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 💕시작 단어 💡4 글자 66개
-
훈요십조
(訓要十條)
:
고려 태조가 후손에 전한 신서(信書)와 훈계(訓戒) 10조로 이루어진 정치 지침서. 불교 신앙과 풍수지리 사상이 대부분으로, 역대의 왕이 이에 의하여 정치를 하였다고 한다.
🌏 訓: 가르칠 훈 要: 중요할 요 十: 열 십 條: 가지 조 -
훈민정음
(訓民正音)
:
1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
2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제70호.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正: 바를 정 音: 소리 음 -
훈염하다
(薰染하다)
:
좋은 감화를 주거나 받다.
🌏 薰: 향풀 훈 染: 물들일 염 -
훈증하다
(薰蒸하다)
:
찌는 듯이 무덥다.
🌏 薰: 향풀 훈 蒸: 찔 증 -
훈혁하다
(薰赫하다)
:
위세가 대단하다.
🌏 薰: 향풀 훈 赫: 붉을 혁 -
훈춘 사건
(Hunchun[琿春]事件)
:
1920년 10월에 일본군이 마적을 토벌한다는 명목으로 중국 지린성(吉林省) 훈춘의 우리나라 교포와 독립운동자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
🌏 事: 일 사 件: 사건 건 -
훈려하다
(訓勵하다)
:
타일러서 힘쓰게 하다.
🌏 訓: 가르칠 훈 勵: 힘쓸 려 -
훈화하다
(訓化하다)
:
가르쳐 좋게 되도록 이끌다.
🌏 訓: 가르칠 훈 化: 될 화 -
훈지상화
(壎篪相和)
:
형이 훈이라는 악기를 불면 아우는 지라는 악기를 불어 화답한다는 뜻으로, 형제간의 화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壎: 질나팔 훈 篪: 저 이름 지 相: 서로 상 和: 화목할 화 -
훈도하다
(薰陶하다)
:
덕(德)으로써 사람의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치고 길러 선으로 나아가게 하다.
🌏 薰: 향풀 훈 陶: 질그릇 도 -
훈훈하다
(醺醺하다)
:
술 취한 기운이 얼근하다.
🌏 醺: 취할 훈 醺: 취할 훈 -
훈화하다
(薰化하다)
:
교화하고 훈육하여 좋은 길로 인도하다.
🌏 薰: 향풀 훈 化: 될 화 -
훈연하다
(燻煙하다)
:
연기로 익히다.
🌏 燻: 연기 낄 훈 煙: 연기 연 -
훈련원정
(訓鍊院正)
:
조선 시대에, 훈련원에 속한 정삼품 벼슬.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院: 집 원 正: 바를 정 -
훈칙하다
(訓飭하다)
:
훈령으로써 단단히 일러서 경계하다.
🌏 訓: 가르칠 훈 飭: 신칙할 칙 -
훈증하다
(燻蒸하다)
:
1
유독 가스로 살충ㆍ살균하다.
2
더운 연기를 쐬거나 그것에 찌다.
🌏 燻: 연기 낄 훈 蒸: 찔 증 -
훈육하다
(薰育하다)
:
덕(德)으로써 사람을 인도하여 가르치고 기르다.
🌏 薰: 향풀 훈 育: 기를 육 -
훈목하다
(薰沐하다)
:
향료를 옷에 뿌리고 머리를 감아 몸을 깨끗이 하다.
🌏 薰: 향풀 훈 沐: 머리 감을 목 - 훈감하다 : 1 푸짐하고 호화롭다. 2 맛이 진하고 냄새가 좋다.
-
훈열하다
(薰熱하다)
:
찌는 듯이 무덥다.
🌏 薰: 향풀 훈 熱: 더울 열 -
훈자하다
(薰炙하다)
:
남에게 교화(敎化)를 받다.
🌏 薰: 향풀 훈 炙: 구울 자 -
훈령하다
(訓令하다)
:
상급 관청에서 하급 관청을 지휘ㆍ감독하기 위하여 명령을 내리다.
🌏 訓: 가르칠 훈 令: 명령할 령 -
훈회하다
(訓誨하다)
:
가르치고 타일러 뉘우치게 하다.
🌏 訓: 가르칠 훈 誨: 가르칠 회 -
훈유하다
(訓諭하다/訓喩하다)
:
가르쳐 타이르다.
🌏 訓: 가르칠 훈 諭: 깨우칠 유 訓: 가르칠 훈 喩: 깨달을 유 -
훈자하다
(薰煮하다)
:
1
태우고 삶다.
2
(비유적으로) 날씨가 몹시 무더워지다.
🌏 薰: 향풀 훈 煮: 삶을 자 -
훈민하다
(訓民하다)
:
백성을 가르치다.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
훈련대장
(訓鍊大將)
:
조선 시대에 둔, 훈련도감의 으뜸 벼슬. 품계는 종이품이었다.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大: 큰 대 將: 장수 장 -
훈작하다
(熏灼하다/薰灼하다)
:
1
불에 태우다.
2
(비유적으로) 큰 세력을 가지다.
🌏 熏: 연기 훈 灼: 사를 작 薰: 향풀 훈 灼: 사를 작 -
훈방하다
(訓放하다)
:
일상생활에서 가벼운 죄를 범한 사람을 훈계하여 놓아주다.
🌏 訓: 가르칠 훈 放: 놓을 방 -
훈도되다
(薰陶되다)
:
덕(德)으로써 사람의 품성이나 도덕 따위가 가르쳐지고 길러져 선으로 나아가게 되다.
🌏 薰: 향풀 훈 陶: 질그릇 도 -
훈음종편
(訓音宗編)
:
조선 중기의 실학자 이사질(李思質)이 쓴, 훈민정음에 관한 연구서.
🌏 訓: 가르칠 훈 音: 소리 음 宗: 마루 종 編: 엮을 편 -
훈호처창
(焄蒿悽愴)
:
향기가 올라가 귀신의 분위기가 서림을 형상적으로 이르는 말.
🌏 焄: 김쐴 훈 蒿: 다북쑥 호 悽: 슬퍼할 처 愴: 슬퍼할 창 -
훈독하다
(訓讀하다)
:
한자의 뜻을 새겨서 읽다.
🌏 訓: 가르칠 훈 讀: 읽을 독 -
훈련되다
(訓鍊되다/訓練되다)
:
1
기본자세나 동작 따위가 되풀이되어 익혀지다.
2
가르침을 받아 익히게 되다.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불릴 연 訓: 가르칠 훈 練: 익힐 련 익힐 연 -
훈화하다
(訓話하다)
:
교훈이나 훈시를 하다.
🌏 訓: 가르칠 훈 話: 말할 화 -
훈육되다
(訓育되다)
:
품성이나 도덕 따위가 가르쳐져 길러지다.
🌏 訓: 가르칠 훈 育: 기를 육 -
훈련하다
(訓鍊하다/訓練하다)
:
1
기본자세나 동작 따위를 되풀이하여 익히다.
2
가르쳐서 익히게 하다.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불릴 연 訓: 가르칠 훈 練: 익힐 련 익힐 연 -
훈수하다
(薰修하다)
:
덕화(德化)를 받아서 수행하다.
🌏 薰: 향풀 훈 修: 닦을 수 -
훈시 규정
(訓示規定)
:
위반하더라도 그 위반 행위의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규정.
🌏 訓: 가르칠 훈 示: 보일 시 規: 법 규 定: 정할 정 -
훈석하다
(訓釋하다)
:
한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다.
🌏 訓: 가르칠 훈 釋: 풀 석 -
훈계하다
(訓戒하다)
: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주다.
🌏 訓: 가르칠 훈 戒: 경계할 계 -
훈육되다
(薰育되다)
:
덕(德)으로써 사람이 인도되어 가르쳐지고 길러지다.
🌏 薰: 향풀 훈 育: 기를 육 -
훈육하다
(訓育하다)
: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르다.
🌏 訓: 가르칠 훈 育: 기를 육 -
훈총양영
(訓摠兩營)
:
훈련도감과 총융청의 두 군영을 아울러 이르는 말.
🌏 訓: 가르칠 훈 摠: 모두 총 兩: 두 양 營: 경영할 영 -
훈고하다
(訓告하다)
:
알아듣도록 타이르다.
🌏 訓: 가르칠 훈 告: 아뢸 고 -
훈계 방면
(訓戒放免)
:
일상생활에서 가벼운 죄를 범한 사람을 훈계하여 놓아줌.
🌏 訓: 가르칠 훈 戒: 경계할 계 放: 놓을 방 免: 면할 면 -
훈시하다
(訓示하다)
:
1
상관이 하관에게 집무상의 주의 사항을 일러 보이다.
2
가르쳐 보이거나 타이르다.
3
예전에, 관청의 명령을 일반에게 알리다.
🌏 訓: 가르칠 훈 示: 보일 시 -
훈색 유리
(暈色琉璃)
:
광선을 여러 각도로 반사하여 아름다운 광채를 내는 유리.
🌏 暈: 무리 훈 色: 빛 색 琉: 유리 유 璃: 유리 리 -
훈국동영
(訓局東營)
:
조선 시대에 둔, 훈련도감의 본영(本營).
🌏 訓: 가르칠 훈 局: 판 국 東: 동녘 동 營: 경영할 영 -
훈인하다
(訓人하다)
:
사람을 가르치다.
🌏 訓: 가르칠 훈 人: 사람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