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작 단어 💡法 한자 12개
-
한시법
(限時法)
:
일시적인 특정 사정을 위하여 일정한 기간에 한하여 효력을 발휘하는 법률. 유효 기간 중에 행하여진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법률 폐지 후에도 처벌된다.
🌏 限: 한계 한 時: 때 시 法: 법도 법 -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맞춤法統一案)
:
한글의 맞춤법 체계를 통일하여 작성한 안. 1933년 조선어 학회가 발표한 것이다.
🌏 法: 법도 법 統: 거느릴 통 一: 하나 일 案: 책상 안 -
한계 효용 균등의 법칙
(限界效用均等의法則)
:
소비자나 기업 따위가 한정된 자본이나 소득으로 여러 가지 재화를 구입하는 경우, 총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재화로 얻어지는 한계 효용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소비를 해야 한다는 경제학의 법칙. 주창자의 이름을 따서 고센(Gossen, H. H.)의 제2법칙이라고도 한다.
🌏 限: 한계 한 界: 경계 계 效: 본받을 효 用: 쓸 용 均: 고를 균 等: 같을 등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한국 법전
(韓國法典)
:
융희(隆熙) 4년(1910) 6월 15일 현재의 대한 제국에서 시행되던 법령을 망라한 법전. 15편 78장 72절로 되어 있다.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法: 법도 법 典: 법 전 -
한때심기법
(한때심기法)
:
종자나 모종을 제자리에 옮겨 심기 전에 다른 곳에 임시로 심어 키우는 방법.
🌏 法: 법도 법 -
한계 생산력 균등의 법칙
(限界生産力均等의法則)
: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한 상태에서는 각 생산 요소의 한계 생산력을 각 생산 요소의 가격으로 나눈 값이 모두 같게 된다는 법칙.
🌏 限: 한계 한 界: 경계 계 生: 날 생 産: 낳을 산 力: 힘 력 均: 고를 균 等: 같을 등 法: 법도 법 則: 법 칙 -
한글 맞춤법
(한글맞춤法)
:
한글로써 우리말을 표기하는 규칙의 전반을 이르는 말. 효시는 훈민정음이라고 할 수 있고, 현재의 맞춤법은 1933년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기본으로 하여, 1988년 1월 문교부가 확정ㆍ고시한 것이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의 맞춤법 체계를 통일하여 작성한 안. 1933년 조선어 학회가 발표한 것이다.)
🌏 法: 법도 법 -
한량 환위법
(限量換位法)
:
전칭 긍정 판단을 환위하는 환위법의 하나.
🌏 限: 한계 한 量: 헤아릴 량 換: 바꿀 환 位: 자리 위 法: 법도 법 -
한전법
(限田法)
:
개인이 정하여진 면적 안에서만 땅을 소유할 수 있도록 제한하던 법.
🌏 限: 한계 한 田: 밭 전 法: 법도 법 -
한법
(汗法)
:
육법의 하나. 땀 내는 약을 복용하여 땀을 흘림으로써 병을 일으키는 외적 요인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 汗: 땀 한 法: 법도 법 -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
(한글專用에關한法律)
:
예전에, 모든 공문서를 한글로 쓸 것을 규정하였던 법률. 1948년에 제정되었으며, 필요한 경우에 한자를 병용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2005년 ‘국어기본법’의 제정으로 폐지되었다. (국어 기본법: 국어의 사용을 촉진하고 국어의 발전과 보전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 법률.)
🌏 專: 오로지 전 用: 쓸 용 關: 빗장 관 法: 법도 법 律: 법 률 -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限界效用遞減의法則)
:
일정한 기간 동안 소비되는 재화의 수량이 증가할수록 재화의 추가분에서 얻는 한계 효용은 점점 줄어든다는 법칙.
🌏 限: 한계 한 界: 경계 계 效: 본받을 효 用: 쓸 용 遞: 갈마들 체 減: 덜 감 法: 법도 법 則: 법 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