戰 🌏한자(사자성어) 💡군사 분야 497개
- 휴전선 (休戰線) : 1 휴전 협정에 따라서 결정되는 쌍방의 군사 경계선. 2 1953년 7월 27일, 6ㆍ25 전쟁의 휴전에 따라서 한반도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설정된 군사 경계선.
- 전쟁가스 (戰爭gas) : 전쟁에서, 적의 인체에 해독을 끼치기 위하여 쓰는, 독성이나 자극성을 띤 화학 작용제.
- 동부 전선 (東部戰線) : 1 우리나라의 동부 쪽에 전개되는 전선. 2 제일 차 세계 대전 때,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동맹군이 러시아군과 대치하던 전선. 3 제이 차 세계 대전 때, 독일의 기준에서 본 동부 독일과 소련 사이의 전선.
- 전시 비상권 (戰時非常權) : 교전국이 필요에 따라 자기 나라의 권력 아래에 있는 재산을 강제로 사용하거나 처분할 수 있는 권리. 국제 관례상 예외로 인정하는 권한이다.
- 군사 정전 위원회 (軍事停戰委員會) :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이루어진 기구. 정전 협정 시행 상황을 감독하고, 이에 대한 위반 사항을 협의ㆍ처리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 전선 신문 (戰線新聞) : 전시에 전선에 있는 부대에서 발간하는 신문.
- 전후 점령 (戰後占領) : 휴전 조약, 항복 조건 따위의 이행을 상대국에게 강제하려고 행하는 점령.
- 공동 작전 (共同作戰) : 둘 이상의 부대나 국가, 또는 육해공군이 같은 목적을 가지고 서로 협력하고 계획하여 실시하는 작전.
- 전투 사령부 (戰鬪司令部) : 전투를 통일적으로 지휘하는 사령부.
- 전시 근로 동원법 (戰時勤勞動員法) : 예전에, 전쟁의 완수 및 재해 복구에 필요한 국민의 노력 동원을 목적으로 하던 법률. 1999년 폐지되었다.
- 작전 지도 (作戰地圖) : 작전을 세우거나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여러 가지 사항을 표시한 지도. 작전 지역의 지형, 적과 아군의 배치, 군사 시설의 위치, 적의 예상 이동로(移動路) 따위가 표시된다.
- 공정 작전 (空挺作戰) : 적을 공격하거나 아군을 지원할 목적으로 항공기를 이용하여 지상 부대를 적 후방에 침투하는 작전.
- 신경전 (神經戰) : 1 모략, 선전 따위로 적의 신경을 피로하게 하고 사기를 잃게 하는 전술. 또는 그런 싸움. 2 경쟁 관계에 있는 개인이나 단체 사이에서, 말이나 행동으로써 상대편의 신경을 자극하는 일. 또는 그런 싸움.
- 진공전 (進攻戰) : 앞으로 나아가면서 공격하는 전투.
- 양동 작전 (陽動作戰) : 적의 경계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실제 전투는 하지 아니하지만 병력이나 장비를 기동함으로써 마치 공격할 것처럼 보여 적을 속이는 작전.
- 작전 지대 (作戰地帶) : 작전 및 이에 부수되는 행정에 필요한 전쟁 지역의 한 부분.
- 근거리전 (近距離戰) : 적에게 바싹 접근하여 적을 불의에 쳐부수는 전투 행동.
- 원자 폭탄 전쟁 (原子爆彈戰爭) : 원자 폭탄을 이용하여 벌이는 대규모의 전쟁.
- 전투 정찰 (戰鬪偵察) : 주로 적의 첩보를 수집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적을 습격ㆍ파괴ㆍ교란하는 전투 임무도 수행하는 정찰 방법.
- 고엽 작전 (枯葉作戰) : 정글이나 삼림 지역 같은 곳에 화학 약품을 뿌려 나무를 말라 죽게 하여 적의 은신처를 없애려는 작전. 미군이 베트남 전쟁에서 실시한 정글 작전 가운데 하나였다.
- 비전투원 (非戰鬪員) : 교전국 병력으로서, 전투에 가담하지 아니하고 경리ㆍ법무ㆍ위생ㆍ종교 따위의 일을 맡아보는 사람.
- 대전차 (對戰車) : 전차나 장갑차 따위의 장갑 차량을 상대하는 일.
- 전차전 (戰車戰) : 전차를 사용하여 벌이는 싸움.
- 전역 (戰域) : ‘전쟁구역’을 줄여 이르는 말. (전쟁 구역: 전투를 하는 지역.)
- 교전권 (交戰權) : 1 국제간에 평화적인 수단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생겼을 때, 전쟁을 통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권리. 주권 국가에만 있다. 2 국제법에서, 국가가 교전국으로서 가지는 여러 권리. 포로를 억류할 권리, 점령 행정 따위에 관한 권리가 있다.
- 전투 감시 (戰鬪監視) : 작전에 필요한 첩보를 얻기 위하여 전투 지역을 조직적으로 계속 감시하는 일.
- 상륙 전투 (上陸戰鬪) : 부대를 상륙시키기 위하여 벌이는 공격 전투.
- 육박전 (肉薄戰) : 적과 직접 맞붙어서 총검으로 치고받는 싸움.
- 전투 개발 연구 (戰鬪開發硏究) : 전투에 필요한 작전 개념, 작전 기술, 병기 따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 해전 (海戰) : 바다에서 벌이는 싸움.
- 한정 전쟁 (限定戰爭) : 전쟁의 목적이나 지역, 수단, 무기 따위에 제한을 두고 하는 전쟁.
- 전투 병과 (戰鬪兵科) : 보병, 포병, 기갑, 공병, 통신, 항공 따위와 같이 직접 전투에 참가하는 병과.
- 전략 보복 부대 (戰略報復部隊) : 적의 핵 공격에 대하여 즉각 보복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춘 전략 핵전력 부대.
- 제트 전투기 (jet戰鬪機) : 제트 기관으로 추진되는 전투기.
- 전면전 (全面戰) :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벌어지는 전쟁.
- 기동 전략 (機動戰略) : 부대의 기동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군사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전략.
- 제이 전선 (第二戰線) : 적의 전투력을 분산하기 위하여 주 전선(主戰線) 이외에 설치하는 또 하나의 전선.
- 핵전력 (核戰力) : 한 나라 또는 부대가 갖춘 핵무기로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정규전 (正規戰) : 정규군이 규정된 전술과 전법에 따라 하는 전쟁.
- 전투 전차 (戰鬪戰車) : 주로 전투를 수행하는 용도로 만든 전차. 두꺼운 장갑(裝甲)과 대포 1문을 갖춘 25~75톤 급의 전차를 이른다.
- 공지 작전 (空地作戰) : 공군 부대와 지상 부대가 전투력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하여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작전.
- 전쟁 법규 (戰爭法規) : 전쟁을 행함에 있어 싸우는 당사자가 지켜야 할 법규. 전시에서 적을 해치는 일의 제한, 비전투원의 보호 따위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 열핵 전쟁 (熱核戰爭) : 열핵 무기를 사용하는 전쟁.
- 전투모 (戰鬪帽) : 전투 또는 전투 훈련을 할 때, 군인들이 쓰는 천으로 만든 모자.
- 매복 전투 (埋伏戰鬪) : 몰래 숨어서 기다리고 있다가 불시에 공격하는 전투.
- 전시 이득세 (戰時利得稅) : 전시의 특별한 소득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 일반적으로 전쟁 전 일정 기간의 평균 소득액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하여 비례 또는 누진 세율로 부과한다.
- 뇌격전 (雷擊戰) : 부설함과 구축함을 주력으로 하여 벌이는 싸움.
- 야전군 (野戰軍) : 1 군대 편제에 따라 산이나 들에서의 전투 임무를 맡고 있는 군대. 2 집단군보다 작고 군단보다 큰 행정 및 전술 편성 부대.
- 파괴전 (破壞戰) : 일정한 군사 대상물을 파괴하기 위한 전투.
- 내선 작전 (內線作戰) : 외부에서 포위, 협공 따위의 형태로 공격하는 둘 이상의 적에 대하여 중앙에 위치하여 상대하는 작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