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한자(사자성어) 💡불교 분야 497개
佛:
부처 불
도울 필
총획:7
부수:人
국어사전에서 🌏한자 "佛 (부처 불, 도울 필)" 단어이고, '불교' 관련 단어는 497개 입니다.
💡통계
품사
글자수
한자
끝 글자
시작 글자

-
재수 불공
(財數佛供)
:
재수 발원으로 올리는 불공.
🌏 財: 재물 재 數: 셀 수 佛: 부처 불 供: 이바지할 공 -
불어
(佛語)
:
1
부처의 말. 곧 경전에 있는 말을 이른다.
2
불경에 쓰이거나 불교도가 주로 쓰는 말.
🌏 佛: 부처 불 語: 말씀 어 -
오십삼불
(五十三佛)
:
1
아미타불의 스승인 세자재대왕 이전에 있었던 정광여래에서 처세여래에 이르기까지의 쉰셋의 부처.
2
금강산 유점사에 있는 쉰세 개의 불상. 인도의 문수 대사가 순금으로 만들어 보낸 것이라고 한다.
🌏 五: 다섯 오 十: 열 십 三: 석 삼 佛: 부처 불 -
염지불
(念持佛)
:
사실(私室)에 모셔 두거나 몸에 지니며 항상 공양하는 작은 불상.
🌏 念: 생각할 염 持: 가질 지 佛: 부처 불 -
일불 세계
(一佛世界)
:
일불이 교화하는 범위의 세계. 점점 넓어져서 사주(四洲), 삼천 대천세계, 무변(無邊)에 이른다.
🌏 一: 하나 일 佛: 부처 불 世: 세대 세 界: 경계 계 -
불연
(佛緣)
:
중생이 불교나 부처와 맺은 인연.
🌏 佛: 부처 불 緣: 인연 연 -
일불승
(一佛乘)
:
모든 중생이 부처와 함께 성불한다는 석가모니의 교법. 일체(一切) 것이 모두 부처가 된다는 법문이다.
🌏 一: 하나 일 佛: 부처 불 乘: 탈 승 -
불단
(佛壇)
:
부처를 모셔 놓은 단.
🌏 佛: 부처 불 壇: 단 단 -
천불전
(千佛殿)
:
천불을 모신 전각.
🌏 千: 일천 천 佛: 부처 불 殿: 큰 집 전 -
불심종
(佛心宗)
:
참선으로 자신의 본성을 구명하여 깨달음의 묘경(妙境)을 터득하고, 부처의 깨달음을 교설(敎說) 외에 이심전심으로 중생의 마음에 전하는 것을 종지(宗旨)로 하는 종파. 중국 양나라 때 달마 대사가 중국에 전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신라 중엽에 전해져 구산문이 성립되었다.
🌏 佛: 부처 불 心: 마음 심 宗: 마루 종 -
예불상
(禮佛床)
:
예불할 때에 올리는 상.
🌏 禮: 예도 예 佛: 부처 불 床: 평상 상 -
이불
(泥佛)
:
흙으로 빚어 만든 불상.
🌏 泥: 진흙 이 佛: 부처 불 -
불멸후
(佛滅後)
:
승려가 입적한 후. 특히 석가모니의 입적 후를 이른다.
🌏 佛: 부처 불 滅: 멸망할 멸 後: 뒤 후 -
점불정하다
(點佛睛하다)
:
불상을 만들거나 불화를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다.
🌏 點: 점찍을 점 佛: 부처 불 睛: 눈동자 정 -
불국
(佛國)
:
부처가 있는 나라. 곧 극락을 이른다.
🌏 佛: 부처 불 國: 나라 국 -
생불일여
(生佛一如)
:
중생과 부처는 그 본성이 같음.
🌏 生: 날 생 佛: 부처 불 一: 하나 일 如: 같을 여 -
불신
(佛身)
:
부처의 몸.
🌏 佛: 부처 불 身: 몸 신 -
관불
(灌佛)
:
1
불상을 목욕시키는 일.
2
초파일에, 향수ㆍ감차ㆍ오색수(五色水) 따위를 아기 부처상의 정수리에 뿌리는 법회.
3
초파일에, 향수ㆍ감차ㆍ오색수(五色水) 따위를 아기 부처상의 정수리에 뿌리는 일.
🌏 灌: 물댈 관 佛: 부처 불 -
경염불
(經念佛)
:
경문을 읽으며 부처의 공덕을 생각함.
🌏 經: 경서 경 念: 생각할 염 佛: 부처 불 -
즉심즉불
(卽心卽佛)
:
사람은 번뇌로 말미암아 마음이 더러워지나 본성은 불성(佛性)이어서 중생의 마음이 곧 부처의 마음이나 마찬가지임을 이르는 말.
🌏 卽: 곧 즉 心: 마음 심 卽: 곧 즉 佛: 부처 불 -
금불
(金佛)
:
황금으로 만들거나 겉에 금빛 칠을 한 부처.
🌏 金: 쇠 금 佛: 부처 불 -
환희광불
(歡喜光佛)
:
‘아미타불’의 다른 이름. 십이광불의 하나로, 보문을 밝히는 신통력이 끝없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아미타불: 서방 정토에 있는 부처. 대승 불교 정토교의 중심을 이루는 부처로, 수행 중에 모든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대원(大願)을 품고 성불하여 극락에서 교화하고 있으며, 이 부처를 염하면 죽은 뒤에 극락에 간다고 한다.)
🌏 歡: 기뻐할 환 喜: 기쁠 희 光: 빛 광 佛: 부처 불 -
약사여래불
(藥師如來佛)
:
열두 가지 서원(誓願)을 세워 중생의 질병 구제, 수명 연장, 재화 소멸, 의식(衣食) 만족을 이루어 주며, 중생을 바른길로 인도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는 부처. 큰 연꽃 위에 앉아서, 왼손으로는 약병을 들고 있고, 오른손으로는 시무외인을 맺고 있다.
🌏 藥: 약 약 師: 스승 사 如: 같을 여 來: 올 래 佛: 부처 불 -
고성 염불
(高聲念佛)
:
크고 높은 소리로 외는 염불.
🌏 高: 높을 고 聲: 소리 성 念: 생각할 염 佛: 부처 불 -
타력 염불
(他力念佛)
:
아미타불의 본원에만 의지하여 해탈하려는 염불.
🌏 他: 다를 타 力: 힘 력 念: 생각할 염 佛: 부처 불 -
탄생불
(誕生佛)
:
석가모니가 탄생하여 탄생게를 외우던 모습을 나타낸 불상.
🌏 誕: 탄생할 탄 生: 날 생 佛: 부처 불 -
고불심
(古佛心)
:
부처의 마음.
🌏 古: 옛 고 佛: 부처 불 心: 마음 심 -
부파 불교
(部派佛敎)
:
석가모니 입적 뒤 백 년부터 수백 년 사이에 원시 불교가 분열을 거듭하여 20여 개의 교단으로 갈라진 시대의 불교. 독자적인 교의(敎義)를 전개하여 뒤에 유식 사상(唯識思想)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내용은 소승 불교와 같다.
🌏 部: 나눌 부 派: 물갈래 파 佛: 부처 불 敎: 가르칠 교 -
관념염불
(觀念念佛)
:
부처를 관찰하고 생각하면서 ‘나무아미타불’을 외는 일.
🌏 觀: 볼 관 念: 생각할 념 念: 생각할 념 佛: 부처 불 -
견불하다
(見佛하다)
:
자기의 내부에 있는 불성을 깨닫다. 수행이나 신앙의 힘에 의지하여 부처를 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見: 볼 견 佛: 부처 불 -
타불
(陀佛)
:
서방 정토에 있는 부처. 대승 불교 정토교의 중심을 이루는 부처로, 수행 중에 모든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대원(大願)을 품고 성불하여 극락에서 교화하고 있으며, 이 부처를 염하면 죽은 뒤에 극락에 간다고 한다.
🌏 陀: 비탈질 타 佛: 부처 불 -
불상
(佛相)
:
부처의 얼굴 모습.
🌏 佛: 부처 불 相: 서로 상 -
불경
(佛經)
:
1
불교의 교리를 밝혀 놓은 전적(典籍)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불교 경전을 소리 내어 염불하는 일.
🌏 佛: 부처 불 經: 경서 경 -
상염불
(常念佛)
:
밤낮으로 끊임없이 하는 염불.
🌏 常: 항상 상 念: 생각할 염 佛: 부처 불 -
염불 왕생
(念佛往生)
:
아미타불을 믿고 오직 한마음으로 그 이름을 부르면 그 염불하는 한 가지만으로 극락에 왕생하는 일.
🌏 念: 생각할 염 佛: 부처 불 往: 갈 왕 生: 날 생 -
고불문
(告佛文)
:
부처에게 아뢰는 글.
🌏 告: 아뢸 고 佛: 부처 불 文: 글월 문 꾸밀 문 -
불감
(佛龕)
:
불상을 모셔 두는 방이나 집.
🌏 佛: 부처 불 龕: 감실 감 -
소승 불교
(小乘佛敎)
:
소승을 주지(主旨)로 하는 모든 교파의 불교. 스리랑카, 미얀마, 타이 등지에 퍼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대승 불교보다 먼저 전래되었다.
🌏 小: 작을 소 乘: 탈 승 佛: 부처 불 敎: 가르칠 교 -
일불
(一佛)
:
1
서방 정토에 있는 부처. 대승 불교 정토교의 중심을 이루는 부처로, 수행 중에 모든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대원(大願)을 품고 성불하여 극락에서 교화하고 있으며, 이 부처를 염하면 죽은 뒤에 극락에 간다고 한다.
2
한 몸의 부처.
🌏 一: 하나 일 佛: 부처 불 -
염불종
(念佛宗)
:
1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며 왕생하기를 바라는 교문(敎門).
2
염불을 권하는 종지(宗旨)를 통틀어 이르는 말.
🌏 念: 생각할 염 佛: 부처 불 宗: 마루 종 -
불사
(佛舍)
:
부처를 모신 집.
🌏 佛: 부처 불 舍: 집 사 -
칭명염불
(稱名念佛)
:
아미타불의 명호(名號)인 ‘나무아미타불’을 부르는 일. 정토교에서는 아미타불의 정토(淨土)에 왕생하는 다섯 가지 정행(正行) 가운데 제4인 ‘칭명’을 이른다. (나무아미타불: 아미타불에 돌아가 의지함을 이르는 말., 공들인 일이 헛일이 됨을 이르는 말., 아미타불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뜻으로, 염불할 때 외는 소리.)
🌏 稱: 일컬을 칭 名: 이름 명 念: 생각할 염 佛: 부처 불 -
불자
(佛者)
:
불교에 귀의한 사람.
🌏 佛: 부처 불 者: 놈 자 -
불지
(佛智)
:
진리를 완전히 깨달은 부처의 지혜.
🌏 佛: 부처 불 智: 지혜 지 -
이불성
(二佛性)
:
법상종에서, 진여 법성(眞如法性)의 이치를 둘로 나눈 이불성(理佛性)과 행불성(行佛性)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二: 두 이 佛: 부처 불 性: 성품 성 -
청정광불
(淸淨光佛)
:
‘아미타불’의 다른 이름. 십이광불의 하나로,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나서 깨끗하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아미타불: 서방 정토에 있는 부처. 대승 불교 정토교의 중심을 이루는 부처로, 수행 중에 모든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대원(大願)을 품고 성불하여 극락에서 교화하고 있으며, 이 부처를 염하면 죽은 뒤에 극락에 간다고 한다.)
🌏 淸: 맑을 청 淨: 깨끗할 정 光: 빛 광 佛: 부처 불 -
굴불사지 석각 불상
(掘佛寺址石刻佛像)
: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굴불사 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거대한 화강석의 사면을 다듬어 서면(西面)에 아미타 삼존, 동면(東面)에 약사여래, 남면(南面)에 석가여래, 북면(北面)에 미륵보살의 상을 새겼다. 보물 제121호.
🌏 掘: 팔 굴 佛: 부처 불 寺: 절 사 址: 터 지 石: 돌 석 刻: 새길 각 명심할 각 각박할 각 깎을 각 줄일 각 해칠 각 정할 각 열심히 각 기물에새긴문자 각 판본 각 佛: 부처 불 像: 모양 상 -
백중불공하다
(百中佛供하다)
:
백중날에 불공을 드리다.
🌏 百: 일백 백 中: 가운데 중 佛: 부처 불 供: 이바지할 공 -
불일
(佛日)
:
1
모든 중생을 구제하는 부처의 광명을 해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
석가모니가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 음력 4월 8일이다.
🌏 佛: 부처 불 日: 날 일 -
신라 불교
(新羅佛敎)
:
신라에서 성행하였던 불교. 신라 19대 눌지왕 때에 고구려의 묵호자가 전하였고, 23대 법흥왕 때에 국가가 공인하였다.
🌏 新: 새로울 신 羅: 그물 라 佛: 부처 불 敎: 가르칠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