肥 🌏한자(사자성어) 💡농업 분야 130개
-
비료환
(肥料環)
:
도시에 가까운 농촌에서 도시의 인분을 가져다 거름으로 쓰고 대신에 채소를 도시에 공급하는 관계.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環: 고리 환 -
시비하다
(施肥하다)
:
거름을 받다.
🌏 施: 베풀 시 肥: 살찔 비 -
중성 비료
(中性肥料)
:
화학적으로 중성 반응을 나타내는 비료. 황산 암모니아, 질산 암모니아, 황산 칼륨, 염화 칼륨, 콩깻묵 따위가 있다.
🌏 中: 가운데 중 性: 성품 성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보비
(補肥)
:
농작물에 첫 번 거름을 준 뒤 밑거름을 보충하기 위하여 더 주는 비료.
🌏 補: 기울 보 肥: 살찔 비 -
인비
(燐肥)
:
‘인산비료’를 줄여 이르는 말. (인산 비료: 인이 인산염의 형태로 들어 있는 비료. 뿌리의 발육, 줄기나 잎의 생장ㆍ개화와 결실을 촉진한다.)
🌏 燐: 도깨비불 인 肥: 살찔 비 -
비료 작물
(肥料作物)
:
녹비로 쓰기 위하여 가꾸는 작물. 연맥, 자운영 따위가 있다.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作: 지을 작 物: 만물 물 -
흙비료
(흙肥料)
:
흙에 두엄, 소석회(消石灰) 따위를 섞어 만든 비료. 온상(溫床), 냉온상(冷溫床) 따위에 종묘(種苗)를 심거나 할 때 쓰인다.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이삭 비료
(이삭肥料)
:
이삭이 생길 때에 주는 비료. 이삭을 크게 하여 이삭당 알 수를 많게 하며 낟알이 잘 여물게 한다.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시비
(施肥)
:
거름을 주는 일.
🌏 施: 베풀 시 肥: 살찔 비 -
엽비
(葉肥)
:
나뭇잎 따위를 쌓아 썩혀서 만든 거름.
🌏 葉: 나뭇잎 엽 肥: 살찔 비 -
무기질 비료
(無機質肥料)
:
무기물로 이루어진 비료. 황산 암모늄, 과인산 석회, 염화 칼륨 따위의 화학 비료와 초목재 따위가 있다.
🌏 無: 없을 무 機: 틀 기 質: 바탕 질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다비성 품종
(多肥性品種)
:
거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농작물의 품종.
🌏 多: 많을 다 肥: 살찔 비 性: 성품 성 品: 물건 품 種: 씨 종 -
부식 퇴비
(腐植堆肥)
:
썩은 나뭇잎, 삭정이, 억새 따위로 만든 두엄.
🌏 腐: 썩을 부 植: 심을 식 堆: 흙무더기 퇴 肥: 살찔 비 -
고형 비료
(固形肥料)
:
토탄(土炭)으로 굳힌 배합 비료. 보통 거름보다 흡수가 잘되고 효과가 크다.
🌏 固: 굳을 고 形: 형상 형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식물성 비료
(植物性肥料)
:
풋거름, 깻묵, 짚 따위로 만든 비료. 양분을 고르게 함유하고 있어 땅을 기름지게 한다.
🌏 植: 심을 식 物: 만물 물 性: 성품 성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고농도 비료
(高濃度肥料)
:
유효 성분이 30% 이상 되는 비료. 생산 원가가 낮으며, 운반하거나 뿌리기가 쉽다.
🌏 高: 높을 고 濃: 짙을 농 度: 법도 도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단순 비료
(單純肥料)
:
한 가지 영양소가 주성분으로 들어 있는 비료.
🌏 單: 홑 단 純: 순수할 순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추비
(追肥)
:
1
농작물에 첫 번 거름을 준 뒤 밑거름을 보충하기 위하여 더 주는 비료.
2
씨앗을 뿌린 뒤나 모종을 옮겨 심은 뒤에 주는 거름.
🌏 追: 쫓을 추 肥: 살찔 비 -
살비법
(撒肥法)
:
비료를 흩어서 뿌리는 시비법(施肥法).
🌏 撒: 뿌릴 살 肥: 살찔 비 法: 법도 법 -
액비
(液肥)
:
액체로 된 거름.
🌏 液: 진 액 肥: 살찔 비 -
비육하다
(肥育하다)
:
주로 고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운동을 제한하거나 질이 좋은 사료를 주어 가축을 살이 찌게 기르다.
🌏 肥: 살찔 비 育: 기를 육 -
골분 비료
(骨粉肥料)
:
뼛가루로 만든 비료.
🌏 骨: 뼈 골 粉: 가루 분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보비하다
(補肥하다)
:
농작물에 첫 번 거름을 준 뒤 밑거름을 보충하기 위하여 비료를 더 주다.
🌏 補: 기울 보 肥: 살찔 비 -
맥기비
(麥基肥)
:
보리를 심을 땅에 넣을 거름.
🌏 麥: 보리 맥 基: 터 기 肥: 살찔 비 -
다비
(多肥)
:
거름이 많음. 또는 거름을 많이 요구함.
🌏 多: 많을 다 肥: 살찔 비 -
조합 비료
(組合肥料)
:
농작물에 필요한 세 가지 성분인 질소, 인산, 칼리 가운데 두 가지 이상이 들어 있는 비료.
🌏 組: 짤 조 合: 합할 합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직접 비료
(直接肥料)
:
식물에 직접 흡수되어 양분이 되는 비료. 황산 암모늄, 인분(人糞), 과인산 석회 따위가 있다.
🌏 直: 곧을 직 接: 접할 접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적비
(積肥)
:
풀, 짚 또는 가축의 배설물 따위를 썩힌 거름.
🌏 積: 쌓을 적 肥: 살찔 비 -
비배 관리
(肥培管理)
:
거름을 잘 뿌려 토지를 걸게 하여 식물을 가꿈.
🌏 肥: 살찔 비 培: 북돋울 배 管: 피리 관 理: 다스릴 리 -
기비
(基肥)
:
씨를 뿌리거나 모종하기 전에 주는 거름.
🌏 基: 터 기 肥: 살찔 비 -
해산 비료
(海産肥料)
:
바다에서 나는 동물을 원료로 한 비료. 정어리, 청어 따위의 기름을 짜고 난 찌꺼기로 질소, 인산 칼슘은 풍부하나 칼륨이 부족하다.
🌏 海: 바다 해 産: 낳을 산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다비성
(多肥性)
:
거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성질.
🌏 多: 많을 다 肥: 살찔 비 性: 성품 성 -
소성 인비
(燒成燐肥)
:
인광석을 다른 원료와 함께 구워 인산 가루가 물에 녹기 쉽게 만든 인산 비료.
🌏 燒: 사를 소 成: 이룰 성 燐: 도깨비불 인 肥: 살찔 비 -
종비
(種肥)
:
농작물의 싹을 빨리 돋게 하거나 초기 생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씨의 둘레에 주는 거름.
🌏 種: 씨 종 肥: 살찔 비 -
비효율
(肥效率)
:
여러 가지 비료를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한 후 그 수확량을 비교하여 비료의 효과를 판정하는 수치.
🌏 肥: 살찔 비 效: 본받을 효 率: 율 율 -
석회질소 비료
(石灰窒素肥料)
:
석회질소로 만든 비료. 본디는 흰색이지만 비료로 쓰는 것은 탄소가 섞여 있으므로 검붉은 색을 띤다. 가루나 작은 알갱이로 되어 있다.
🌏 石: 돌 석 灰: 재 회 窒: 막을 질 素: 흴 소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동물성 비료
(動物性肥料)
:
동물의 뼈나 노폐물 따위를 이용한 유기물 비료. 생선가루, 가죽, 날짐승의 똥 따위로 질소ㆍ인산이 많고 칼륨이 부족하여 밑거름으로 쓴다.
🌏 動: 움직일 동 物: 만물 물 性: 성품 성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다량 원소 비료
(多量元素肥料)
:
농작물이 정상적으로 자라는 데 필요한 많은 양의 영양 요소를 보충하기 위하여 주는 비료. 질소 비료, 인산 비료, 칼륨 비료, 칼슘 비료 따위가 있다.
🌏 多: 많을 다 量: 헤아릴 량 元: 으뜸 원 素: 흴 소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건제 비료
(乾製肥料)
:
고기비늘, 바닷말, 게나 새우의 껍질, 닭똥 따위를 말려서 만든 비료.
🌏 乾: 하늘 건 마를 건 製: 지을 제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칼륨 비료
(Kalium肥料)
:
칼륨이 많이 들어 있는 거름. 염화 칼륨, 황산 칼륨, 재, 두엄 따위가 있다.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되질할 요 -
비료학
(肥料學)
:
비료의 성질ㆍ성분ㆍ제조, 거름주기 방법, 저장법 및 비료와 작물 영양과의 관계, 토질과 비료와의 관계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學: 배울 학 -
화성 비료
(化成肥料)
:
무기질 비료를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비료 요소의 복합적 효과를 나타내게 한 제품. 질소ㆍ인산ㆍ칼리 가운데 둘 이상이 들어 있으며, 알갱이 모양으로 되어 있다.
🌏 化: 될 화 成: 이룰 성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용성인비
(鎔成燐肥)
:
인광석에 광석을 넣고 가열하여 만드는 인산 거름. 화산 땅이나 무논에 좋다.
🌏 鎔: 주조할 용 成: 이룰 성 燐: 도깨비불 인 肥: 살찔 비 -
슬래그 비료
(slag肥料)
:
인 성분이 들어 있는 비료. 인이 들어 있는 선철(銑鐵)로 강철을 만들 때에 나오는 슬래그를 빻아 만든 것이다.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되질할 요 -
규산질 비료
(硅酸質肥料)
:
가용성 규산을 함유하고 있는 비료. 선철(銑鐵) 및 제련의 과정에서 생기는 광재(鑛滓)를 원료로 한다.
🌏 硅: 규소 규 酸: 초 산 質: 바탕 질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비옥토
(肥沃土)
:
걸고 기름져 작물이 자라기에 알맞은 땅.
🌏 肥: 살찔 비 沃: 기름질 옥 土: 흙 토 -
화학 비료
(化學肥料)
: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만든 인공 비료. 질소질 비료, 인산 비료, 칼륨 비료, 복합 비료 따위가 있다.
🌏 化: 될 화 學: 배울 학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
마그네슘 비료
(magnesium肥料)
:
용해성 산화 마그네슘이 들어 있는 비료. 황산 마그네슘 1수화물, 경소 마그네시아, 마그네시아 클링커 먼지 따위가 있다. 비료로 많이 쓰는 것은 산화 마그네슘의 함량이 많고 성질이 좋은 1수화물이다.
🌏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 되질할 요 -
녹비 종자
(綠肥種子)
:
녹비 작물의 씨.
🌏 綠: 초록빛 녹 肥: 살찔 비 種: 씨 종 子: 아들 자 -
석회질 비료
(石灰質肥料)
:
간접 비료로 사용하는 석회. 석회는 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 요소의 하나로, 산성흙을 중화시켜 부드러운 흙이 되게 하며, 잘 녹지 않는 물질도 녹여 준다.
🌏 石: 돌 석 灰: 재 회 質: 바탕 질 肥: 살찔 비 料: 되질할 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