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끝 단어 2,374개
-
망주
(望柱)
:
무덤 앞의 양쪽에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 돌 받침 위에 여덟모 진 기둥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둥근 대가리를 얹는다.
🌏 望: 바랄 망 柱: 기둥 주 -
이주
(移駐)
:
1
다른 곳으로 옮겨 머무름.
2
다른 곳으로 옮겨 주둔함.
🌏 移: 옮길 이 駐: 머무를 주 -
황주
(黃州)
:
황해도 황주군 가운데에 있는 읍. 군청 소재지이다.
🌏 黃: 누를 황 州: 고을 주 -
구주
(九州)
:
‘규슈’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규슈: 일본 열도를 이루는 4대 섬 가운데 가장 남쪽에 있는 섬. 또는 그 섬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 북부는 광공업, 남부는 농수산업이 활발하다. 혼슈(本州)와는 현수교와 해저 터널도 연결되어 있다. 면적은 4만 2149㎢.)
🌏 九: 아홉 구 州: 고을 주 -
십이주
(十二州)
:
고려 성종 2년(983)에 둔 열두 지방관. 황주, 해주, 양주(楊州), 광주(廣州), 충주, 청주, 공주, 전주, 나주, 승주(昇州), 진주, 상주에 두었다.
🌏 十: 열 십 二: 두 이 州: 고을 주 -
미적 범주
(美的範疇)
:
본래는 하나인 미(美)를 우아미, 숭고미, 비장미, 골계미 따위의 개별적인 유형으로 분류한 개념.
🌏 美: 아름다울 미 的: 과녁 적 範: 법 범 疇: 밭 두둑 주 -
천하주
(天下主)
:
세상의 주인.
🌏 天: 하늘 천 下: 아래 하 主: 주인 주 -
조주
(造酒)
:
술을 빚어 만듦.
🌏 造: 지을 조 酒: 술 주 -
전주
(典酒)
:
고려 충렬왕 때에 ‘사성’(司成)을 이르던 말. (사성: 고려 시대에, 성균관의 종삼품 벼슬. 공민왕 18년(1369)에 좨주를 고친 것이다., 조선 시대에, 성균관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종삼품의 벼슬. 태종 원년(1401)에 좨주를 고친 것이다.)
🌏 典: 법 전 酒: 술 주 -
진주
(陳主)
:
조선 시대에, 토지 대장에 나타난 이전(以前) 경작자나 소유자.
🌏 陳: 늘어놓을 진 主: 주인 주 -
야주
(夜珠)
:
축하하는 뜻으로 총이나 포로 쏘아 올리는 불꽃. 흑색 화약에 철분 따위를 섞어 통에 넣고 불을 붙여 총이나 포로 공중으로 쏘아 올리면 폭음과 함께 터져 여러 색깔의 불꽃이 흩어진다.
🌏 夜: 밤 야 珠: 구슬 주 -
결승주
(決勝柱)
:
달리기에서, 결승선 양쪽에 세운 기둥.
🌏 決: 결정할 결 勝: 이길 승 柱: 기둥 주 -
주
(柱)
:
건축물에서, 주춧돌 위에 세워 보ㆍ도리 따위를 받치는 나무. 또는 돌ㆍ쇠ㆍ벽돌ㆍ콘크리트 따위로 모나거나 둥글게 만들어 곧추 높이 세운 것.
🌏 柱: 기둥 주 -
탈주
(脫走)
:
몸을 빼쳐 달아남.
🌏 脫: 벗을 탈 走: 달릴 주 -
입주
(入住)
:
1
새집에 들어가 삶.
2
새로 개간한 땅이나 수복(收復)한 땅에 들어가 삶.
🌏 入: 들 입 住: 살 주 -
양주
(兩主)
:
바깥주인과 안주인이라는 뜻으로, ‘부부’를 이르는 말. (부부: 남편과 아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兩: 두 양 主: 주인 주 -
약주
(藥酒)
:
1
약으로 마시는 술.
2
‘맑은술’을 달리 이르는 말. (맑은술: 찹쌀을 쪄서 지에밥과 누룩을 버무려 빚어서 담갔다가 용수를 박아서 떠내거나 술주자에 짜낸 술.)
3
‘술’을 점잖게 이르는 말. (술: 알코올 성분이 들어 있어 마시면 취하는 음료. 적당히 마시면 물질대사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맥주, 청주, 막걸리 따위의 발효주와 소주, 고량주, 위스키 따위의 증류주가 있으며, 과실이나 약제를 알코올과 혼합하여 만드는 혼성주도 있다.)
🌏 藥: 약 약 酒: 술 주 -
의주
(艤舟)
:
배가 떠날 준비를 함. 또는 그 배.
🌏 艤: 배 댈 의 舟: 배 주 -
범주
(帆走)
:
1
돛에 바람을 받아 물 위를 항해함.
2
동력을 쓰지 아니하고 대기(大氣)의 변화를 이용하여 비행함.
🌏 帆: 돛 범 走: 달릴 주 -
섭주
(攝奏)
:
옆에서 말을 거들어 여쭘.
🌏 攝: 당길 섭 奏: 아뢸 주 -
이화주
(梨花酒)
:
1
배꽃이 핀 뒤에 담근 술.
2
배꽃을 넣어 빚은 술.
🌏 梨: 배나무 이 花: 꽃 화 酒: 술 주 -
과주
(果州)
:
중국의 옛 지명. 현재의 쓰촨성(四川省) 동부, 난충시(南充市)의 북쪽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었다.
🌏 果: 열매 과 州: 고을 주 -
주
(周)
:
중국 오대(五代)의 마지막 왕조. 951년에 곽위(郭威)가 후한(後漢)을 멸하고 변경(汴京)을 도읍으로 하여 세운 것으로 3대 10년 만에 송나라에 망하였다.
🌏 周: 두루 주 -
점주
(點丶)
:
한자 부수의 하나. ‘丹’, ‘主’ 따위에 쓰인 ‘丶’를 이른다.
🌏 點: 점찍을 점 丶: 점 주 -
족주
(簇酒)
:
여러 집에서 모은 술.
🌏 簇: 모일 족 누에섶 족 화살촉 족 명수사 족 매우 족 떨기로난작은대 족 찌푸리다 족 酒: 술 주 -
신주
(申奏)
:
임금에게 품함. 또는 그런 서면.
🌏 申: 납 신 奏: 아뢸 주 - 함주 : → 함지. (함지: 복대기나 감흙을 일어 금을 잡는 데에 쓰는, 함지박 비슷한 그릇.)
-
양주
(楊朱)
:
중국 전국 시대의 학자(B.C.440?~B.C.360?). 노자 사상의 일단을 이은 염세적 인생관으로 자기중심적인 쾌락주의를 주장하였다.
🌏 楊: 버들 양 朱: 붉을 주 -
무주정맥주
(無酒精麥酒)
:
알코올 도수 1%의 맥주.
🌏 無: 없을 무 酒: 술 주 精: 찧을 정 麥: 보리 맥 酒: 술 주 -
피아노 사중주
(piano四重奏)
: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등 네 가지 악기로 이루어지는 실내악 합주.
🌏 四: 넉 사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늦곡식 동 아이 동 奏: 아뢸 주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Baden-Württemberg州)
:
독일 남쪽에 있는 주. 방직ㆍ유리ㆍ도자기 산업이 활발하며, 라인강 연안에서의 포도 재배가 유명하다. 주도(州都)는 슈투트가르트, 면적은 3만 5751㎢.
🌏 州: 고을 주 -
칠중주
(七重奏)
:
일곱 사람이 각기 다른 악기로 하는 연주. 흔히 현악과 관악으로 합주한다.
🌏 七: 일곱 칠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奏: 아뢸 주 - 마주 : 서로 똑바로 향하여.
-
교맥소주
(蕎麥燒酒)
:
메밀과 누룩으로 술을 담갔다가 고리에 내린 소주.
🌏 蕎: 메밀 교 麥: 보리 맥 燒: 사를 소 酒: 술 주 -
접주
(接主)
:
1
과거에 응시하는 선비의 무리를 인솔하던 사람.
2
동학에서, 접(接)의 우두머리.
🌏 接: 접할 접 主: 주인 주 -
노아의 방주
(Noa<EQU>ḥ</EQU>의方舟)
:
노아가 하나님의 계시로 만든 네모진 잣나무 배. 그의 가족과 짐승들을 이 배에 태워 모두 대홍수를 피할 수 있게 하였다고 한다.
🌏 方: 모 방 舟: 배 주 -
복주
(福酒)
:
제사를 마치고 제관(祭官)들이 나누어 마시는 제주(祭酒).
🌏 福: 복 복 酒: 술 주 -
지배 주주
(支配株主)
:
주식 총수의 과반수를 지니고 있으며, 주주 총회의 의사 결정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주주.
🌏 支: 지탱할 지 配: 짝 배 株: 그루 주 主: 주인 주 -
당밀주
(糖蜜酒)
:
당밀을 발효하여 증류한 술.
🌏 糖: 사탕 당 蜜: 꿀 밀 酒: 술 주 -
미조람주
(Mizoram州)
:
인도 동북부에 있는 주. 다라칸산맥 서북부에 있는 구릉 지역으로, 밀림으로 뒤덮여 있다. 주민의 대부분이 기독교인이고, 농업 및 가내 공업이 활발하다. 주도(州都)는 아이자울.
🌏 州: 고을 주 -
수장주
(修粧柱)
:
목조 건물에서 장식을 위하여 주춧돌 밖에 임시로 세운 기둥.
🌏 修: 닦을 수 粧: 단장할 장 柱: 기둥 주 -
소형주
(小型株)
:
자본금 규모가 작은 회사의 주식. 흔히 주가도 비교적 낮다.
🌏 小: 작을 소 型: 거푸집 형 株: 그루 주 - 루주 (rouge) : 화장할 때 입술에 바르는 연지. 막대 모양이다.
-
진주
(進奏)
:
임금 앞에 나아가 아룀.
🌏 進: 나아갈 진 奏: 아뢸 주 -
재주
(在住)
:
그곳에 머물러 삶.
🌏 在: 있을 재 住: 살 주 -
고주
(故主)
:
옛 주인.
🌏 故: 옛 고 主: 주인 주 -
명주
(明州)
:
‘닝보’의 옛 이름. (닝보: 중국 저장성(浙江省) 동쪽 융장강(甬江江) 하류에 있는 도시. 송나라 이후 한국ㆍ일본ㆍ아라비아ㆍ동남아시아와의 무역 중심지로 번영하였으나 상하이(上海)가 발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쇠퇴하였다.)
🌏 明: 밝을 명 州: 고을 주 -
행주
(行酒)
:
잔에 술을 부어 돌림.
🌏 行: 다닐 행 酒: 술 주 -
조하주
(糟下酒)
:
1
술독에 용수를 박아 맑은술을 떠낸 뒤에 밑바닥에 남은 술.
2
익은 술독에서 전국으로 떠낸 술.
🌏 糟: 지게미 조 下: 아래 하 酒: 술 주 -
동주
(同住)
:
같은 곳에 함께 삶.
🌏 同: 같을 동 住: 살 주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23개입니다.
- 1 글자 30개 : 주
- 2 글자 1,023개 : 업주, 계주, 두주, 내주, 대주, 기주, 호주, 난주, 당주, 전주 3 글자 717개 4 글자 368개 5 글자 13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