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시어미도 (… 🌟의미
- 개똥밭에 이슬 내릴 때가 있다 : 몹시 고생을 하는 삶도 좋은 운수가 터질 날이 있다는 말.
- 검은 머리 파 뿌리 되도록[될 때까지] : 검던 머리가 파 뿌리처럼 하얗게 셀 때까지라는 뜻으로, 오래 살아 아주 늙을 때까지를 이르는 말.
- 계집 때린 날 장모 온다 : 곤란한 처지에 있는데 더욱 곤란한 일을 당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사리도 꺾을 때 꺾는다 : 무슨 일이든 다 하여야 할 시기가 있는 것이니 그때를 놓치지 말고 하여야 한다는 말.
- 공부는 늙어 죽을 때까지 해도 다 못한다 : 지식을 넓히고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생 동안 끊임없이 배우고 학습해야 함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가는 며느리가 보리방아 찧어 놓고 가랴 : 이미 일이 다 틀어져 그만두는 터에 뒷일을 생각하고 돌아다볼 리 만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골나면 보리방아 더 잘 찧는다 : 골이 난 김에 기가 올라 일이 더 잘 되어 가는 경우를 이르는 말.
- 내 일 바빠 한댁 방아 : 큰댁의 방아를 빌려서 자기 집의 쌀을 찧어야 하겠으나 할 수 없이 큰댁의 방아 찧는 일을 먼저 거들어 주어야 한다는 뜻으로, 내 일을 하기 위하여 부득이 다른 사람의 일부터 해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돌 지고 방아 찧는다 : 디딜방아를 찧을 때는 돌을 지고 하는 것이 더 쉽다는 뜻으로, 힘을 들여야 무슨 일이나 잘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돌다(가) 보아도 마름[물방아] : 물 위에 떠돌아다니는 마름은 아무리 떠돌아도 마름이라는 뜻으로, 별다른 진보가 없이 같은 일만 되풀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는 며느리가 보리방아 찧어 놓고 가랴 : 이미 일이 다 틀어져 그만두는 터에 뒷일을 생각하고 돌아다볼 리 만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씹에 보리알 끼이듯 : 좁디좁은 곳에 무엇이 많이 끼여 있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단 거꾸로 묶은 것 같다 : 겉보리를 베서 단을 만들 때 거꾸로 묶어 놓으면 단이 허술해질 뿐만 아니라 풀어지기 쉽다는 뜻으로, 안정감이 없거나 어설프게 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돈 사기가 수양딸로 며느리 삼기보다 쉽다 : 겉보리는 식량 사정이 어려운 초여름에 수확하기 때문에 팔아서 돈으로 만들기 쉽다는 뜻으로, 아주 하기 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서 말만 있으면 처가살이하랴 : 여북하면 처가살이를 하겠느냐는 말.

- 겉보리 술 막치 사람 속인다 : 겉보리 술지게미도 많이 먹으면 취하듯이, 겉보기와는 달리 맹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는다 : 무슨 일이든지 늘 하던 사람이 더 잘한다는 말.
- 고운 사람 미운 데 없고 미운 사람 고운 데 없다 : 한번 좋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좋게만 보이고, 한번 밉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밉게만 보인다는 말.
- 고운 사람은 멱 씌워도 곱다 : 보기 흉하게 멱서리를 씌워도 고운 사람은 곱다는 뜻으로, 본색(本色)은 어떻게 하여도 나타난다는 말.
- 곡식과 사람은 가꾸기에 달렸다 : 곡식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부지런히 가꾸어야 잘되고 사람은 어려서부터 잘 가르치고 이끌어야 훌륭하게 된다는 말.
- 가시어미 눈멀 사위 : 사위가 왔을 때에 국을 끓여 주느라 생기는 연기와 김으로 장모의 눈을 멀게 할 사위라는 뜻으로, 국을 매우 좋아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시어미 장 떨어지자 사위가 국 싫다 한다 : 처갓집에 장이 떨어져서 국을 끓일 수 없게 되었는데 마침 사위가 국은 싫어서 먹지 않겠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서로 공교롭게도 때맞추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골무는 시어미 죽은 넋이라 : 바느질하다가 빼어 놓은 골무는 얼른 다시 찾아지지 않고, 일어서서 옷이나 일감을 털어야 나온다는 말.
- 며느리 늙어 시어미 된다 : 과거에 남의 아래에서 겪던 고생은 생각지도 않고 도리어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대함을 비꼬는 말.
- 며느리 자라 시어미 되니 시어미 티를 더 잘한다 : 과거에 남의 아래에서 겪던 고생은 생각지도 않고 도리어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대함을 비꼬는 말.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 가는 날이 생일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생일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일은 미련한 놈이 잘한다 : 가을 농촌 일은 매우 바쁘고 힘들기 때문에 미련한 사람처럼 꾀를 부리지 않고 묵묵히 해야 성과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갖바치 내일 모레 : 갖바치들이 흔히 맡은 물건을 제날짜에 만들어 주지 않고 약속한 날에 찾으러 가면 내일 오라 모레 오라 한다는 데서, 약속한 기일을 이날 저 날 자꾸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죽은 시어미도 (보리)방아 찧을 때는 생각난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죽은 시어미도 (보리)방아 찧을 때는 생각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 총 141개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9개입니다.- 예: 푸석돌에 불 난다, 갗에서 좀 난다, 시궁에서 용 난다, 눈물이 골짝 난다, 개천에서 용 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8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9개입니다.- 예: 왕대밭에 왕대 난다, 쌀광에서 인심 난다, 장난 끝에 살인난다, 입에서 젖내가 난다, 코에서 단내가 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아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7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못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못된 버섯이 삼월 달부터 난다, 못 먹는 씨아가 소리만 난다, 못 먹는 버섯은 삼월 달부터 난다,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이 난다, 못된 송아지 뿔부터 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3번 사용된 ㅅ이 최다입니다.- 예: 시궁에서 용 난다, 속에서 쪼르륵 소리가 난다, 선영 명당(에) 바람이 난다, 시집갈 날[때] 등창이 난다, 삼 년 구병에 불효 난다
-
-
: 자음 ㅈㅇㅅㅇㅁㄷ(ㅂㄹ)ㅂㅇㅉㅇㄸㄴㅅㄱㄴ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ㅈㅇㅅㅇㅁㄷ(ㅂㄹ)ㅂㅇㅉㅇㄸㄴㅅㄱㄴ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ㅜㅡㅣㅓㅣㅗ(ㅗㅣ)ㅏㅏㅣㅡㅐㅡㅐㅏㅏ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ㅜㅡㅣㅓㅣㅗ(ㅗㅣ)ㅏㅏㅣㅡㅐㅡㅐㅏㅏ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죽은 시어미도 (보리)방아 찧을 때는 생각난다
:
죽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396개
-
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68개입니다.- 예: 죽(粥), 죽떡(粥떡), 죽상(죽相), 죽(竹), 죽적(竹笛)
-
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3개입니다.- 예: 죽책, 죽적, 죽엽, 죽상, 죽석
-
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8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개입니다.- 예: 죽책, 죽사부, 죽장창, 죽사마, 죽계
-
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25 종류의 한자 중에서 198번 사용된 竹이 최다입니다.- 예: 죽엽(竹葉), 죽롱(竹籠), 죽(竹), 죽적(竹笛), 죽부(竹符)
-
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4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0개입니다.- 예: 죽어나다, 죽죽대다, 죽여주다, 죽어지내다, 죽치다
-
-
죽은 시어미도 (보리)방아 찧을 때는 생각난다
:
죽은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35개
-
죽은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5개입니다.- 예: 죽은 자식 나이 세기, 죽은 다음에 청심환, 죽은 고기 안문하기, 죽은 아이 눈매가 곱다, 죽은 자식 눈 열어 보기
-
죽은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개입니다.- 예: 죽은옹이, 죽은꽃집, 죽은언어, 죽은고치, 죽은 목숨
-
죽은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6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죽은언어, 죽은말
-
죽은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8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예: 죽은 농노(죽은農奴)
-
죽은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개입니다.- 예: 죽은 덤불에 산 열매 난다, 죽은 나무 밑에 살 나무 난다, 죽은 게 발 놀리듯 한다, 죽은 아이 눈매가 곱다, 죽은 정승이 산 개만 못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