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 💕시작 단어 💡2 글자 129개
-
훈친
(勳親)
:
나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임금의 친척.
🌏 勳: 공로 훈 親: 친할 친 -
훈자
(薰炙)
:
남에게 교화(敎化)를 받음.
🌏 薰: 향풀 훈 炙: 구울 자 -
훈채
(訓債)
:
조선 시대에, 서당 선생에게 보수로 주던 곡식.
🌏 訓: 가르칠 훈 債: 빚 채 -
훈향
(薰香)
:
훈훈한 향기.
🌏 薰: 향풀 훈 香: 향기 향 -
훈인
(訓人)
:
1
사람을 가르침.
2
스승이나 선배.
🌏 訓: 가르칠 훈 人: 사람 인 -
훈신
(勳臣)
: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공로를 세운 신하.
🌏 勳: 공로 훈 臣: 신하 신 -
훈상
(勳賞)
: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에 대한 상.
🌏 勳: 공로 훈 賞: 상줄 상 -
훈흑
(曛黑)
:
‘훈흑하다’의 어근. (훈흑하다: 해가 져서 어둑어둑하다.)
🌏 曛: 어스레할 훈 黑: 검을 흑 -
훈귀
(勳貴)
:
사업이나 나라를 위하여 두드러지게 세운 공로가 있는 귀족.
🌏 勳: 공로 훈 貴: 귀할 귀 -
훈벌
(勳閥)
: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문벌.
🌏 勳: 공로 훈 閥: 공훈 벌 -
훈위
(勳位)
: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와 벼슬의 등급.
🌏 勳: 공로 훈 位: 자리 위 -
훈정
(薰錠)
:
아라비아고무의 용액에 가루 향료를 섞어 이긴 것. 뜨거운 금속판 위에 마찰하여 바르면 향내가 난다.
🌏 薰: 향풀 훈 錠: 제기 이름 정 -
훈독
(訓讀)
:
한자의 뜻을 새겨서 읽음.
🌏 訓: 가르칠 훈 讀: 읽을 독 -
훈계
(勳階)
: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의 등급.
🌏 勳: 공로 훈 階: 섬돌 계 -
훈육
(獯鬻/葷粥/薰育)
:
중국 하(夏)나라 때에, ‘북적’(北狄)을 이르던 말. 진나라, 한나라, 전국(戰國) 시대의 흉노(匈奴)에 해당한다. (북적: 예전에, 중국에서 북쪽의 오랑캐라는 뜻으로 북쪽 지방에 사는 민족을 낮잡아 이르던 말. 흉노, 선비(鮮卑), 유연(柔然), 돌궐, 거란, 위구르, 몽골 등의 유목 민족을 가리킨다.)
🌏 獯: 오랑캐 이름 훈 鬻: 죽 죽 팔 육 기를 국 葷: 훈채 훈 粥: 죽 죽 팔 육 薰: 향풀 훈 育: 기를 육 -
훈유
(訓諭/訓喩)
:
가르쳐 타이름. 또는 그런 말.
🌏 訓: 가르칠 훈 諭: 깨우칠 유 訓: 가르칠 훈 喩: 깨달을 유 -
훈문
(勳門)
: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문벌.
🌏 勳: 공로 훈 門: 문 문 -
훈실
(燻室)
:
어육(魚肉)이나 수육(獸肉)을 연기에 익혀 말리는 방.
🌏 燻: 연기 낄 훈 室: 집 실 -
훈전
(訓傳)
:
경서(經書)를 풀이한 책.
🌏 訓: 가르칠 훈 傳: 전할 전 -
훈차
(訓借)
:
차자 표기에서, 한자의 뜻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일.
🌏 訓: 가르칠 훈 借: 빌릴 차 -
훈육
(薰育)
:
덕(德)으로써 사람을 인도하여 가르치고 기름.
🌏 薰: 향풀 훈 育: 기를 육 -
훈업
(勳業)
:
큰 공로가 있는 사업.
🌏 勳: 공로 훈 業: 업 업 -
훈석
(訓釋)
:
한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함.
🌏 訓: 가르칠 훈 釋: 풀 석 -
훈증
(燻蒸)
:
1
더운 연기를 쐬거나 그것에 찜.
2
유독 가스로 살충ㆍ살균함.
🌏 燻: 연기 낄 훈 蒸: 찔 증 -
훈민
(訓民)
:
백성을 가르침.
🌏 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 -
훈황
(曛黃)
:
저녁 무렵.
🌏 曛: 어스레할 훈 黃: 누를 황 -
훈주
(葷酒)
:
파, 마늘 따위의 특이한 냄새가 나는 채소와 술.
🌏 葷: 훈채 훈 酒: 술 주 - 훈감 : ‘훈감하다’의 어근. (훈감하다: 맛이 진하고 냄새가 좋다., 푸짐하고 호화롭다.)
-
훈병
(訓兵)
:
각 부대에 배치되기 전에 훈련 기관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병사.
🌏 訓: 가르칠 훈 兵: 군사 병 -
훈열
(勳烈)
:
큰 공훈.
🌏 勳: 공로 훈 烈: 세찰 열 -
훈로
(勳勞)
: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
🌏 勳: 공로 훈 勞: 수고로울 로 -
훈언
(訓言)
: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경계하는 말.
🌏 訓: 가르칠 훈 言: 말씀 언 -
훈적
(勳籍)
:
신하가 세운 공로의 내용을 기록한 문서.
🌏 勳: 공로 훈 籍: 서적 적 -
훈비
(熏鼻)
:
약을 태우면서 그 냄새를 맡게 하는 치료 방법.
🌏 熏: 연기 훈 鼻: 코 비 -
훈증
(薰蒸)
:
‘훈증하다’의 어근. (훈증하다: 찌는 듯이 무덥다.)
🌏 薰: 향풀 훈 蒸: 찔 증 -
훈약
(薰藥)
:
불에 태워서 나오는 기운을 쐬어 병을 치료하는 약.
🌏 薰: 향풀 훈 藥: 약 약 -
훈명
(勳名)
:
나라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 勳: 공로 훈 名: 이름 명 -
훈수
(訓手)
:
1
바둑이나 장기 따위를 둘 때에 구경하던 사람이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줌.
2
남의 일에 끼어들어 이래라저래라 하는 말.
🌏 訓: 가르칠 훈 手: 손 수 -
훈부
(勳府)
:
조선 시대에, 공신(功臣)의 훈공을 기록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태종 때에 공신도감, 세종 때에 충훈사로 부르던 것을 세조 때에 이 이름으로 고쳤다가 고종 31년(1894)에 기공국으로 고쳤다.
🌏 勳: 공로 훈 府: 마을 부 -
훈화
(薰化)
:
교화하고 훈육하여 좋은 길로 인도함.
🌏 薰: 향풀 훈 化: 될 화 -
훈족
(Hun族)
:
중앙아시아의 스텝 지대에서 활약하던 유목 민족. 4세기 중엽에 서쪽으로 이동하여 유럽에 침입하여 게르만 민족 대이동을 유발하였으며, 5세기 전반의 아틸라왕의 전성기에는 아시아에서 유럽에 걸친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 族: 겨레 족 풍류 가락 주 -
훈봉
(勳封)
:
봉작(封爵)과 증직(贈職)을 아울러 이르던 말.
🌏 勳: 공로 훈 封: 봉할 봉 -
훈화
(訓話)
:
교훈이나 훈시를 함. 또는 그런 말.
🌏 訓: 가르칠 훈 話: 말할 화 -
훈전
(勳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勳: 공로 훈 田: 밭 전 -
훈령
(訓令)
:
상급 관청에서 하급 관청을 지휘ㆍ감독하기 위하여 명령을 내림. 또는 그 명령.
🌏 訓: 가르칠 훈 令: 명령할 령 -
훈화
(訓化)
:
가르쳐 좋게 되도록 이끎.
🌏 訓: 가르칠 훈 化: 될 화 -
훈패
(勳牌)
:
1
‘훈장’을 속되게 이르는 말. (훈장: 나라와 사회에 크게 공헌한 사람에게 국가 원수가 수여하는 휘장., 대한민국 국민이나 우방 국민으로서 대한민국을 위하여 뚜렷한 공적을 세운 사람에게 그 공로를 기리고자 나라에서 주는 휘장. 나라에서 주는 포상 가운데 으뜸가는 훈격(勳格)으로, 무궁화 대훈장, 건국ㆍ국민ㆍ무공ㆍ근정ㆍ보국ㆍ수교ㆍ산업ㆍ새마을ㆍ문화ㆍ체육ㆍ과학 기술 훈장의 열두 가지가 있다.)
2
대한 제국 때에, 나라에 공훈(功勳)이 있는 사람에게 내려 주던 휘장.
🌏 勳: 공로 훈 牌: 패 패 -
훈장
(訓狀)
:
교훈의 편지.
🌏 訓: 가르칠 훈 狀: 문서 장 -
훈련
(訓鍊/訓練)
:
1
기본자세나 동작 따위를 되풀이하여 익힘.
2
가르쳐서 익히게 함.
3
일정한 목표나 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실제적 교육 활동. 정신적인 것과 기술적인 것이 있다.
🌏 訓: 가르칠 훈 鍊: 불릴 련 불릴 연 訓: 가르칠 훈 練: 익힐 련 익힐 연 -
훈장
(勳章)
:
1
나라와 사회에 크게 공헌한 사람에게 국가 원수가 수여하는 휘장.
2
대한민국 국민이나 우방 국민으로서 대한민국을 위하여 뚜렷한 공적을 세운 사람에게 그 공로를 기리고자 나라에서 주는 휘장. 나라에서 주는 포상 가운데 으뜸가는 훈격(勳格)으로, 무궁화 대훈장, 건국ㆍ국민ㆍ무공ㆍ근정ㆍ보국ㆍ수교ㆍ산업ㆍ새마을ㆍ문화ㆍ체육ㆍ과학 기술 훈장의 열두 가지가 있다.
🌏 勳: 공로 훈 章: 글월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