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 💕시작 단어 💡불교 분야 39개
-
행도
(行道)
:
1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일.
2
승려가 경문(經文)을 외면서 걷는 일.
3
도(道)를 행함.
... (총 5개의 의미)
🌏 行: 다닐 행 道: 길 도 -
행고
(行苦)
:
삼고(三苦)의 하나. 생멸(生滅)의 변화로 받는 괴로움을 이른다.
🌏 行: 다닐 행 苦: 괴로울 고 -
행각하다
(行脚하다)
:
1
어떤 목적으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2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수행하다.
🌏 行: 다닐 행 脚: 다리 각 -
행법
(行法)
:
1
사법(四法)의 하나. 부처의 경지에 이르기 위하여 하는 수행을 이른다. 계(戒)ㆍ정(定)ㆍ혜(慧)의 삼학(三學) 따위이다.
2
수행하는 방법.
🌏 行: 다닐 행 法: 법도 법 -
행업
(行業)
:
1
고락의 과보를 받을 선악의 행위. 곧 몸, 입, 뜻으로 짓는 모든 행위이다.
2
왕생의 인(因)이 되는 행(行).
3
불도를 닦음.
🌏 行: 다닐 행 業: 업 업 -
행각승
(行脚僧)
: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수행하는 승려.
🌏 行: 다닐 행 脚: 다리 각 僧: 중 승 -
행비하다
(行比하다)
:
수행으로 닦은 힘을 견주다.
🌏 行: 다닐 행 比: 견줄 비 -
행과
(行果)
:
행업과 과보(果報)를 아울러 이르는 말. 곧 수행과 그 결과를 이른다.
🌏 行: 다닐 행 果: 열매 과 -
행불성
(行佛性)
:
이불성(理佛性)을 개발하는 행업으로서의 불성.
🌏 行: 다닐 행 佛: 부처 불 性: 성품 성 -
행주좌와
(行住坐臥)
:
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고 하는 일상의 움직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行: 다닐 행 住: 살 주 坐: 앉을 좌 臥: 누울 와 -
행온
(行蘊)
:
1
의지적 행위인 온(蘊).
2
오온(五蘊)의 하나. 의지, 혹은 충동적 욕구에 해당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른다. 아비달마 교학에서는, 46심소(心所)에서 수(受)와 상(想)을 제외한 44와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를 합한 58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行: 다닐 행 蘊: 쌓을 온 -
행익
(行益)
:
정인(淨人)이 법당에 모인 대중에게 빠짐없이 먹을 것을 차례대로 담아 줌.
🌏 行: 다닐 행 益: 더할 익 -
행화
(行化)
:
1
자기의 수행과 남의 교화를 한꺼번에 함.
2
교화를 행함.
🌏 行: 다닐 행 化: 될 화 -
행덕
(行德)
:
수행한 공덕으로 인하여 몸에 갖추어지는 덕.
🌏 行: 다닐 행 德: 덕 덕 -
행복
(行福)
:
삼복(三福)의 하나. 대승(大乘)의 행법을 지키며, 도심(道心)을 일으키어 인과의 도리를 믿으며, 대승 경전을 읽어서 이해하고, 다시 남에게도 권함으로써 얻는 복을 이른다.
🌏 行: 다닐 행 福: 복 복 -
행익하다
(行益하다)
:
정인(淨人)이 법당에 모인 대중에게 빠짐없이 먹을 것을 차례대로 담아 주다.
🌏 行: 다닐 행 益: 더할 익 -
행도하다
(行道하다)
:
1
도(道)를 행하다.
2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3
승려가 경문(經文)을 외면서 걷다.
... (총 5개의 의미)
🌏 行: 다닐 행 道: 길 도 -
행지
(行持)
:
불도를 닦아 지님.
🌏 行: 다닐 행 持: 가질 지 -
행
(行)
:
1
모든 변화하는 존재.
2
십이 연기의 하나. 무명(無明)으로부터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세 가지 업을 이른다.
3
중국 당나라ㆍ송나라 때에, 한곳에 몰려 있거나 각지에 흩어져 있던 동업 상점의 조합.
... (총 5개의 의미)
🌏 行: 다닐 행 -
행향
(行香)
:
1
재식(齋食) 때 시주가 먼저 승려들에게 향을 나누어 줌. 또는 그런 의식.
2
향을 피움. 제사나 예불(禮佛) 의식 따위에서, 향로에 불을 붙인 향을 넣고 향기로운 연기를 피우는 일을 이른다.
🌏 行: 다닐 행 香: 향기 향 -
행걸하다
(行乞하다)
:
도를 닦는 승려가 경문(經文)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동냥하다. 가장 간단한 생활을 표방하는 동시에 아집(我執)과 아만(我慢)을 없애고, 보시하는 이의 복덕을 길러 주는 공덕이 있다고 하여 부처 당시부터 행하였다.
🌏 行: 다닐 행 乞: 빌 걸 -
행선하다
(行禪하다)
: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선(禪)을 닦다.
🌏 行: 다닐 행 禪: 고요할 선 -
행비
(行比)
:
수행으로 닦은 힘을 견줌.
🌏 行: 다닐 행 比: 견줄 비 -
행력
(行力)
:
불도를 닦는 힘.
🌏 行: 다닐 행 力: 힘 력 -
행업하다
(行業하다)
:
불도를 닦다.
🌏 行: 다닐 행 業: 업 업 -
행선
(行禪)
:
1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선(禪)을 닦는 일.
2
행동하면서 하는 참선.
3
선(禪)의 실천.
🌏 行: 다닐 행 禪: 고요할 선 -
행교
(行敎)
:
비구와 비구니의 행법만을 규제하는 가르침. 삼장(三藏) 가운데 율장이 해당한다.
🌏 行: 다닐 행 敎: 가르칠 교 -
행선 축원
(行禪祝願)
:
아침저녁의 예불 때, 부처에게 나라와 백성이 평안하기를 기원하고 구도와 중생 교화를 위하여 끝없이 정진할 것을 다짐하는 일.
🌏 行: 다닐 행 禪: 고요할 선 祝: 빌 축 願: 바랄 원 -
행공
(行功)
:
수행을 쌓은 공력(功力).
🌏 行: 다닐 행 功: 공 공 -
행원
(行願)
:
1
실천의 서원(誓願).
2
큰 자비로 다른 사람을 해탈시키고자 하는 마음.
3
정정업과 극락왕생을 바라는 마음.
... (총 4개의 의미)
🌏 行: 다닐 행 願: 바랄 원 -
행상
(行相)
:
1
소승 불교에서, 객관의 사물이 주관의 마음 위에 비친 영상을 이르는 말.
2
대승 불교에서, 마음에 비친 객관의 영상을 인식하는 주관의 작용을 이르는 말.
🌏 行: 다닐 행 相: 서로 상 -
행해
(行解)
:
1
수행(修行)과 학해(學解)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주관(主觀)인 심식(心識)이 대상에 작용하여 그 모양을 분별하고 완전히 이해하는 알음알이.
🌏 行: 다닐 행 解: 풀 해 -
행인
(行人)
:
1
길을 가는 사람.
2
명령이나 부탁을 받고 심부름하는 사람.
3
불도를 닦는 사람.
🌏 行: 다닐 행 人: 사람 인 -
행자
(行者)
:
1
가는 사람.
2
예전에, 장례 때 상제를 따라가던 사내종.
3
여러 곳의 성지(聖地)를 돌아다니며 참배하는 사람.
... (총 5개의 의미)
🌏 行: 다닐 행 者: 놈 자 -
행걸
(行乞)
:
도를 닦는 승려가 경문(經文)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동냥하는 일. 가장 간단한 생활을 표방하는 동시에 아집(我執)과 아만(我慢)을 없애고, 보시하는 이의 복덕을 길러 주는 공덕이 있다고 하여 부처 당시부터 행하였다.
🌏 行: 다닐 행 乞: 빌 걸 -
행각
(行脚)
:
1
어떤 목적으로 여기저기 돌아다님.
2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수행함.
🌏 行: 다닐 행 脚: 다리 각 -
행향하다
(行香하다)
:
1
재식(齋食) 때 시주가 먼저 승려들에게 향을 나누어 주다.
2
향을 피우다. 제사나 예불(禮佛) 의식 따위에서, 향로에 불을 붙인 향을 넣고 향기로운 연기를 피우는 일을 이른다.
🌏 行: 다닐 행 香: 향기 향 -
행치
(行廁)
:
걸어 다니는 뒷간이라는 뜻으로, 몸이 깨끗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 行: 다닐 행 廁: -
행선
(行善)
:
1
소극적으로 악한 일을 하지 아니하는 데 그치지 아니하고, 적극적으로 행하는 선(善).
2
삼복(三福)의 하나. 대승(大乘)의 행법을 지키며, 도심(道心)을 일으키어 인과의 도리를 믿으며, 대승 경전을 읽어서 이해하고, 다시 남에게도 권함으로써 얻는 복을 이른다.
🌏 行: 다닐 행 善: 착할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