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ㅜ ㅓ 🌻모음(중성) 단어 286개
- 나루터 : 나룻배가 닿고 떠나는 일정한 곳.
-
자웅성
(雌雄性)
:
하나의 종에서 암컷과 수컷으로 나눌 수 있는 성질. 생식 기관의 차이로 구별된다. 장수풍뎅이의 뿔, 사자의 갈기 따위처럼 외관적으로 자웅의 구별이 가능한 것도 있다.
🌏 雌: 암컷 자 雄: 수컷 웅 性: 성품 성 -
감국전
(甘菊煎)
:
깨끗이 씻은 감국(甘菊)의 꽃에 찹쌀가루를 묻혀서 기름에 지진 음식. 주로 음력 9월 9일에 해 먹는다.
🌏 甘: 달 감 菊: 국화 국 煎: 달일 전 -
상주서
(上奏書)
:
임금에게 올리는 글.
🌏 上: 위 상 奏: 아뢸 주 書: 글 서 -
한문전
(漢文典)
:
한문의 문법. 또는 그 책.
🌏 漢: 한나라 한 文: 글월 문 꾸밀 문 典: 법 전 -
장두전
(杖頭錢)
:
길을 갈 때에, 술값으로 가지고 다니는 몇 푼의 돈.
🌏 杖: 지팡이 장 頭: 머리 두 錢: 돈 전 -
합죽선
(合竹扇)
:
얇게 깎은 겉대를 맞붙여서 살을 만든, 접었다 폈다 하게 된 부채.
🌏 合: 합할 합 竹: 대 죽 扇: 부채 선 -
탈수법
(脫水法)
:
물기를 빼는 방법.
🌏 脫: 벗을 탈 水: 물 수 法: 법도 법 -
함북선
(咸北線)
:
함경북도 청진과 나진 사이를 잇는 산업 철도. 길이는 326.9km.
🌏 咸: 다 함 北: 북녘 북 線: 선 선 -
단순천
(單純泉)
:
수온 25℃ 이상이며, 물 1kg 가운데에 유리 탄산 및 고형 성분의 함유량이 1,000mg 이하인 온천. 류머티즘, 신경통, 신경염 따위에 효험이 있다.
🌏 單: 홑 단 純: 순수할 순 泉: 샘 천 -
안주청
(按酒廳)
:
선술집 따위에서, 술안주를 차려 놓은 자리.
🌏 按: 누를 안 酒: 술 주 廳: 관청 청 -
쌍무덤
(雙무덤)
:
두 개의 봉분이 표주박처럼 서로 이어 붙어 있는 무덤.
🌏 雙: 쌍 쌍 -
방부성
(防腐性)
:
물질이 썩거나 삭아서 변질되는 것을 막는 성질.
🌏 防: 막을 방 腐: 썩을 부 性: 성품 성 -
반주철
(半鑄鐵)
:
회주철에 백주철을 섞은 주철.
🌏 半: 반 반 鑄: 쇠 부어 만들 주 鐵: 쇠 철 - 밥뚜껑 : 밥그릇을 덮는 물건.
-
안무법
(按舞法)
:
무용을 구상하고 창작하는 방법.
🌏 按: 누를 안 舞: 춤출 무 法: 법도 법 -
가분성
(可分性)
:
물질이 더 작게 나누어질 수 있는 성질.
🌏 可: 옳을 가 分: 나눌 분 性: 성품 성 -
단중성
(旦中星)
:
해가 돋을 때에 천구(天球)의 정남쪽에 보이는 별.
🌏 旦: 아침 단 中: 가운데 중 星: 별 성 -
가문서
(假文書)
:
가짜로 꾸민 문서.
🌏 假: 거짓 가 文: 글월 문 꾸밀 문 書: 글 서 -
장군석
(將軍石)
:
능(陵) 앞에 세우는 무관(武官) 형상으로 만든 돌. 능 앞 셋째 줄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하나씩 세운다.
🌏 將: 장수 장 軍: 군사 군 石: 돌 석 -
자수범
(自手犯)
:
정범(正犯) 자신이 직접 저질러야만 성립하는 범죄. 위증죄, 허위 공문서 작성죄, 준강간죄 따위이다.
🌏 自: 스스로 자 手: 손 수 犯: 범할 범 - 가루젖 : 우유 속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농축하여 가루로 만든 것.
- 땀구멍 : 몸 안에서 몸 밖으로 땀을 내보내도록 피부에 난 구멍.
-
자수서
(自首書)
:
자수하는 내용을 적은 서면(書面).
🌏 自: 스스로 자 首: 머리 수 書: 글 서 -
하수거
(下水渠)
:
빗물이나 집, 공장, 병원 따위에서 쓰고 버리는 더러운 물이 흘러내려 가도록 만든 도랑.
🌏 下: 아래 하 水: 물 수 渠: 도랑 거 -
아문전
(衙門田)
:
조선 후기에, 관아의 경비를 보충하기 위하여 둔 둔전.
🌏 衙: 마을 아 門: 문 문 田: 밭 전 -
상투적
(常套的)
:
1
늘 써서 버릇이 되다시피 한 것.
2
늘 써서 버릇이 되다시피 한.
🌏 常: 항상 상 套: 덮개 투 的: 과녁 적 -
산수털
(山獸털)
:
산짐승의 털.
🌏 山: 뫼 산 獸: 짐승 수 -
함수성
(含水性)
:
어떤 대상이 수분을 함유하는 성질.
🌏 含: 머금을 함 水: 물 수 性: 성품 성 -
학술어
(學術語)
:
학술 분야에 한정된 뜻으로 쓰는 전문 용어.
🌏 學: 배울 학 術: 꾀 술 語: 말씀 어 -
방구석
(房구석)
:
1
방 안의 네 귀퉁이.
2
방 또는 방 안을 속되게 이르는 말.
🌏 房: 방 방 -
자웅성
(雌雄聲)
:
1
밑도드리 또는 원가락과 해탄을 함께 연주하는 것.
2
거센 소리와 앳된 소리가 섞여 나오는 목소리.
3
본율(本律)과 청성(淸聲)을 아울러 이르는 말.
🌏 雌: 암컷 자 雄: 수컷 웅 聲: 소리 성 - 가뭄철 : 일 년 절기 중에서 으레 가뭄이 드는 계절.
-
사후선
(伺候船)
:
수영(水營)에 속하여 적의 형편이나 지형 따위를 살피는 데에 쓰던 전선(戰船).
🌏 伺: 엿볼 사 候: 기후 후 船: 배 선 - 한주먹 : 한 번 때리는 주먹.
-
산술적
(算術的)
:
1
산술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
2
산술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 算: 계산 산 術: 꾀 술 的: 과녁 적 -
만물전
(萬物廛)
:
일상생활에 필요한 온갖 물건을 파는 가게.
🌏 萬: 일만 만 物: 만물 물 廛: 가게 전 -
마루청
(마루廳)
:
마룻바닥에 깔아 놓은 널조각.
🌏 廳: 관청 청 -
타국어
(他國語)
:
다른 나라의 말.
🌏 他: 다를 타 國: 나라 국 語: 말씀 어 -
합수점
(合水點)
:
흐르는 냇물이 모이는 지점.
🌏 合: 합할 합 水: 물 수 點: 점찍을 점 -
사무철
(事務綴)
:
사무를 보는 데에 필요한 문건을 모아 묶어 둔 물건.
🌏 事: 일 사 務: 힘쓸 무 綴: 이을 철 -
방수성
(防水性)
:
물이 스며들거나 배어들지 못하게 하는 성질.
🌏 防: 막을 방 水: 물 수 性: 성품 성 -
한국적
(韓國的)
:
1
한국에 알맞고 한국의 특징을 보여 주는 것.
2
한국에 알맞고 한국의 특징을 보여 주는.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的: 과녁 적 - 밥투정 : 밥이 먹기 싫어서 또는 밥을 더 달라며 짜증을 부리는 일.
-
다중점
(多重點)
:
여러 개의 점이 중복된 점.
🌏 多: 많을 다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點: 점찍을 점 - 창구멍 : 이불, 솜옷, 겹옷, 대님, 버선 따위를 지을 때에, 안팎을 뒤집어 빼내기 위하여 꿰매지 아니한 부분.
-
만물점
(萬物店)
:
일상생활에 필요한 온갖 물건을 파는 가게.
🌏 萬: 일만 만 物: 만물 물 店: 가게 점 -
날주정
(날酒酊)
:
공연한 주정.
🌏 酒: 술 주 酊: 술취할 정 -
사문서
(私文書)
:
사인(私人)이 권리, 의무 또는 사실 증명에 관하여 작성한 문서.
🌏 私: 사사로울 사 文: 글월 문 꾸밀 문 書: 글 서 -
가주서
(假注書)
:
조선 시대에, 승정원에 속한 정칠품 벼슬. 주서(注書)가 사고를 당할 때에 그 일을 대신 맡아보게 하기 위하여 정원(定員) 이외로 두었다.
🌏 假: 거짓 가 注: 물댈 주 書: 글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