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 💕시작 단어 💡2 글자 219개
- 행순 (行巡) : 살피며 돌아다님.
- 행차 (行次) : 웃어른이 차리고 나서서 길을 감. 또는 그때 이루는 대열.
- 행주 (行酒) : 잔에 술을 부어 돌림.
- 행투 : → 행티. (행티: 행짜를 부리는 버릇.)
- 행검 (行檢) : 품행이 점잖고 바름. 또는 그 품행.
- 행사 (行事) : 1 어떤 일을 시행함. 또는 그 일. 2 ‘성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성교: 남녀가 성기(性器)를 결합하여 육체적 관계를 맺음.)
- 행고 (行苦) : 삼고(三苦)의 하나. 생멸(生滅)의 변화로 받는 괴로움을 이른다.
- 행면 (倖免) : 요행히 벗어남.
- 행법 (行法) : 1 사법(四法)의 하나. 부처의 경지에 이르기 위하여 하는 수행을 이른다. 계(戒)ㆍ정(定)ㆍ혜(慧)의 삼학(三學) 따위이다. 2 수행하는 방법.
- 행의 (行醫) : 의술로 행세(行世)함.
- 행렬 (行列) : 1 여러 숫자나 문자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배열한 것. 배열한 숫자나 문자를 그 행렬의 성분 또는 원소라고 하고, 가로로 배열된 원소를 행, 세로로 배열된 원소를 열이라고 한다. 2 같은 부품을 종횡으로 여러 줄 배열하고 그것들을 입력 도선과 출력 도선에 의하여 그물 모양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장치. 3 여럿이 줄지어 감. 또는 그런 줄.
- 행실 (行實) : 실지로 드러나는 행동.
- 행정 (行政) : 1 정치나 사무를 행함. 2 보급, 위생, 수송 따위의 전술과 전략을 제외한 모든 군사 사항을 관리하거나 운용하는 일. 3 국가 통치 작용 가운데 입법 작용과 사법 작용을 제외한 국가 작용. 법 아래에서 법의 규제를 받으면서 국가 목적 또는 공익을 실현하기 위하여 행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국가 작용이다.
- 행꾼 : → 보통내기. (보통내기: 만만하게 여길 만큼 평범한 사람.)
- 행객 (行客) : 자기 고장을 떠나 다른 곳에 잠시 머물거나 떠도는 사람.
- 행성 (行省) : 중국 원나라 때 둔, 지방 통치 기관. 현대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인 성(省)의 기원이다.
- 행방 (行房) : 남녀가 성적으로 관계를 맺음.
- 행자 (行者) : 1 가는 사람. 2 예전에, 장례 때 상제를 따라가던 사내종. 3 여러 곳의 성지(聖地)를 돌아다니며 참배하는 사람. ... (총 5개의 의미)
- 행자 (行資) :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 행낭 (行囊) : 무엇을 넣어서 보내는 큰 주머니.
- 행고 (行賈) :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물건을 파는 일.
- 행락 (行樂) : 재미있게 놀고 즐겁게 지냄.
- 행판 (行販) : 1 팔기 시작함. 2 물건을 가지고 돌아다니면서 팖.
- 행악 (行惡) : 모질고 나쁜 짓을 행함. 또는 그런 행동.
- 행작 (行爵) : 술잔을 돌림.
- 행모 (行暮) : 길을 가다가 날이 저묾.
- 행걸 (行乞) : 도를 닦는 승려가 경문(經文)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동냥하는 일. 가장 간단한 생활을 표방하는 동시에 아집(我執)과 아만(我慢)을 없애고, 보시하는 이의 복덕을 길러 주는 공덕이 있다고 하여 부처 당시부터 행하였다.
- 행각 (行脚) : 1 어떤 목적으로 여기저기 돌아다님. 2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수행함.
- 행필 (行筆) :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하여 붓을 움직임.
- 행지 (行止) : 몸을 움직여 하는 모든 짓.
- 행혈 (行血) : 혈(血)을 잘 돌게 하는 일.
- 행사 (行使) : 1 부려서 씀. 2 행동이나 하는 짓. 3 권리의 내용을 실현함.
- 행치 (行廁) : 걸어 다니는 뒷간이라는 뜻으로, 몸이 깨끗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 행어 (幸御) : 1 임금이 행차함. 또는 그런 행차. 2 여자를 총애하여 가까이함.
- 행무 (行務) : 1 일을 처리함. 2 은행의 사무.
- 행기 (行氣) : 1 기운을 차려 몸을 움직임. 2 호기나 기세를 부림. 3 기분을 풂. ... (총 4개의 의미)
- 행자 (杏子) : 은행나무의 목재.
- 행경 (行徑) : 좁은 길.
- 행행 (悻悻) : 성이 발끈 나서 자리를 박차고 떠나는 모양.
- 행량 (行糧) : 병사들이 출정할 때 그 진영에 지급하는 양식.
- 행신 (行身) :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
- 행담 (行擔) : 길 가는 데에 가지고 다니는 작은 상자. 흔히 싸리나 버들 따위를 결어 만든다.
- 행동 (行動) : 1 내적, 또는 외적 자극에 대한 생물체의 반응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몸을 움직여 동작을 하거나 어떤 일을 함. 3 분명한 목적이나 동기를 가지고 생각과 선택, 결심을 거쳐 의식적으로 행하는 인간의 의지적인 언행. 윤리적인 판단의 대상이 된다.
- 행연 (行硯) : 여행할 때 가지고 다니는 조그마한 벼루.
- 행악 (行樂) : 국악에서, 행진할 때 연주하는 풍류.
- 행창 (行娼) : 드러내 놓고 몸을 파는 창기 노릇을 함. 또는 그 창기(娼妓).
- 행선 (行善) : 1 소극적으로 악한 일을 하지 아니하는 데 그치지 아니하고, 적극적으로 행하는 선(善). 2 삼복(三福)의 하나. 대승(大乘)의 행법을 지키며, 도심(道心)을 일으키어 인과의 도리를 믿으며, 대승 경전을 읽어서 이해하고, 다시 남에게도 권함으로써 얻는 복을 이른다.
- 행등 (行縢) : 바지나 고의를 입을 때 정강이에 감아 무릎 아래 매는 물건. 반듯한 헝겊으로 소맷부리처럼 만들고 위쪽에 끈을 두 개 달아서 돌라매게 되어 있다.
- 행공 (行功) : 수행을 쌓은 공력(功力).
- 행어 (行魚) : 멸칫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13cm 정도이며, 등은 검푸르고 배는 은빛을 띤 백색이다. 몸은 길고 원통 모양이며 비늘은 둥글둥글하다. 연안 회유성 물고기로 플랑크톤을 주로 먹고 산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