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작 단어 💡拏 한자 16개
-
한라비녀골풀
(漢拏비녀골풀)
: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6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는 실 모양이다. 5~6월에 1~3개의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높은 산 중턱에서 자라는데 한라산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
한라산비장이
(漢拏山비장이)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인데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7~8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10월에 익는다. 산지(山地)에 나는데 한국의 한라산, 만주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山: 뫼 산 -
한라산
(漢拏山)
:
제주특별자치도 중앙에 있는 산. 참나무ㆍ산벚나무ㆍ단풍나무 따위의 식물이 자라며, 명승지로 삼성혈ㆍ백록담 따위가 있다. 국립 공원의 하나이다. 높이는 1,950미터.
🌏 漢: 한나라 한 拏: 山: 뫼 산 -
한라잠자리난
(漢拏잠자리蘭)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줄기를 감싸고 피는데 넓은 피침 모양이다. 6~7월에 연한 녹색의 꽃이 줄기를 따라 10~25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높은 산의 양지에서 자라는데 한라산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蘭: 난초 난 -
한라부추
(漢拏부추)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7cm 정도이며, 잎은 부추의 잎과 같다. 비늘줄기는 뭉쳐나고 긴 달걀 모양인데 올실로 덮여 있다. 8~9월에 붉은 자주색의 작은 꽃이 줄기 끝에 3~30개씩 모여 피고 열매는 둥근 삭과(蒴果)로 종자는 검은색이다. 식용한다. 높은 산의 바위틈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한라산ㆍ지리산ㆍ가야산,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
한라꿩의다리
(漢拏꿩의다리)
: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0~100cm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2~3회 갈라진 우상 복엽이다. 6~8월에 흰색 꽃이 줄기 끝에 모여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하고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
한라꽃장포
(漢拏꽃장蒲)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8cm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피침 모양이다. 6~7월에 잎 사이로 꽃줄기가 나와 흰 수상화가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1월에 익는다. 고산 식물로 바위틈이나 습한 바위에 붙어 자라는데 한라산 정상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蒲: 부들 포 -
한라개승마
(漢拏개升麻)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5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우상 복엽이다. 8월에 노란색을 띤 흰색 꽃이 원뿔 모양의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한라산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升: 되 승 麻: 삼 마 -
한라사초
(漢拏莎草)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40cm이며, 잎은 좁은 선 모양이고 줄기와 길이가 거의 같다. 5월에 한두 개의 작은 수상화가 피고 열매는 세모 모양의 수과(瘦果)를 맺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들에 나는데 한라산, 지리산, 금강산,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莎: 사초 사 草: 풀 초 -
한라투구꽃
(漢拏투구꽃)
: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cm 정도이며, 근생엽은 둥근 심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고 경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8월에 투구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를 맺는다. 뿌리는 약용하고 숲속에서 자라는데 제주도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
한라돌창포
(漢拏돌菖蒲)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8cm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피침 모양이다. 6~7월에 잎 사이로 꽃줄기가 나와 흰 수상화가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1월에 익는다. 고산 식물로 바위틈이나 습한 바위에 붙어 자라는데 한라산 정상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菖: 창포 창 蒲: 부들 포 -
한라고사리
(漢拏고사리)
: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잎은 긴 잎자루를 가지고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작은 깃조각의 끝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그 가장자리에 홀씨주머니무리가 붙는다. 깊은 산의 나무 밑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지리산ㆍ한라산,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
한라장구채
(漢拏장구채)
: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cm 정도이며, 잎은 뭉쳐나거나 마주나고 좁은 선 모양이다. 6~8월에 흰 꽃이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蒴果)를 맺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높은 산에서 자라는데 한라산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
한라돌쩌귀
(漢拏돌쩌귀)
: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5~10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세 갈래로 갈라지고 옆 갈래 조각은 다시 두 개씩 깊게 갈라진다. 9월에 투구 모양의 자주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를 맺는다. 꽃대에 굽은 털이 촘촘히 나 있다. 한국의 한라산과 일본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
한라솜다리
(漢拏솜다리)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7~12cm이며, 온몸에 흰 잿빛의 솜털이 있다. 잎은 뭉쳐나거나 어긋나고 거꾸로 된 피침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여름에 흰색 두상화(頭狀花)가 5~9개 모여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높은 산에서 자라는데 한라산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 -
한라골풀
(漢拏골풀)
: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6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는 실 모양이다. 5~6월에 1~3개의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높은 산 중턱에서 자라는데 한라산에 분포한다.
🌏 漢: 한나라 한 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