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 💕시작 단어 💡3 글자 40개
-
훈련탄
(訓鍊彈)
:
사격술 따위의 훈련에 사용하는 탄약.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彈: 탄알 탄 -
훈련기
(訓鍊機)
:
비행사를 훈련하는 데에 쓰는 비행기.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機: 틀 기 -
훈연법
(燻煙法)
:
풀, 겨 따위를 태운 연기를 논밭 위에 끼게 하여 서리의 피해를 막는 방법.
🌏 燻: 연기 낄 훈 煙: 연기 연 法: 법도 법 -
훈조계
(燻造契)
:
관아에 메주를 공물(貢物)로 바치던 계.
🌏 燻: 연기 낄 훈 造: 지을 조 契: 맺을 계 -
훈제품
(燻製品)
:
소금에 절인 고기 따위를 연기 속에 매달아 건조시킨 식품. 독특한 향취와 방부성이 생긴다.
🌏 燻: 연기 낄 훈 製: 지을 제 品: 물건 품 -
훈고학
(訓詁學)
:
유학의 경전을 문자나 어구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 중국 한나라ㆍ당나라 때에 비롯하였다.
🌏 訓: 가르칠 훈 詁: 주낼 고 學: 배울 학 -
훈장질
(訓長질)
:
1
학생을 가르치는 일을 낮잡아 이르는 말.
2
글방의 선생 노릇을 낮잡아 이르는 말.
🌏 訓: 가르칠 훈 長: 길 장 -
훈련소
(訓鍊所)
:
훈련을 하기 위하여 마련한 곳. 또는 그런 기관.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所: 바 소 -
훈련장
(訓鍊場)
:
훈련을 하는 장소.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場: 마당 장 -
훈궐증
(暈厥症)
:
‘현기증’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현기증: 어지러운 기운이 나는 증세.)
🌏 暈: 무리 훈 厥: 그 궐 症: 증세 증 -
훈련복
(訓鍊服)
:
훈련을 할 때에 입는 옷.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服: 입을 복 -
훈제와
(燻製瓦)
:
솔잎을 태운 연기에 기와 끝 쪽을 그슬려 검게 만든 기와.
🌏 燻: 연기 낄 훈 製: 지을 제 瓦: 기와 와 -
훈훈히
(醺醺히)
:
술 취한 기운이 얼근하게.
🌏 醺: 취할 훈 醺: 취할 훈 -
훈련원
(訓鍊院)
:
조선 시대에, 군사의 시재(試才), 무예의 연습, 병서의 강습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세조 12년(1466)에 훈련관을 고친 것으로, 융희 원년(1907)에 한일 신협약의 체결에 따라 해산되었다.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院: 집 원 -
훈련병
(訓鍊兵)
:
각 부대에 배치되기 전에 훈련 기관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병사.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兵: 군사 병 -
훈포장
(勳褒章)
:
훈장과 포장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勳: 공로 훈 褒: 기릴 포 章: 글월 장 -
훈륙향
(薰陸香)
:
감람과에 속하는 상록수의 진이 녹아 흘러 땅속에서 굳어져 향기를 내는 물건.
🌏 薰: 향풀 훈 陸: 뭍 륙 香: 향기 향 -
훈훈히
(薰薰히)
:
1
날씨나 온도가 견디기 좋을 만큼 덥게.
2
마음을 부드럽게 녹여 주는 따스함이 있게.
3
냄새가 서려 있는 상태로.
🌏 薰: 향풀 훈 薰: 향풀 훈 -
훈령서
(訓令書)
:
훈령을 기록한 서류.
🌏 訓: 가르칠 훈 令: 명령할 령 書: 글 서 -
훈연실
(燻煙室)
:
어육(魚肉)이나 수육(獸肉)을 연기에 익혀 말리는 방.
🌏 燻: 연기 낄 훈 煙: 연기 연 室: 집 실 -
훈수꾼
(訓手꾼)
:
남이 두는 바둑이나 장기 따위에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주는 사람.
🌏 訓: 가르칠 훈 手: 손 수 -
훈하다
(薰하다)
:
약물을 태우거나 높은 열을 가하여 거기에서 발산되는 약 기운을 쐬어 병을 치료하다.
🌏 薰: 향풀 훈 -
훈련생
(訓鍊生)
:
훈련을 받고 있는 학생.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生: 날 생 -
훈증제
(燻蒸劑)
:
유독 가스를 발생시켜 병균이나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
🌏 燻: 연기 낄 훈 蒸: 찔 증 劑: 약지을 제 -
훈계조
(訓戒調)
: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주는 듯한 투.
🌏 訓: 가르칠 훈 戒: 경계할 계 調: 고를 조 -
훈척신
(勳戚臣)
:
훈신과 척신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勳: 공로 훈 戚: 겨레 척 臣: 신하 신 -
훈국선
(訓局船)
:
조선 시대에, 훈련도감에 소속된 배.
🌏 訓: 가르칠 훈 局: 판 국 船: 배 선 -
훈구파
(勳舊派)
:
조선 건국 또는 조선 초기의 각종 정변(政變)에서 공을 세워 높은 벼슬을 해 오던 관료층.
🌏 勳: 공로 훈 舊: 옛 구 派: 물갈래 파 -
훈도관
(訓導官)
:
조선 시대에, 한양의 사학(四學)과 지방의 향교에서 교육을 맡아보던 교관.
🌏 訓: 가르칠 훈 導: 이끌 도 官: 벼슬 관 -
훈련대
(訓鍊隊)
:
조선 고종 31년(1894)에 일본인의 지도로 편성한 군대. 명성 황후 살해 사건 때에 일본 낭인(浪人)들에게 이용당하였으며 32년(1895)에 해산되었다.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隊: 떼 대 -
훈조태
(燻造太)
:
메주를 쑤는 데에 쓰는 콩.
🌏 燻: 연기 낄 훈 造: 지을 조 太: 클 태 -
훈화초
(薰華草)
:
‘무궁화’의 꽃. 우리나라의 국화(國花)이다. (무궁화: 아욱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1.5~4미터이며, 잎은 어긋나며 달걀 모양 또는 마름모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세 갈래로 갈라진다. 7월부터 9월까지 넓은 종 모양의 꽃이 주로 새로운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달려서 핀다. 꽃잎은 다섯 장으로 품종에 따라 색이 다양하며 아래쪽에 붉은색의 무늬가 있거나 없다. 다수의 수술대가 하나로 붙어 있으며 암술머리는 다섯 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중국 또는 인도가 원산으로 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 薰: 향풀 훈 華: 빛날 화 草: 풀 초 -
훈시자
(訓示者)
:
훈시를 하는 사람.
🌏 訓: 가르칠 훈 示: 보일 시 者: 놈 자 -
훈령권
(訓令權)
:
한 관청이 다른 관청에 훈령을 내릴 수 있는 권한.
🌏 訓: 가르칠 훈 令: 명령할 령 權: 권세 권 -
훈증법
(燻蒸法)
:
식품을 훈증 가스로 처리하여 곤충이나 기생충의 알 따위를 없애는 방법. 곡류나 콩류의 저장에 이용된다.
🌏 燻: 연기 낄 훈 蒸: 찔 증 法: 법도 법 -
훈민가
(訓民歌)
:
조선 시대에, 송강 정철이 지은 16수의 시조. 작가가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백성을 훈계하기 위하여 지었으며, ≪송강가사≫에 실려 전한다.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歌: 노래 가 -
훈연제
(燻煙劑)
:
불에 태워서 나오는 연기나 유효 성분으로 살충ㆍ살균을 하는 약. 모기향 따위가 있다.
🌏 燻: 연기 낄 훈 煙: 연기 연 劑: 약지을 제 -
훈제장
(燻製場)
:
1
훈제 가마에서 소금에 절인 고기를 연기에 익혀 말리는 곳.
2
훈제 가마를 놓고 훈제품을 만드는 곳.
🌏 燻: 연기 낄 훈 製: 지을 제 場: 마당 장 -
훈찬편
(訓纂篇)
:
중국 한(漢)나라의 양웅(揚雄)이 지은 자전(字典). ≪창힐편(倉頡篇)≫ 이후 14가지 책에서 뽑아 한문 글자의 뜻을 풀이한 것으로 5,340자를 수록하였다. 1권.
🌏 訓: 가르칠 훈 纂: 모을 찬 篇: 책 편 -
훈련관
(訓鍊觀)
:
조선 전기에, 군사의 시재(試才), 무예의 연습, 병서의 강습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태조 원년(1392)에 설치하고 세조 12년(1466)에 훈련원으로 고쳤다.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觀: 볼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