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잔치[장/제… 🌟의미
남의 잔치[장/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남의 일에 흥야항야한다: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의어
사돈네 제사에 가서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의어
사돈집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의 잔치[장/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26261.webp)
-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지[먹으면 된다] : 남의 일에 쓸데없는 간섭을 하지 말고 되어 가는 형편을 보고 있다가 이익이나 얻도록 하라는 말.
- 길가에 집 짓기 : 주견이 없이 남의 간섭이나 의견만 좇다가는 아무 일도 제대로 끝을 맺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싸움에 칼 빼기 : 남의 일에 공연히 뛰어들어 간섭하기를 좋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일에 흥야항야한다 :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잔치[장/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지[먹으면 된다]](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19908.webp)
- 각전 시정 통비단 감듯 : 장사치가 솜씨 있게 통비단을 감듯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줄줄 익숙하게 잘 감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 고장의 인심 : 감나무가 많은 고장에서는 누가 감을 따 먹어도 아무도 말리는 법이 없다는 데서, 매우 순박하고 후한 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 내고 배 낸다 : 제 뜻대로 주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기 고뿔도 남을 안 준다 : 감기까지도 남에게 주지 않을 만큼 지독하게 인색하다는 말.
- 감기는 밥상머리에 내려앉는다 : 감기 들어 앓고 있다가도 밥상을 받으면 앓는 사람 같지 않게 잘 먹는다는 말.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감기 고뿔도 남을 안 준다 : 감기까지도 남에게 주지 않을 만큼 지독하게 인색하다는 말.
- 갑인년 흉년에도 먹다 남은 것이 물이다 : 물 한 모금도 얻어먹기 어려운 경우를 이르는 말.
- 갓장이 헌 갓 쓰고 무당 남 빌려 굿하고 : 제가 제 것을 만들어 가지지 못하고 제가 제 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남 장사 : 오직 제 이익만 생각하고, 태도가 오만한 사람을 이르는 말.

- 감 내고 배 낸다 : 제 뜻대로 주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구리 삼킨 뱀의 배 : 보기와는 달리 꼿꼿하고 고집이 센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겨자씨 속에서 담배씨(를) 찾는 격 : 아무리 애쓰며 수고해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뛰고 잣 껍질로 배를 만들어 타겠다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뛸 수 있고 잣 껍질을 배 삼아 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사람이 작아진다는 뜻으로, 세상이 말세(末世)가 되면 있을 괴상망측한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곰배팔이 담배 목판 끼듯 : 무슨 물건을 옆에 꼭 끼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귀는 샌님만 섬긴다[섬기겠단다] : 보잘것없는 사람이라도 자기가 지닌 지조를 지키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노적 섬에 불붙여 놓고 박산 주워 먹는다 : 큰 것을 잃고 작은 것을 얻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달걀 섬 모시듯[다루듯] : 매우 조심하여 다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개가 겻섬에 오른다 :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할 때에는 그 동작이 매우 재빠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등겻섬에 새앙쥐 엉기듯 : 먹을 것이 없는 데에 여러 사람이 달라붙어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 가는 날이 생일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생일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일은 미련한 놈이 잘한다 : 가을 농촌 일은 매우 바쁘고 힘들기 때문에 미련한 사람처럼 꾀를 부리지 않고 묵묵히 해야 성과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갖바치 내일 모레 : 갖바치들이 흔히 맡은 물건을 제날짜에 만들어 주지 않고 약속한 날에 찾으러 가면 내일 오라 모레 오라 한다는 데서, 약속한 기일을 이날 저 날 자꾸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곁집 잔치에 낯을 낸다 : 제 물건을 쓰지 않고 남의 것을 가지고 생색을 낸다는 말.
- 남의 잔치[장/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못 먹는 잔치에 갓만 부순다 : 소득 없는 일에 손해만 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돈(의) 잔치에 중이 참여한다 :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구혼하는 경사스러운 일에 포도군사가 나타남은 당치 아니하다는 뜻으로, 연회나 기타의 장소에 전연 관계없는 사람이 끼어드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돈집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남의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는[가던] 날이 장날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장이 서는 날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물 그루터기는 있어도 장마 그루터기는 없다 : 가뭄은 아무리 심하여도 얼마간의 거둘 것이 있지만 큰 장마가 진 뒤에는 아무것도 거둘 것이 없다는 뜻으로, 가뭄에 의한 재난보다 장마로 인한 재난이 더 무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물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 가뭄은 아무리 심하여도 얼마간의 거둘 것이 있지만 큰 장마가 진 뒤에는 아무것도 거둘 것이 없다는 뜻으로, 가뭄에 의한 재난보다 장마로 인한 재난이 더 무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시 무서워 장 못 담그랴 : 다소 방해되는 것이 있다 하더라도 마땅히 할 일은 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시어머니 장 떨어지자 사위 국 싫다 한다 : 처갓집에 장이 떨어져서 국을 끓일 수 없게 되었는데 마침 사위가 국은 싫어서 먹지 않겠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서로 공교롭게도 때맞추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한 집 제사[제삿날/젯날] 돌아오듯 : 살아가기도 어려운 가난한 집에 제삿날이 자꾸 돌아와서 그것을 치르느라 매우 어려움을 겪는다는 뜻으로, 힘든 일이 자주 닥쳐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 못 지낸 제사를 봄에는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 친아비 제사도 못 지냈는데 봄에 의붓아비 제사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공연한 제사 지내고 어물값에 졸린다 : 공연한 짓을 해서 쓸데없이 그 후환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와집 물려준 자손은 제사를 두 번 지내야 한다 : 초가집 지붕 이기가 귀찮고 힘듦을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남의 잔치[장/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남의 잔치[장/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한다로 끝나는 단어: 총 546개
-
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46개입니다.- 예: 괴 밥 먹듯 한다, 모래로 방천한다, 씨도둑은 못한다, 떡국이 농간한다, 머슴이 강짜한다
-
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10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8개입니다.- 예: 보리누름까지 세배한다, 무엇이든지 먹고자 한다, 하늘을 쓰고 도리질한다, 잉엇국 먹고 용트림한다, 사람은 조석으로 변한다
-
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2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9개입니다.- 예: 사돈(의) 잔치에 중이 참여한다, 사복 어미냐 지껄이기도 한다, 사람은 조석으로 변한다, 사람의 얼굴은 열[열두] 번 변한다, 사람은 얼굴보다 마음이 고와야 한다
-
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80번 사용된 ㅅ이 최다입니다.- 예: 선무당이 장구 탓한다, 상두꾼은 연폿국에 반한다, 사람은 조석으로 변한다, 술은 괼 때 걸러야 한다, 세 살에 도리질한다
-
-
:
자음 ㄴㅇㅈㅊ[ㅈ/ㅈㅅ]ㅇㄱㄴㅇㄹㅂㄴㅇㄹㅎㄷ 단어: 총 1개
-
자음 ㄴㅇㅈㅊ[ㅈ/ㅈㅅ]ㅇㄱㄴㅇㄹㅂㄴㅇㄹㅎ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ㅢㅏㅣ[ㅏ/ㅔㅏ]ㅔㅏㅗㅏㅏㅐㅗㅏㅏㅏ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ㅢㅏㅣ[ㅏ/ㅔㅏ]ㅔㅏㅗㅏㅏㅐㅗㅏㅏㅏ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남의 잔치[장/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남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109개
-
남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43개입니다.- 예: 남(男), 남사(南事), 남, 남필(覽畢), 남포(南浦)
-
남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88개입니다.- 예: 남성, 남전, 남상, 남사, 남분
-
남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1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9개입니다.- 예: 남발, 남전, 남영, 남, 남당
-
남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78 종류의 한자 중에서 587번 사용된 南이 최다입니다.- 예: 남사(南事), 남부(南部), 남은(南誾), 남원(南苑), 남포(南浦)
-
남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83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4개입니다.- 예: 남늦다, 남정하다, 남침하다, 남면하다, 남다
-
-
남의 잔치[장/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
남의로 시작하는 단어: 총 86개
-
남의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8개입니다.- 예: 남의 발에 감발한다, 남의 밑에 들어가다, 남의 피리에 춤춘다, 남의 밑에 들다, 남의 장단에 춤춘다
-
남의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5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예: 남의달잡다, 남의집살이, 남의집살다
-
남의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남의사
-
남의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4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예: 남의(襤衣), 남의사(藍衣社)
-
남의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3개입니다.- 예: 남의 발에 감발한다, 남의 밑에 들어가다, 남의집살이하다, 남의 밑에 들다, 남의 피리에 춤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