酸 🌏한자(사자성어) 💡화학 분야 1,500개
- 제이인산 암모늄 (第二燐酸ammonium) : ‘인산수소암모늄’의 전 용어. (인산수소 암모늄: 인산의 수소 두 원자가 암모늄과 치환된 무색 결정의 물질. 화학식은 (NH4)2HPO4.)
- 시트르산 철 암모늄 (citric酸鐵ammonium) : 수산화 철(Ⅲ)에 시트르산을 가한 다음, 암모니아수로 중화하여 증발시켜 얻는 붉은 갈색의 고체. 비스킷, 조제분유 따위에 첨가하거나 철분 보강제로 쓴다. 화학식은 Fe(NH4)2H(C6H5O7)2.
- 발연 황산 (發煙黃酸) : 다량의 삼산화 황이 들어 있는 진한 황산. 점도가 높은 유상(油狀) 액체로, 공기 중에서 수증기와 작용하여 흰 연기를 낸다. 물감, 화약 따위의 원료나 유기 합성에서 산화제 따위로 쓴다.
- 산화 비소 (酸化砒素) : 1 삼산화 비소와 오산화 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오가 비소의 산화물. 비소산을 탈수하여 얻는 흰 가루로, 조해성이 있고 물에 녹아서 비산이 되며 독이 있다. 화학식은 As2O5.
- 아세트산 칼슘 (acetic酸calcium) : 수산화 칼슘에 아세트산을 작용시켜 만드는 아세트산의 칼슘염. 무색의 결정으로, 공기 속에서 풍화한다. 아세톤ㆍ아세트산염ㆍ의약품 따위의 제조 원료나, 직물의 날염제로 쓴다. 화학식은 Ca(CH3COO)2.
- 아비소산 구리 (亞砒素酸구리) : 아비소산의 수소 원자를 구리로 치환(置換)한 화합물. 녹색의 유독성 가루로 물에는 녹지 않는다. 녹색 안료로 쓰였으나 에메랄드그린이 발견된 후로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 잠산성 (潛酸性) : 흙 따위가 산성 반응을 일으키기 전의 상태. 물과 결합하면 활산성으로 변한다.
- 염기성 탄산 동 (鹽基性炭酸銅) : 구리가 공기 가운데에서 수증기와 이산화 탄소 때문에 산화되어 생긴 푸른 녹. 천연으로는 공작석으로 산출되며, 안료로 쓰인다.
- 시안산 (cyaan酸) : 사이아누르산을 이산화 탄소의 기류 속에서 300℃로 가열할 때에 생기는 기체를 급랭하여 만드는 유기산. 사이안산과 아이소사이안산의 토토메리 현상 혼합물로 휘발하기 쉽고 질산과 같은 냄새가 나며, 반응성이 풍부하여 알코올이나 아민과 반응하여 각각 유레테인이나 우레인이 된다. 화학식은 HOCN.
- 수소산염 (水素酸鹽) : 수소산이나 비산소산의 수소를 금속으로 치환한 화합물. 염화 나트륨, 황화 나트륨, 사이안화 나트륨 따위가 있다.
- 디개미산 글리콜에스테르 (d개미酸glycolester) : 에틸렌글리콜의 두 개의 하이드록시기가 폼산과 에스터를 만들고 있는 물질. 무색의 액체로, 물ㆍ알코올ㆍ에테르 따위에 녹는다. 화학식은 C4H6O4.
- 탄산 철 (炭酸鐵) : 이가(二價) 철의 탄산염. 제일철염의 용액에 탄산염을 넣어 가라앉혀 얻는, 엷은 노란색의 결정이다. 천연으로는 능철석으로 산출된다. 철의 염류(鹽類)를 만드는 원료이다. 화학식은 FeCO3.
- 아산화물 (亞酸化物) : 한 원소가 두 가지 이상의 원자가로 산화물을 만들 때에, 보통의 산화물보다 산화수가 낮은 산화물. 구리의 산화물에 구리가 일가(一價)로 작용하는 Cu2O와 이가(二價)로 작용하는 CuO가 있을 때 Cu2O를 ‘아산화구리’라고 한다. (아산화 구리: 가루 모양의 구리가 산화할 때 생기는 적색의 결정성 가루. 천연적으로는 적동석으로 산출되고, 인공적으로는 산화 구리를 800℃로 가열하여 만든다. 공기 속에서 산화되어 산화 구리가 된다. 유리나 도자기의 적색 착색제,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류기와 광전지의 재료로 쓴다. 화학식은 Cu2O.)
- 과아이오딘산 칼륨 (過Iodine酸Kalium) : 과아이오딘산의 칼륨염. 무색의 결정체로, 분석 시약이나 산화제로 쓴다.
- 황산 무수물 (黃酸無水物) : 유황의 삼산화물. 강한 산성 물질로, 백금을 촉매로 이산화 황과 산소를 반응시켜 만든다. 발연제나 발연 황산을 만드는 데 쓴다. 화학식은 SO3.
- 과염소산기 (過鹽素酸基) : 염소 한 원자에 산소 네 원자가 결합하여 한 원자가로 작용하는 원자단. 화학식은 -ClO4.
- 염소산 (鹽素酸) : 염소산 바륨의 수용액에 황산을 넣으면 황산 바륨이 침전하고 염소산 수용액이 생기는데, 이를 감압ㆍ농축하여 만든 무색 기름 모양의 물질. 강한 산성을 띠며, 산화제로 쓴다. 화학식은 HClO3.
- 산화 배소 (酸化焙燒) : 유색 금속 유화광을 공기 속에서 태워 산화물로 넘기는 일. 유화광을 환원 용련 하거나 습식 처리 하기 위한 예비 공정이다.
- 유산 석회 (硫酸石灰) : 칼슘의 황산염. 칼슘염 수용액에 황산염 수용액을 넣을 때 생기며 천연적으로는 이수화물인 경석고(硬石膏) 또는 무수물인 이온 석고(石膏)로 산출되는 흰 결정으로, 무색이나 흰색을 띠며 물에 잘 녹지 않는다. 모형, 소상(塑像), 고착제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CaSO4.
- 타타르산 칼륨나트륨 (tartaric酸Kalium Natrium) : 두 개의 카복실산기를 가진 타타르산의 수소 이온 두 개가 각각 칼륨 이온과 나트륨 이온으로 치환된 타타르산염. 무색의 결정 물질로, 강한 압전 효과를 나타내어 압전 소자로 마이크로폰, 수화기 따위에 쓰며 하제, 이뇨제로도 쓰인다. 로셀염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KNaC4H4O6.
- 수산화 아연 (水酸化亞鉛) : 아연의 수산화물. 아연염의 수용액에 수산화 알칼리를 작용시켜 얻는 흰색의 침전물로,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산과 알칼리에는 잘 녹는다. 암모니아수를 넣으면 암모니아 착이온을 만든다. 화학식은 Zn(OH)2.
- 수산화 제일주석 (水酸化第一朱錫) : ‘이수산화주석’의 전 용어. (이수산화 주석: 주석의 수산화물. 주석 화합물의 용액에 알칼리나 암모니아수를 작용시켜 얻는 무색이나 연한 노란색의 비결정성 가루로, 환원제로 쓴다. 화학식은 Sn(OH)2.)
- 연실 황산 (鉛室黃酸) : 연실법으로 만든 황산. 농도는 60~70%이며, 과인산 석회나 황산 암모늄을 만드는 데에 쓴다.
- 액체 아류산 (液體亞硫酸) : 이산화 황에 압력을 가하여 액화한 물질.
- 초산 동 (醋酸銅) : 구리나 산화 구리를 아세트산에 녹인 용액에서 석출되는 녹색을 띤 어두운 파란색의 결정 물질. 물, 알코올, 에테르 따위에 녹는다. 아세트산 구리(Ⅱ)를 암모니아 용액에서 하이드록실아민으로 환원하면 아세트산 구리(Ⅰ)를 얻을 수 있다. 살충제, 분석 시약, 의약 따위에 쓴다. 화학식은 Cu(CH3COO)2ㆍCu(CH3COO).
- 무수 붕산 (無水硼酸) : 붕소의 삼이산화물. 붕소를 공기나 산소 중에서 강하게 가열하여 얻어지는 무색 유리 모양의 물질이다. 할로젠화 붕소, 금속 붕소 제조의 중간체, 원자력 공업에서의 열중성자 흡수제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B203.
- 일산화 이질소 (一酸化二窒素) : 일가(一價) 질소의 산화물. 질산 암모늄을 열분해하여 얻는 무색의 기체로, 향기와 단맛이 있으며, 화학적 성질은 산소와 비슷하다. 방부제나 마취제 따위로 쓰인다. 화학식은 N2O.
- 수산화 비소 (水酸化砒素) : 삼산화 비소의 수용액. 약산으로, 단독으로 분리할 수 없다. 화학식은 H3AsO3, As(OH)3.
- 아비산법 적정 (亞砒酸法滴定) : 아비소산 표준 용액을 적정 용액으로 쓰는 산화 환원 적정. 과망가니즈산염, 브로민산염, 다이크로뮴산염, 하이포아염소산염 따위의 정량에 쓴다.
- 오탄당 인산 회로 (五炭糖燐酸回路) : 당질의 산화에 관한 대사 회로의 하나. 오탄당 인산을 거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이른다. 이 순환 과정의 특징은 생체 내에서 환원제로 쓰이는 엔에이디피(NADP)가 생긴다는 것과 핵산 따위의 생합성에 쓰이는 리보스-5-인산이 생긴다는 점이다.
- 산화 옥소 (酸化沃素) : 아이오딘의 산화물. 등황색의 결정체인 사산화 이아이오딘, 햇빛에 분해되는 흰색 가루인 오산화 이아이오딘, 습기가 차기 쉽고 75℃에서 아이오딘을 배출하는 구산화 사아이오딘을 이른다.
- 석탄산 (石炭酸) : 하이드록시벤젠에 해당하는 방향족 알코올. 특이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고체로, 콜타르에 들어 있다. 방부제, 소독 살균제, 합성수지, 염료, 폭약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화학식은 C6H5OH.
- 산화 중수소 (酸化重水素) : 중수의 하나로 수소가 중수소로 치환된 물. 물에 비하여 염류의 용해도는 낮아지고, 이온이 잘 움직이지 않는다. 보통 물속에 1/5,000 정도 들어 있다. 추적자, 중성자 감속재로 쓴다. 화학식은 D2O.
- 무기산 (無機酸) : 탄소를 제외한 비금속 원소나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산기(酸基)와 수소가 결합하여 된 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 황산ㆍ질산ㆍ염산 따위가 있으며, 탄산은 탄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여기에 포함된다.
- 일산화 철 (一酸化鐵) : 공기를 차단하고 옥살산 철을 태우거나 삼산화 이철을 300℃로 가열하여 수소로 환원하여 얻는 흑색 가루. 가열하면 공기 속에서 타기 쉽고, 공기 속에 방치하면 산소를 흡수하여 삼산화 이철이 된다. 천연 광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화학식은 FeO.
- 질산 연 (窒酸鉛) : 이가(二價) 납의 질산염. 납, 산화 납, 염기성 탄산 납 따위를 질산에 녹여 만든 무색의 결정으로, 물에 녹으며 페인트나 의약품에 쓰인다. 화학식은 Pb(NO3)2.
- 과일황산 (過一黃酸) : 황산 분자에 산소 원자 하나가 더 결합된 무색의 투명한 결정 물질. 알코올, 에테르 따위의 유기 용매에 녹고, 물과 작용하면 황산과 과산화 수소로 분해된다. 물기를 잘 빨아들이고 산화력이 강하므로 산화제로 쓰인다.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화학식은 H2SO5.
- 오산화 이인 (五酸化二燐) : 오가 인의 산화물. 인이 연소할 때 생기는 흰색의 가루로, 물에 녹기 쉽고, 흡습성이 강하므로 건조제ㆍ탈수제로 쓰인다. 화학식은 P2O5.
- 무수 인산 (無水燐酸) : 오가 인의 산화물. 인이 연소할 때 생기는 흰색의 가루로, 물에 녹기 쉽고, 흡습성이 강하므로 건조제ㆍ탈수제로 쓰인다. 화학식은 P2O5.
- 산화 수은 (酸化水銀) : 1 수은의 산화물. 산화 이수은, 산화 수은 따위가 있다. 2 적색 산화 수은과 황색 산화 수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적색 산화 수은은 수은을 공기 속에서 장시간 끓는점 가까운 온도로 가열하여 만들고, 황색 산화 수은은 승홍수 용액에 가성 알칼리를 작용시켜 만든다. 물에 녹기 어렵고, 독성이 있으며, 가열하면 산소와 수은으로 분해된다. 의약품이나 분석 시약으로 쓴다. 화학식은 HgO.
- 산근 (酸根) : 무기산이나 유기산의 분자에서 금속 원자와 치환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뺀 나머지의 원자나 원자단. 질산의 -NO3, 황산의 -SO4, 아세트산의 CH3COO- 따위가 있다.
- 규산질 유리 (硅酸質琉璃) : 이산화 규소가 많이 들어간 유리. 차돌 유리, 고규산질 유리 따위가 있다.
- 사염화 백금산 (四鹽化白金酸) : 백금을 왕수에 녹이고 염산을 넣어서 증발시켜 얻는 붉은 갈색 결정의 물질.
- 산성 (酸性) : 수용액에서 이온화할 때 수산 이온의 농도보다 수소 이온의 농도가 더 큰 물질의 성질.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가 7보다 작고 물에 녹으면 신맛을 내고, 푸른색 리트머스 시험지를 붉은색으로 변화시키며, 염기를 중화시켜 염을 만든다. 수소 이온의 농도가 순수한 물의 경우보다 크다.
- 삼산염기 (三酸鹽基) : 한 분자 안에 산과 작용하여 물을 만드는 하이드록시기를 세 개 가지는 염기. 수산화 알루미늄 따위가 있다.
- 인산 (燐酸) : 1 오산화 인 3수화물을 이르는 말. 무색의 기둥 모양 결정으로 흡습 용해성이 크고, 물에 녹아 산성을 띤다. 인산 비료, 의약품, 세제 따위의 원료로 쓰인다. 화학식은 H3PO4. 2 오산화 인에 물을 작용시켜 얻는 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 수화되는 정도에 따라 오쏘인산, 메타인산, 파이로인산 따위가 있다. 화학식은 H3PO4, HPO3, H4P2O7.
- 무수 질산 (無水窒酸) : 오가 질소의 산화물. 무색의 불안정한 고체이며, 물에 녹아 질산이 된다. 화학식은 N2O5.
- 오산화 바나듐 (五酸化vanadium) : 오가 바나듐의 산화물. 바나듐의 산화물이나 바나듐 가루를 공기 중에서 가열하여 얻는 붉은 갈색 가루로, 물에는 잘 녹지 않고 알칼리와 산에 녹으며, 황산을 만드는 데에 쓰인다. 화학식은 V2O5.
- 금속 산화물 (金屬酸化物) : 금속 원소와 산소 원소로만 이루어진 화합물. 산화 알루미늄, 산화 철, 산화 구리 따위가 있다.
- 수산화 비스무트 (水酸化Wismut) : 비스무트의 화합물 용액에 알칼리를 가하여 얻는 흰색 침전물. 화학식은 Bi(O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