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뉴월 개가죽 문… 🌟의미
- 불탄 개가죽 같다 : 일마다 이루어지지 아니하거나 발전이 없고 점점 오그라들기만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 한여름 개가죽으로 만든 문이 있는 방처럼 더운 줄 아느냐는 뜻으로, 추운 날 드나들면서 문을 열어 놓고 다니는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 한여름 개가죽으로 만든 문이 있는 방처럼 더운 줄 아느냐는 뜻으로, 추운 날 드나들면서 문을 열어 놓고 다니는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가난한 집 제사[제삿날/젯날] 돌아오듯 : 살아가기도 어려운 가난한 집에 제삿날이 자꾸 돌아와서 그것을 치르느라 매우 어려움을 겪는다는 뜻으로, 힘든 일이 자주 닥쳐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는 날이 생일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생일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는[가던] 날이 장날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장이 서는 날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문 날에 빗방울 안 떨어지는 날이 없다 : 가뭄이 계속되면서 비는 시원히 오지 않고 몇 방울 떨어지기만 한다는 말.
- 가지 많은 나무에[나무가] 바람 잘 날이 없다 : 가지가 많고 잎이 무성한 나무는 살랑거리는 바람에도 잎이 흔들려서 잠시도 조용한 날이 없다는 뜻으로, 자식을 많이 둔 어버이에게는 근심, 걱정이 끊일 날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난한 집 제사[제삿날/젯날] 돌아오듯](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19138.webp)
- 가랑니가 더 문다 : 같잖고 시시한 것이 더 괴롭히거나 애를 먹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문 날에 빗방울 안 떨어지는 날이 없다 : 가뭄이 계속되면서 비는 시원히 오지 않고 몇 방울 떨어지기만 한다는 말.
- 가문 논에 물 대기 : 일이 매우 힘들거나 힘들여 해 놓아도 성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 가문 덕에 대접받는다 : 변변치 못한 사람이 좋은 가문에 태어난 덕분에 좋은 대우를 받는다는 말.
- 가을 상추는 문 걸어 잠그고 먹는다 : 가을 상추는 특별히 맛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한 상주 방갓 대가리 같다 : 사람의 몰골이 허술하여 볼품없어 보임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가는 며느리가 보리방아 찧어 놓고 가랴 : 이미 일이 다 틀어져 그만두는 터에 뒷일을 생각하고 돌아다볼 리 만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 이쪽에서 방망이로 저쪽을 때리면 저쪽에서는 홍두깨로 이쪽을 때린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보다 더 가혹한 갚음을 받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문 날에 빗방울 안 떨어지는 날이 없다 : 가뭄이 계속되면서 비는 시원히 오지 않고 몇 방울 떨어지기만 한다는 말.
- 갓방 인두 달듯 : 갓 만드는 작업장의 인두가 언제나 뜨겁게 달아 있는 것처럼 자기 혼자 애태우며 어쩔 줄 몰라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생의 자릿저고리 : 기생의 자릿저고리는 기름때가 묻고 분 냄새가 나는 더러워진 것이라는 뜻으로, 외모가 단정하지 못하고 말씨가 간사스러운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냉수 먹고 속 차려라 : 지각 있게 처신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정신을 차리라고 비난조로 이르는 말.
- 발바닥에 털 나겠다 : 가만히 앉아 호사스럽게 지내거나 몸을 놀리기 싫어함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복장이 따뜻하니까 생시가 꿈인 줄 안다 : 마음이 편안하고 걱정이 없으니 마치 꿈속에서 사는 것같이 여긴다는 뜻으로, 무사태평하여 눈앞에 닥치는 걱정을 모르고 지냄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사복 물어미냐 지절거리기도 한다 : 사복시의 물 긷는 어미처럼 상말을 마구 지절거리는 경우를 비난조로 이르는 말.
- 겉보리 술 막치 사람 속인다 : 겉보리 술지게미도 많이 먹으면 취하듯이, 겉보기와는 달리 맹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는다 : 무슨 일이든지 늘 하던 사람이 더 잘한다는 말.
- 고운 사람 미운 데 없고 미운 사람 고운 데 없다 : 한번 좋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좋게만 보이고, 한번 밉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밉게만 보인다는 말.
- 고운 사람은 멱 씌워도 곱다 : 보기 흉하게 멱서리를 씌워도 고운 사람은 곱다는 뜻으로, 본색(本色)은 어떻게 하여도 나타난다는 말.
- 곡식과 사람은 가꾸기에 달렸다 : 곡식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부지런히 가꾸어야 잘되고 사람은 어려서부터 잘 가르치고 이끌어야 훌륭하게 된다는 말.
- 농군이 여름에 하루 놀면 겨울에 열흘 굶는다 : 농사짓는 사람이 열심히 일해야 할 여름에 게으름을 피우면 추운 겨울에 곤란을 겪게 된다는 뜻으로, 여름 시간의 귀중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솔잎이 새파라니까 오뉴월[여름철]만 여긴다 : 추위가 닥쳐왔는데도 솔잎이 새파라니까 더운 여름철로만 여긴다는 뜻으로, 근심 걱정이 쌓여 있는데 그런 줄은 모르고 작은 일 하나 되어 가는 것만 좋아함을 이르는 말.
- 시청하는 도승지가 여름 북창 밑에서 자는 사람만 못하다 : 벼슬살이를 하느라고 대궐을 드나드는 것보다 제집에서 편히 지내는 것이 더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름 난 중의로군 : 여름내 입어 명색만 남은 중의(中衣)처럼, 형편없이 됐으면서 장담만 남아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름 불도 쬐다 나면 섭섭하다 : 당장에 쓸데없거나 대단치 않게 생각되던 것도 막상 없어진 뒤에는 아쉽게 생각된다는 말.
- 계집의 곡한[독한] 마음 오뉴월에 서리 친다 : 여자가 한번 마음이 틀어져 미워하거나 원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릿발이 칠 만큼 매섭고 독하다는 말.
- 계집의 말은 오뉴월 서리가 싸다 : 여자가 앙심을 품고 하는 악담은 오뉴월에 서리를 치게 할 만큼 매섭고 독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싸늘하게 만든다는 말.
- 계집의 악담은 오뉴월에 서리 온 것 같다 : 여자가 앙심을 품고 하는 악담은 오뉴월에 서리를 치게 할 만큼 매섭고 독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싸늘하게 만든다는 말.
- 남의 일은 오뉴월에도 손이 시리다 : 남의 일은 쉬운 일이라도 괴롭게 느껴진다는 뜻으로, 남을 위하여 진심으로 성의껏 일하는 것이 쉽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닭의 새끼가 발을 벗으니 오뉴월만 여긴다 : 닭의 새끼가 맨발로 다니는 것을 보고 오뉴월 더운 때인 줄 안다는 뜻으로, 한창 추운 때에 추위를 막을 대책을 전혀 세우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
가로 끝나는 단어: 총 2,251개
-
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48개입니다.- 예: 야가(野歌), 가(賈), 가(斝), 가(可), 가(加)
-
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86개입니다.- 예: 하여가, 정열가, 중찬가, 수풀가, 목주가
-
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8개의 분야 중에서 문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278개입니다.- 예: 장가, 삼가, 화가, 도가, 간가
-
가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5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34번 사용된 家이 최다입니다.- 예: 매가(每家), 양가(養家), 기가(起家), 작가(作家), 통가(通家)
-
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8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8개입니다.- 예: 사가
-
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39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열가, 여가, 양가, 야가, 월가
-
-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
인가로 끝나는 단어: 총 32개
-
인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개입니다.- 예: 처녀면 다 확실인가,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이밥이면 다 젯밥인가, 갑술 병정 흉년인가, 원숭이 볼기짝인가
-
인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인가
-
인가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6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고공답주인가, 노인가
-
인가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 종류의 한자 중에서 4번 사용된 可이 최다입니다.- 예: 내인가(內認可), 인가(認可), 인가(印可), 불인가(不認可)
-
인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5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인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인가
-
인가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2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이밥이면 다 젯밥인가, 원숭이 볼기짝인가, 약국집 맷돌인가, 인가
-
-
: 자음 ㅇㄴㅇㄱㄱㅈㅁㅇㄱ 단어: 총 1개
-
자음 ㅇㄴㅇㄱㄱㅈㅁㅇㄱ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ㅗㅠㅝㅐㅏㅜㅜㅣ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ㅗㅠㅝㅐㅏㅜㅜㅣ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
오로 시작하는 단어: 총 3,034개
-
오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58개입니다.- 예: 오(O), 오(五), 오(烏), 오, 오(吳)
-
오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23개입니다.- 예: 오상성신, 오두머니, 오함하다, 오뚝독좌, 오그리다
-
오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인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61개입니다.- 예: 오원, 오토, 오진, 오준, 오슈
-
오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23 종류의 한자 중에서 801번 사용된 五이 최다입니다.- 예: 오청(五聽), 오과(五果), 오태(五太), 오령(五嶺), 오(五)
-
오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33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08개입니다.- 예: 오과다, 오가다, 오홉다, 오다, 오비다
-
-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
오뉴로 시작하는 단어: 총 35개
-
오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4개입니다.- 예: 오뉴월 써렛발 같다,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오뉴월 두룽다리, 오뉴월 존장(尊長)이라, 오뉴월 송장이라
-
오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9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예: 오뉴월 개가죽 문인가, 오뉴월에 얼어 죽는다, 오뉴월 감주 맛 변하듯
-
오뉴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3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예: 오뉴월(五六月)
-
오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7개입니다.- 예: 오뉴월 써렛발 같다, 오뉴월 손님은 호랑이보다 무섭다, 오뉴월 바람도 불면 차갑다, 오뉴월 볕은 솔개만 지나도 낫다, 오뉴월 쇠불알 떨어지기를 기다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