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작 단어 💡사 끝 29개
- 한 마을 공사 : 같은 관청의 일이라는 뜻으로, 하는 일마다 한결같음을 이르는 말.
-
한정 감사
(限定監査)
:
감사의 범위나 조건 따위에 특정한 제한이 있어, 감사 절차의 일부를 생략한 감사.
🌏 限: 한계 한 定: 정할 정 監: 볼 감 査: 사실할 사 -
한뎃장사
(한뎃葬事)
:
시체를 한데에 버려두어 비바람에 자연히 없어지게 하는 장사법.
🌏 葬: 장사지낼 장 事: 일 사 -
한사
(恨死)
:
억울하게 죽음.
🌏 恨: 한할 한 死: 죽을 사 -
한사
(韓舍)
: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 가운데 열두째 등급. 사두품 이상이 오를 수 있었다.
🌏 韓: 나라 한 舍: 집 사 -
한약사
(韓藥師)
:
한약을 다루는 약사.
🌏 韓: 나라 한 藥: 약 약 師: 스승 사 -
한사
(恨事)
:
한스럽고 원통한 일.
🌏 恨: 한할 한 事: 일 사 -
한학상통사
(漢學上通事)
:
조선 시대에, 사역원에 속한 벼슬의 하나. 부경(赴京)의 역관 직으로 사행(使行) 때 예단(禮單)을 간수하고 상의원의 어공(御供) 무역을 맡아보았다.
🌏 漢: 한나라 한 學: 배울 학 上: 위 상 通: 통할 통 事: 일 사 -
한사
(閑事)
:
쓸데없는 일.
🌏 閑: 한가할 한 事: 일 사 -
한지 의사
(限地醫師)
:
일정한 지역 안에서만 개업하도록 허가한 의사. 무의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건 정책의 하나로, 특정 지역에 한정하여 실시한다.
🌏 限: 한계 한 地: 땅 지 醫: 의원 의 師: 스승 사 -
한림박사
(翰林博士)
:
1
중국 당나라 때에, 한림원에 속하여 조칙의 기초를 맡아보던 벼슬.
2
고려 시대에, 학사원ㆍ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林: 수풀 림 博: 넓을 박 士: 선비 사 -
한림학사
(翰林學士)
:
1
중국 당나라 때에, 한림원에 속하여 조칙의 기초를 맡아보던 벼슬.
2
고려 시대에, 학사원ㆍ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林: 수풀 림 學: 배울 학 士: 선비 사 -
한약업사
(韓藥業士)
:
일정한 시험에 합격하여 허가된 지역 안에서 기존 한의서의 처방이나 한의사의 처방에 따라 한약을 만들어 파는 사람.
🌏 韓: 나라 한 藥: 약 약 業: 업 업 士: 선비 사 - 한 마루 공사 : 같은 관청의 일이라는 뜻으로, 하는 일마다 한결같음을 이르는 말.
-
한국사
(韓國史)
:
1
하나의 전체로서 통일적인 연관성을 지닌 한국의 역사.
2
1959년에서 1963년까지 진단 학회에서 발행한 한국 통사. 한국사를 고대, 중세, 근세 전기ㆍ후기, 최근세, 현대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7권.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史: 역사 사 -
한성 전기 회사
(漢城電氣會社)
:
1898년에 전차ㆍ전등ㆍ전화 사업을 위하여 설립한 회사. 형식상 대한 제국의 회사였지만 실제 운영은 미국이 맡았으며, 1904년에 결국 미국 회사로 넘어가게 되었다.
🌏 漢: 한나라 한 城: 재 성 電: 번개 전 氣: 기운 기 會: 모일 회 社: 모일 사 -
한사
(限死)
:
죽기를 각오함.
🌏 限: 한계 한 死: 죽을 사 -
한국 조폐 공사
(韓國造幣公社)
:
화폐, 은행권, 국채, 수입 인지 따위의 제조를 주요 업무로 하는 특수 법인. 1951년에 설립된 것으로, 정부가 전액을 출자하며 기획 재정부 장관의 감독을 받는다.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造: 지을 조 幣: 비단 폐 公: 공변될 공 社: 모일 사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韓國獨立運動之血史)
:
1920년에 박은식이 갑신정변 때부터 1920년 독립군 항일 무장 투쟁까지의 항일 투쟁사를 기록하여 펴낸 책. 상권에는 일본의 한국 침략 경위를, 하권에는 국내외의 무장 투쟁을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의 전말을 서술하였다. 7권.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獨: 홀로 독 立: 설 립 運: 운전할 운 動: 움직일 동 之: 갈 지 血: 피 혈 史: 역사 사 -
한의사
(韓醫師)
:
한의술과 한약으로 병을 고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韓: 나라 한 醫: 의원 의 師: 스승 사 -
한산사
(寒山寺)
:
중국 장쑤성(江蘇省) 쑤저우시(蘇州市) 교외의 펑차오전(楓橋鎭)에 있는 절. 당나라 장계(張繼)의 <풍교야박(楓橋夜泊)>의 시로 유명하다.
🌏 寒: 찰 한 山: 뫼 산 寺: 절 사 -
한사
(寒瀉)
:
배가 부르고 아프며 설사가 나는 병. 오리 똥과 같은 검푸른 묽은 변을 보게 된다.
🌏 寒: 찰 한 瀉: 쏟을 사 -
한출편사
(閑出便射)
:
조선 시대에, 사원(射員) 가운데 한량으로만 편을 짜서 하던 활쏘기 시합.
🌏 閑: 한가할 한 出: 날 출 便: 편할 편 射: 쏠 사 -
한대사
(限大赦)
:
죄로 말미암은 잠벌(暫罰)의 일부를 면제하는 일.
🌏 限: 한계 한 大: 큰 대 赦: 용서할 사 -
한당유사
(漢唐遺事)
:
조선 철종 때에, 박태석(朴泰錫)이 지은 장회 소설. 중국 오대 때 후당의 사적(事跡)을 자세하고 재미있게 설명한 것으로, 1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 漢: 한나라 한 唐: 당나라 당 遺: 남길 유 事: 일 사 -
한비사
(寒鼻蛇)
:
‘산무애뱀’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풍병이나 문둥병을 다스리고, 강장제로 쓴다. (산무애뱀: 뱀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1.4미터 정도이며, 비늘은 19~21열이고 갈색 바탕에 검은색 또는 갈색 무늬가 많다. 네 개의 검은 줄무늬가 머리에서 꼬리까지 있고 개구리, 쥐, 도마뱀, 새 따위를 잡아먹는다. 겨울에는 10~100여 마리가 모여 겨울잠을 자는데 나병(癩病) 치료제, 풍약, 보신 강장제로 쓴다. 얕은 산, 풀밭, 습지, 물가 등지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寒: 찰 한 鼻: 코 비 蛇: 뱀 사 -
한사
(寒士)
:
가난하거나 권력이 없는 선비.
🌏 寒: 찰 한 士: 선비 사 -
한랭사
(寒冷紗)
:
가는 실로 거칠게 평직으로 짜서 풀을 세게 먹인 직조물. 얇고 풀기가 세기 때문에 장식, 조화(造花), 커튼, 모기장 따위에 쓴다.
🌏 寒: 찰 한 冷: 찰 랭 紗: 깁 사 -
한량편사
(閑良便射)
:
조선 시대에, 사원(射員) 가운데 한량으로만 편을 짜서 하던 활쏘기 시합.
🌏 閑: 한가할 한 良: 어질 량 便: 편할 편 射: 쏠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