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떡 먹고 체하였… 🌟의미
선떡 먹고 체하였나 웃기는 왜 웃나
:
별로 우습지도 아니한 일에 실없이 잘 웃는 사람을 핀잔하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사돈이 물에 빠졌나 웃기는 왜 웃어: 별로 우습지도 아니한 일에 실없이 잘 웃는 사람을 핀잔하는 말.

- 겉보리 술 막치 사람 속인다 : 겉보리 술지게미도 많이 먹으면 취하듯이, 겉보기와는 달리 맹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는다 : 무슨 일이든지 늘 하던 사람이 더 잘한다는 말.
- 고운 사람 미운 데 없고 미운 사람 고운 데 없다 : 한번 좋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좋게만 보이고, 한번 밉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밉게만 보인다는 말.
- 고운 사람은 멱 씌워도 곱다 : 보기 흉하게 멱서리를 씌워도 고운 사람은 곱다는 뜻으로, 본색(本色)은 어떻게 하여도 나타난다는 말.
- 곡식과 사람은 가꾸기에 달렸다 : 곡식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부지런히 가꾸어야 잘되고 사람은 어려서부터 잘 가르치고 이끌어야 훌륭하게 된다는 말.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 가는 날이 생일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생일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일은 미련한 놈이 잘한다 : 가을 농촌 일은 매우 바쁘고 힘들기 때문에 미련한 사람처럼 꾀를 부리지 않고 묵묵히 해야 성과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갖바치 내일 모레 : 갖바치들이 흔히 맡은 물건을 제날짜에 만들어 주지 않고 약속한 날에 찾으러 가면 내일 오라 모레 오라 한다는 데서, 약속한 기일을 이날 저 날 자꾸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친 체하고 떡판에 엎드러진다 : 성한 사람이 떡이 먹고 싶으니까 짐짓 미친 체하면서 떡판에 넘어진다는 뜻으로, 사리를 잘 알면서도 일부러 모르는 체하고 음흉하게 제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꼬는 말.
- 선떡 먹고 체하였나 웃기는 왜 웃나 : 별로 우습지도 아니한 일에 실없이 잘 웃는 사람을 핀잔하는 말.
- 개 못된 것은 들에 가서 짖는다 : 개는 집을 지키며 집에서 짖는 짐승인데 못된 개는 쓸데없이 들판에 나가 짖는다는 뜻으로, 제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은 하지 아니하고 아무 소용도 없는 데 가서 잘난 체하고 떠드는 행동을 이르는 말.
- 개 못된 것은 짖을 데 가 안 짖고 장에 가서 짖는다 : 개는 집을 지키며 집에서 짖는 짐승인데 못된 개는 쓸데없이 들판에 나가 짖는다는 뜻으로, 제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은 하지 아니하고 아무 소용도 없는 데 가서 잘난 체하고 떠드는 행동을 이르는 말.
- 개살구 지레 터진다 : 맛없는 개살구가 참살구보다 먼저 익어 터진다는 뜻으로, 되지 못한 사람이 오히려 잘난 체하며 뽐내거나 남보다 먼저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죽이 모자라서 눈을 냈는가 : 보기 위해서 눈을 냈지 살가죽이 모자라서 눈을 내놓은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남들은 다 잘 보는 것을 보지 못하는 사람을 핀잔하는 말.
- 간이 뒤집혔나 허파에 바람이 들었나 : 마음의 평정을 잃고 까닭 없이 웃음을 핀잔하는 말.
- 걸레를 씹어 먹었나 : 잔소리가 아주 심함을 핀잔하는 말.
- 검은 머리 가진 짐승은 구제 말란다 : 사람을 도와주지 말라는 뜻으로, 사람이 은혜를 갚지 아니함을 핀잔하여 이르는 말.
- 계집 바뀐 건 모르고 젓가락 짝 바뀐 건 안다 : 큰 변화는 모르고 지내면서, 소소하게 달라진 것에 대해서는 떠듦을 핀잔하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선떡 먹고 체하였나 웃기는 왜 웃나
:
나로 끝나는 단어: 총 616개
-
나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76개입니다.- 예: 가나(kana[假名]), 요나(Jonah), 예나(Jena), 나(羅), 나(螺)
-
나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2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4개입니다.- 예: 코루나, 이러나, 파라나, 을거나, 는다나
-
나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7개의 분야 중에서 지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6개입니다.- 예: 안코나, 빌나, 예나, 파라나, 사나
-
나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4 종류의 한자 중에서 37번 사용된 那이 최다입니다.- 예: 자나(遮那), 순나(順那), 단나(檀那/旦那), 길나(吉那), 유나(維那)
-
나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56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아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5개입니다.- 예: 아무러나, 아다나, 아이고나, 아테나, 아바나
-
나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49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용나, 연나, 임나, 예나, 요나
-
-
선떡 먹고 체하였나 웃기는 왜 웃나
:
웃나로 끝나는 단어: 총 1개
-
웃나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자음 ㅅㄸㅁㄱㅊㅎㅇㄴㅇㄱㄴㅇㅇㄴ 단어: 총 1개
-
자음 ㅅㄸㅁㄱㅊㅎㅇㄴㅇㄱㄴㅇㅇㄴ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ㅓㅓㅓㅗㅔㅏㅕㅏㅜㅣㅡㅙㅜ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ㅓㅓㅓㅗㅔㅏㅕㅏㅜㅣㅡㅙㅜ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선떡 먹고 체하였나 웃기는 왜 웃나
:
선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333개
-
선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71개입니다.- 예: 선(先), 선(<hanja>12855_1</hanja>), 선, 선(宣), 선(扇)
-
선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98개입니다.- 예: 선모, 선가, 선귀, 선착, 선형
-
선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4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8개입니다.- 예: 선무, 선부, 선릉, 선천, 선장
-
선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04 종류의 한자 중에서 552번 사용된 先이 최다입니다.- 예: 선(先), 선궤(先軌), 선착(先着), 선례(先例), 선업(先業)
-
선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61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12개입니다.- 예: 선나다, 선행하다, 선뵈다, 선하다, 선겁다
-
-
선떡 먹고 체하였나 웃기는 왜 웃나
:
선떡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6개
-
선떡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
선떡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6 종류의 글자수로 분류됩니다.
-
선떡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끝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