 체감의 법칙
(收穫遞減의法則)
:
토지, 자본, 노동의 생산 요소 가운데 어느 하나의 생산 요소만 증가시키고 다른 생산 요소를 일정하게 하면 생산량의 증가분이 차츰 감소한다는 법칙.
🌏 收: 거둘 수 穫: 벼벨 확 遞: 갈마들 체 減: 덜 감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쿨롱의 법칙
(Coulomb의法則)
:
대전된 두 전하 또는 두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은 두 전하량 또는 두 자극의 세기의 곱에 비례하고, 둘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전기력에 관한 법칙. 1785년에 프랑스의 물리학자 쿨롱이 발견하였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킹의 법칙
(King의法則)
:
곡물의 수확량이 정상 수준 이하로 감소할 때에 그 가격은 정상 수준 이상으로 오른다는 법칙. 17세기 말 영국의 경제학자 킹이 정립하였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만유인력의 법칙
(萬有引力의法則)
:
모든 물체 사이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그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며 두 물체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법칙. 1687년에 뉴턴이 발견하였다.
🌏 萬: 일만 만 有: 있을 유 引: 끌 인 力: 힘 력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비오ㆍ사바르의 법칙
(Biot-Savart의法則)
:
전류가 자석에 미치는 힘에 관한 법칙. 전류의 아주 작은 부분이 어느 점에 만드는 자기장의 크기는 전류의 세기, 그 작은 부분의 길이, 전류 방향과 그 점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사인(sine)에 비례하고, 그 점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적분한 결과는 앙페르의 법칙과 일치한다. 1820년에 프랑스의 물리학자 비오와 사바르가 발견하였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기체 유출의 법칙
(氣體流出의法則)
:
기체가 용기(容器)의 작은 구멍으로부터 내뿜는 속도는 그 기체의 밀도의 제곱근에 역비례하며, 용기 안팎의 압력 차의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법칙. 1831년 그레이엄이 발견하였다.
🌏 氣: 기운 기 體: 몸 체 流: 흐를 유 出: 날 출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빛화학 흡수 법칙
(빛化學吸收法則)
:
물질에 의하여 흡수된 빛만이 광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광화학 반응의 기본 조건을 규정하는 법칙.
🌏 化: 될 화 學: 배울 학 吸: 숨 들이쉴 흡 收: 거둘 수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베버의 법칙
(Weber의法則)
:
신경이 자극에 반응할 때 자극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은 자극의 세기에 비례한다는 법칙. 독일의 생리학자 베버(Weber, E. H.)가 발견하였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등비의 법칙
(等比의法則)
:
a:b=p:q, b:c =q:r가 성립되면, a:c=q:r도 성립된다는 법칙.
🌏 等: 같을 등 比: 견줄 비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빈삭의 법칙
(頻數의法則)
:
조건이 일정한 상황에서 가장 자주 일어나는 반응은 그 상황이 재현되었을 때 다시 일어나기 쉽다는 법칙. 왓슨이 주장한 학습 근본 원리의 하나이다.
🌏 頻: 자주 빈 數: 자주 삭 法: 법도 법 則: 법 칙 -
규범 법칙
(規範法則)
:
자연법칙에 대하여,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한다.’라는 형식을 취하는 당위의 법칙. 도덕이나 논리의 법칙이 있다.
🌏 規: 법 규 範: 법 범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묶음 법칙
(묶음法則)
:
세 수를 더하거나 곱할 때에, 앞의 두 수 또는 뒤의 두 수를 먼저 더하거나 곱하고 그 결과에 나머지 한 수를 더하거나 곱해도 결과는 같다는 법칙. (a+b)+c= a+(b+c), (aㆍb)ㆍc = aㆍ(bㆍc)인 법칙이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줄의 법칙
(Joule의法則)
:
도선(導線) 안을 흐르는 정상 전류가 일정 시간 안에 내는 줄 열의 양은 전류 세기의 제곱 및 도선의 저항에 비례한다는 법칙. 줄이 1840년에 발견하였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자연법칙
(自然法則)
:
자연계의 모든 사물을 지배하는 원인과 결과의 필연적 법칙.
🌏 自: 스스로 자 然: 그럴 연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질량 에너지 보존의 법칙
(質量energy保存의法則)
:
우주의 물질과 에너지의 총합은 항상 일정하다는 법칙. 질량 보존의 법칙과 아인슈타인의 물질의 질량과 에너지가 상호 변환 될 수 있다는 법칙을 반영한 것이다.
🌏 質: 바탕 질 폐백 지 量: 헤아릴 량 헤아릴 양 保: 보전할 보 存: 있을 존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탈베크의 법칙
(Talweg의法則)
:
국제법 규칙의 하나. 양국(兩國) 사이에 하천(河川)이 흐르고 그 위의 국경선 획정(劃定)을 위한 양국 간의 특별 합의나 관습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하천에 항행이 가능하면 가항로(可航路)의 중앙선을, 항행이 불가능하면 하천의 양쪽 기슭으로부터의 중앙선에 국경을 획정한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일반 경제 법칙
(一般經濟法則)
:
모든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경제 법칙.
🌏 一: 하나 일 般: 옮길 반 經: 경서 경 濟: 건널 제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빛화학 제이 법칙
(빛化學第二法則)
:
광화학 반응에서, 하나의 광자(光子)는 한 분자만 반응하게 한다는 법칙. 광화학 제2법칙 또는 슈타르크ㆍ아인슈타인 법칙이라고도 한다.
🌏 化: 될 화 學: 배울 학 第: 차례 제 二: 두 이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일정 조성의 법칙
(一定造成의法則)
:
화합물에서 화합물의 출처나 제법과는 무관하게 구성 원소 사이의 무게비는 일정하다는 법칙. 1799년 프랑스의 화학자 프루스트(Proust, J. L.)가 발견하였다.
🌏 一: 하나 일 定: 정할 정 造: 지을 조 成: 이룰 성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탄성의 법칙
(彈性의法則)
:
탄성체의 일그러짐은 변형력에 비례한다는 법칙. 변형력이 어떤 크기를 넘지 않는 한 모든 고체에 대하여 성립한다. 영국의 물리학자 훅이 발견하였다.
🌏 彈: 탄알 탄 性: 성품 성 法: 법도 법 則: 법 칙 -
뉴턴의 법칙
(Newton의法則)
:
뉴턴이 발견한 법칙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운동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 냉각 법칙 따위가 있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페티ㆍ클라크의 법칙
(Petty-Clark의法則)
:
한 나라의 산업 구조 변화와 경제 발전이 긴밀한 관련이 있다는 법칙. 경제학자 페티가 창안하고 클라크가 확립하였다.
🌏 法: 법도 법 則: 법 칙 곧 즉 -
경비 팽창의 법칙
(經費膨脹의法則)
:
자본주의가 발전함에 따라 국가 경비가 내연적ㆍ외연적으로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는 법칙. 자본주의가 발전하면 정부 활동이 복잡다기해지고 강화되면서 국가의 활동이 늘어나기 때문에, 인구나 국민 소득의 증가율에 비하여 국가의 경비가 더 많이 늘어난다는 내용이다. 독일의 경제학자 바그너가 정식화하였다.
🌏 經: 경서 경 費: 쓸 비 膨: 부풀 팽 脹: 배부를 창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 분야로 구분한 통계
💡법칙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개의 분야 중에서 물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1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