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 💕시작 단어 💡幸 한자 37개
-
행여
(幸여)
:
어쩌다가 혹시.
🌏 幸: 다행 행 -
행우
(幸祐)
:
1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
2
복된 좋은 운수.
🌏 幸: 다행 행 祐: 도울 우 -
행기하다
(幸冀하다)
:
행여나 하고 무엇을 바라다.
🌏 幸: 다행 행 冀: 바랄 기 -
행주 대교
(幸州大橋)
:
한강에 건설된 다리 가운데 하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1978년에 준공하였다. 길이는 1,460미터.
🌏 幸: 다행 행 州: 고을 주 大: 큰 대 橋: 다리 교 -
행행하다
(行幸하다)
:
임금이 대궐 밖으로 거둥하다.
🌏 行: 다닐 행 幸: 다행 행 -
행복하다
(幸福하다)
: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하다.
🌏 幸: 다행 행 福: 복 복 -
행어
(幸御)
:
1
임금이 행차함. 또는 그런 행차.
2
여자를 총애하여 가까이함.
🌏 幸: 다행 행 御: 어거할 어 -
행신
(幸臣)
:
임금의 총애를 받는 신하.
🌏 幸: 다행 행 臣: 신하 신 -
행어하다
(幸御하다)
:
1
임금이 행차하다.
2
여자를 총애하여 가까이하다.
🌏 幸: 다행 행 御: 어거할 어 -
행
(幸)
:
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음.
🌏 幸: 다행 행 -
행운
(幸運)
:
좋은 운수. 또는 행복한 운수.
🌏 幸: 다행 행 運: 운전할 운 -
행학하다
(幸學하다)
:
임금이 학교에 행차하다.
🌏 幸: 다행 행 學: 배울 학 -
행복스럽다
(幸福스럽다)
: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데가 있다.
🌏 幸: 다행 행 福: 복 복 -
행재요화
(幸災樂禍)
:
남이 재난과 화를 입는 것을 보고 기뻐함.
🌏 幸: 다행 행 災: 재앙 재 樂: 좋을 요 禍: 재앙 화 -
행복
(幸福)
:
1
복된 좋은 운수.
2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
🌏 幸: 다행 행 福: 복 복 -
행심하다
(幸甚하다)
:
매우 다행하다.
🌏 幸: 다행 행 甚: 심할 심 -
행막행의
(幸莫幸矣)
:
더할 수 없이 다행함.
🌏 幸: 다행 행 莫: 없을 막 幸: 다행 행 矣: 어조사 의 -
행혀
(幸혀)
:
→ 행여. (행여: 어쩌다가 혹시.)
🌏 幸: 다행 행 -
행여나
(幸여나)
:
‘행여’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행여: 어쩌다가 혹시.)
🌏 幸: 다행 행 -
행기
(幸冀)
:
행여나 하고 무엇을 바람.
🌏 幸: 다행 행 冀: 바랄 기 -
행혀나
(幸혀나)
:
→ 행여나. (행여나: ‘행여’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행여: 어쩌다가 혹시.))
🌏 幸: 다행 행 -
행복스레
(幸福스레)
: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데가 있게.
🌏 幸: 다행 행 福: 복 복 -
행불행
(幸不幸)
:
행복과 불행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幸: 다행 행 不: 아닐 불 幸: 다행 행 -
행인
(幸人)
:
행복한 사람.
🌏 幸: 다행 행 人: 사람 인 -
행우하다
(幸祐하다)
: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하다.
🌏 幸: 다행 행 祐: 도울 우 -
행학
(幸學)
:
임금이 학교에 행차하던 일.
🌏 幸: 다행 행 學: 배울 학 -
행심
(幸甚)
:
‘행심하다’의 어근. (행심하다: 매우 다행하다.)
🌏 幸: 다행 행 甚: 심할 심 -
행희
(幸姬)
:
1
남달리 사랑을 받는 여자.
2
군주의 첩.
🌏 幸: 다행 행 姬: 아씨 희 -
행복 추구권
(幸福追求權)
:
국민이 인간으로서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 헌법에 보장되어 있다.
🌏 幸: 다행 행 福: 복 복 追: 쫓을 추 求: 구할 구 權: 권세 권 -
행복감
(幸福感)
: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마음. 또는 그런 느낌.
🌏 幸: 다행 행 福: 복 복 感: 느낄 감 -
행복주의
(幸福主義)
:
행복을 인생의 최고 목표로 삼고, 이것의 실현을 도덕적 이상으로 삼는 윤리설. 쾌락주의가 쾌락을 최상의 목표로 삼는 데 비하여, 이것은 이성적ㆍ정신적인 만족 따위의 포괄적인 만족을 구한다는 데서 차이가 있다.
🌏 幸: 다행 행 福: 복 복 主: 주인 주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
행복설
(幸福說)
:
행복을 인생의 최고 목표로 삼고, 이것의 실현을 도덕적 이상으로 삼는 윤리설. 쾌락주의가 쾌락을 최상의 목표로 삼는 데 비하여, 이것은 이성적ㆍ정신적인 만족 따위의 포괄적인 만족을 구한다는 데서 차이가 있다.
🌏 幸: 다행 행 福: 복 복 說: 말씀 설 -
행주 싸움
(幸州싸움)
:
조선 선조 26년(1593)에 전라도 순찰사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적을 크게 물리친 싸움. 임란 삼대첩의 하나이다.
🌏 幸: 다행 행 州: 고을 주 -
행행
(行幸)
:
임금이 대궐 밖으로 거둥함.
🌏 行: 다닐 행 幸: 다행 행 -
행주산성
(幸州山城)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에 있는 성.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이 왜적을 크게 물리쳤던 전쟁터이며, 이를 기념하기 위한 대첩비와 충장사가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고양 행주산성’이다. 사적 제56호.
🌏 幸: 다행 행 州: 고을 주 山: 뫼 산 城: 재 성 -
행주 대첩
(幸州大捷)
:
조선 선조 26년(1593)에 전라도 순찰사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적을 크게 물리친 싸움. 임란 삼대첩의 하나이다.
🌏 幸: 다행 행 州: 고을 주 大: 큰 대 捷: 이길 첩 -
행운아
(幸運兒)
:
좋은 운수를 만나 일이 뜻대로 잘되어 가는 사람.
🌏 幸: 다행 행 運: 운전할 운 兒: 아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