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 🌾끝 단어 1,769개
-
지상 망원경
(地上望遠鏡)
:
지상에 있는 물체의 확대된 정립상을 보기 위하여 만든 망원경.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사이에 상을 정립하는 렌즈 또는 프리즘을 넣어서 만든다.
🌏 地: 땅 지 上: 위 상 望: 바랄 망 遠: 멀 원 鏡: 거울 경 -
볼록 반사경
(볼록反射鏡)
:
반사면이 볼록한 거울. 구면의 바깥쪽에서 빛을 반사하게 하는 구면 거울로, 비친 물체와 반대쪽에 작고 바로 선 허상(虛像)이 생긴다. 자동차의 백미러 따위에 쓴다.
🌏 反: 돌이킬 반 射: 쏠 사 鏡: 거울 경 -
궐음경
(厥陰經)
:
경맥 이름의 하나. 심포(心包)와 간(肝)에 관련한다.
🌏 厥: 그 궐 陰: 응달 음 經: 경서 경 -
초이경
(初二更)
:
초경과 이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하룻밤을 다섯으로 등분하였을 때 그 첫 번째와 두 번째를 이른다.
🌏 初: 처음 초 二: 두 이 更: 고칠 경 -
일다경
(一茶頃)
:
한 잔의 차를 마실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매우 짧은 시간을 이르는 말.
🌏 一: 하나 일 茶: 차 다 頃: 밭 넓이 단위 경 -
잔경
(殘更)
:
초경에서 사경까지 다 지나고 남은 시간이라는 뜻으로, ‘오경’을 이르는 말. 곧 새벽 4시경인 날이 샐 무렵을 이른다. (오경: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시각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하룻밤을 다섯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맨 마지막 부분. 새벽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이다.)
🌏 殘: 쇠잔할 잔 更: 고칠 경 -
조감경
(鳥瞰景)
: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전체의 경치.
🌏 鳥: 새 조 瞰: 굽어볼 감 景: 경치 경 -
장경
(長庚)
:
저녁 무렵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이르는 말. (금성: 태양에서 둘째로 가까운 행성. 지구에 가장 가까이 있는 천체로서 수성(水星)과 지구 사이에 있으며, 크기는 지구와 비슷하다. 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 長: 길 장 庚: 일곱째 천간 경 -
벽경
(壁鏡)
:
납거밋과의 하나. 몸은 작으며, 가슴은 누런 갈색이고 다리는 갈색에 검은 털이 있다. 발은 비교적 굵으며 배에는 점이 있다. 집 안의 벽에 동글납작한 집을 짓는데 밤에 활동하여 벌레를 잡아먹는다. 거미집은 창독의 지혈제로 쓴다.
🌏 壁: 벽 벽 鏡: 거울 경 -
역경
(譯經)
:
경전을 번역하는 일.
🌏 譯: 통변할 역 經: 경서 경 -
족태음비경
(足太陰脾經)
:
십이 경맥의 하나. 비(脾)에 속하고 위(胃)에 이어진다.
🌏 足: 발 족 太: 클 태 陰: 응달 음 脾: 지라 비 經: 경서 경 -
자경
(蔗境)
:
담화나 문장 또는 사건 따위가 점점 재미있어지는 대목.
🌏 蔗: 사탕수수 자 境: 지경 경 -
우경
(右傾)
:
1
오른쪽으로 기울어짐.
2
우익적인 사상으로 기울어짐. 또는 그런 경향.
🌏 右: 오른쪽 우 傾: 기울 경 -
동경
(動徑)
:
점의 위치를 표시할 때, 기준이 되는 점으로부터 그 점까지 그은 직선을 벡터로 하는 선분.
🌏 動: 움직일 동 徑: 지름길 경 -
어골경
(魚骨鯁)
:
물고기의 뼈. 생선 가시를 이르는 말이다.
🌏 魚: 물고기 어 骨: 뼈 골 鯁: 생선 뼈 경 -
일경
(一更)
: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첫째 부분. 저녁 7시에서 9시 사이이다.
🌏 一: 하나 일 更: 고칠 경 -
북경
(北京)
:
‘베이징’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베이징: 중국 화베이(華北) 평원의 북부에 있는 도시. 중국 역대의 수도로 쯔진청(紫禁城), 톈안먼(天安門) 따위의 사적과 명승지가 많으며 철강, 기계, 직물, 식품 따위의 공업도 발달하였다. ‘중국’의 수도이다. (중국: 아시아 동북부에 있는 인민 공화국. 1949년에 마오쩌둥(毛澤東)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이 국민당을 몰아내고 중국 본토에 세운 국가이다. 매우 광대한 영토로, 신장(新疆)ㆍ내몽골 따위의 변방은 건조ㆍ사막 지대이고, 동부의 화베이(華北) 지방은 대륙성 기후 지역이며, 화중(華中)ㆍ화난(華南) 지방은 아열대 기후로 농업이 발달하였다. 근래에는 공업화가 진전되면서 급속한 경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수도는 베이징, 면적은 959만 6961㎢.))
🌏 北: 북녘 북 京: 서울 경 -
원심성 신경
(遠心性神經)
:
중추에 일어난 흥분을 말초에 전달하는 신경.
🌏 遠: 멀 원 心: 마음 심 性: 성품 성 神: 귀신 신 經: 경서 경 -
운경
(韻鏡)
:
10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중국 한문자의 음운을 그림표로 나타낸 책. 절운(切韻) 계통의 운서에 표시되는 음운 체계를 43장의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성질이 같은 두자음(頭子音)은 세로로, 사성(四聲)의 네모 테 및 모음과 말미 자음이 같은 것은 가로로 배열되어 있다. 발음법, 청탁, 사성, 칠음 따위를 나타내었다.
🌏 韻: 운 운 鏡: 거울 경 -
불호광경
(不好光景)
:
좋지 못한 광경. 곧 서로 좋지 못하여 다투는 광경을 이른다.
🌏 不: 아닐 불 好: 좋을 호 光: 빛 광 景: 경치 경 -
임사경
(任思敬)
:
조선 영조 때의 학자(1686~1757). 자는 여직(汝直). 외조부이자 스승인 윤증(尹拯)이 1716년에 무고를 당하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에만 전심하였다. 성력(星曆), 도수(度數), 병기(兵機), 이치(吏治) 따위에도 정통하였다.
🌏 任: 맡길 임 思: 생각 사 敬: 공경할 경 -
경
(庚)
:
1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여덟째 시. 오후 네 시 반부터 다섯 시 반까지이다.
2
천간(天干)의 일곱째.
3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서(正西)에서 남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庚: 일곱째 천간 경 -
양경
(陽經)
:
1
경맥 가운데에서 양경맥에 속하는 맥. 수족 삼양경(手足三陽經), 독맥, 양유맥, 양교맥을 이른다.
2
육부에서 근원하여 주로 팔다리 바깥쪽과 몸 뒷면에 분포하는 경맥.
🌏 陽: 볕 양 經: 경서 경 -
독경
(篤慶)
:
1
조선 세종 때의 <정대업지악> 열다섯 곡 가운데 둘째 곡. 한문 가사 4언 12구로 되어 있다.
2
조선 세조 때의 <정대업지악> 열한 곡 가운데 둘째 곡. 한문 가사 4언 4구로 되어 있다. 종묘 제례악에 썼다.
🌏 篤: 도타울 독 慶: 경사 경 -
사경
(寫經)
:
후세에 전하거나 축복을 받기 위하여 경문(經文)을 베끼는 일. 또는 그런 경전.
🌏 寫: 베낄 사 經: 경서 경 -
화경
(火耕)
:
화전을 일구는 일.
🌏 火: 불 화 耕: 밭갈 경 -
신라사경
(新羅寫經)
:
신라 경덕왕 13년(754)에 시작하여 그 이듬해에 완성한 화엄경의 필사본. 두루마리 2축(軸)으로, 황룡사(黃龍寺)의 연기 법사(緣起法師)가 그의 부모를 위하여 발원하여 만든 것으로, ≪신역(新譯) 화엄경≫ 제44권과 45권을 닥나무 백지에 붓글씨로 적었다. 국보 제196호.
🌏 新: 새로울 신 羅: 그물 라 寫: 베낄 사 經: 경서 경 -
수평경
(水平鏡)
:
선박용 육분의(六分儀)의 수평선을 관측하는 거울. 반면(半面)이 투시용으로 되어 있다.
🌏 水: 물 수 平: 평평할 평 鏡: 거울 경 -
분경
(盆景)
:
1
조그마한 정원.
2
분에 화초나 조화 따위를 심어서 자연의 경치처럼 꾸민 것.
3
분 위에 돌이나 모래 따위로 자연의 풍경처럼 꾸민 것.
🌏 盆: 동이 분 景: 경치 경 -
성경
(誠敬)
:
1
정성을 다하여 공경함.
2
정성과 공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 誠: 정성 성 敬: 공경할 경 -
만경
(蔓莖)
:
덩굴로 된 줄기.
🌏 蔓: 덩굴 만 莖: 줄기 경 -
경
(頸)
:
척추동물의 머리와 몸통을 잇는 잘록한 부분.
🌏 頸: 목 경 -
명도신경
(明圖神鏡)
:
무당이 자신의 수호신으로 삼고 위하는 거울. 청동으로 크고 둥글게 만든 것으로, 앞면은 불룩하고 뒷면에는 해ㆍ달ㆍ별 및 그 밖의 무늬와 일월 대명두(大明斗)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 明: 밝을 명 圖: 그림 도 神: 귀신 신 鏡: 거울 경 -
태상경
(太常卿)
:
고려 시대에, 태상시의 으뜸 벼슬.
🌏 太: 클 태 常: 항상 상 卿: 벼슬 경 -
삼매경
(三昧境)
:
잡념을 떠나서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 이 경지에서 바른 지혜를 얻고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 三: 석 삼 昧: 어두울 매 境: 지경 경 -
동경
(銅鏡)
:
구리로 만든 거울. 통일 신라 시대의 유물이다. 국보 제126-18호.
🌏 銅: 구리 동 鏡: 거울 경 -
가경
(歌磬)
:
조선 세종 때에, ‘특경’을 이르던 말. (특경: 아악기로, 석부(石部)에 속하는 타악기. 편경보다 크고 한 가자(架子)에 하나만 달며, 풍류를 그칠 때에 친다.)
🌏 歌: 노래 가 磬: 경쇠 경 -
마경
(麻莖)
:
삼의 줄기.
🌏 麻: 삼 마 莖: 줄기 경 -
김방경
(金方慶)
:
고려 시대의 명장(1212~1300). 자는 본연(本然). 삼별초의 난을 평정하였고 원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고려군 도원수로서 종군하였다.
🌏 金: 성 김 方: 모 방 慶: 경사 경 -
종경
(倧經)
:
대종교의 경전. 원전인 삼일 신고와 부전인 신리대전, 신사기, 회삼경, 삼법회통, 팔리훈, 천부경, 진리도설 따위가 있다.
🌏 倧: 상고 신인 종 經: 경서 경 -
병경
(兵經)
:
병법서 중의 경전(經典)이라는 뜻으로, ‘손자’를 달리 이르는 말. (손자: 중국 오나라의 손무가 편찬한 병법서. 무경칠서의 하나로 전략 전술의 법칙과 준거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중국의 전쟁 체험을 집대성한 것으로, 간결한 명문(名文)으로도 유명하다. 1권 13편.)
🌏 兵: 군사 병 經: 경서 경 -
수경
(首警)
:
의무 경찰 계급의 하나. 상경의 위이다.
🌏 首: 머리 수 警: 경계할 경 -
성경
(聖經)
:
1
종교상 신앙의 최고 법전이 되는 책. 기독교의 성경, 불교의 팔만대장경, 유교의 사서오경, 이슬람교의 코란 등이 있다.
2
기독교의 경전. 신약과 구약으로 되어 있다.
🌏 聖: 성인 성 經: 경서 경 -
중앙 능경
(中央稜鏡)
:
단안 합치식(單眼合致式) 측거기(測距器)에서 시계(視界)를 상하로 나누는 작용을 하는 복잡한 프리즘.
🌏 中: 가운데 중 央: 가운데 앙 稜: 모서리 능 鏡: 거울 경 -
기아지경
(飢餓之境)
:
굶주리는 지경.
🌏 飢: 주릴 기 餓: 주릴 아 之: 갈 지 境: 지경 경 -
화경
(畫境)
:
그림을 그린 듯 경치가 아름답고 맑은 곳.
🌏 畫: 그림 화 境: 지경 경 -
압경
(壓驚)
:
놀란 마음을 진정시킴. 흔히 술을 마시게 한다.
🌏 壓: 누를 압 驚: 놀랄 경 -
삼면경
(三面鏡)
:
거울 세 개가 옆으로 나란히 붙어 있어 세 면을 볼 수 있는 거울. 가운데 것은 고정되어 있고 양옆의 두 개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어 뒤와 옆을 볼 수 있다.
🌏 三: 석 삼 面: 낯 면 鏡: 거울 경 -
서문경
(序文經)
:
미사가 시작될 때 사제가 외는 경문. 경본에 14개의 서문경이 있어 그날그날의 미사에 따라 다르다.
🌏 序: 차례 서 文: 글월 문 꾸밀 문 經: 경서 경 -
미경
(美景)
:
아름다운 경치.
🌏 美: 아름다울 미 景: 경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