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 💕시작 단어 💡6 글자 6개
-
훈민정음통사
(訓民正音通史)
:
1948년에 방종현이 훈민정음의 변천을 고찰한 책.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正: 바를 정 音: 소리 음 通: 통할 통 史: 역사 사 - 훈덕지근하다 : → 후텁지근하다. (후텁지근하다: 조금 불쾌할 정도로 끈끈하고 무더운 기운이 있다.)
-
훈민정음도해
(訓民正音圖解)
:
조선 영조 26년(1750)에 신경준이 지은 음운 연구서. 훈민정음의 음운 원리를 그림을 그려 역학적으로 풀이하였다. 1책.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正: 바를 정 音: 소리 음 圖: 그림 도 解: 풀 해 -
훈민정음운해
(訓民正音韻解)
:
조선 영조 26년(1750)에 신경준이 지은 음운 연구서. 훈민정음의 음운 원리를 그림을 그려 역학적으로 풀이하였다. 1책.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正: 바를 정 音: 소리 음 韻: 운 운 解: 풀 해 -
훈민정음해례
(訓民正音解例)
:
1
‘훈민정음’에서 제자해(制字解), 초성해(初聲解), 중성해(中聲解), 종성해(終聲解), 합자해(合字解)의 5해(解)와 용자례(用字例)의 1례(例) 부분을 이르는 말.
2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제70호.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正: 바를 정 音: 소리 음 解: 풀 해 例: 법식 례 -
훈민정음언해
(訓民正音諺解)
:
≪훈민정음≫의 어제 서문(御製序文)과 자모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를 한글로 풀이한 것. ≪월인석보≫의 첫머리에 실렸다.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正: 바를 정 音: 소리 음 諺: 상말 언 解: 풀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