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작 단어 💡인명 분야 75개
-
한간
(韓幹)
:
중국 당나라의 화가(701~761). 궁정 화가로서 태상부승이 되었으며, 인물화와 초상화에 뛰어났고 특히 말 그림을 잘 그렸다.
🌏 韓: 나라 한 幹: 줄기 간 - 한센 (Hansen, Alvin Harvey) : 미국의 경제학자(1887~1975). 케인스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로, 1930년대 말에 장기 정체 이론을 제창하고 뉴딜 정책의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하였다. 저서에 ≪제정 정책과 경기 순환≫ 따위가 있다.
-
한익상
(韓益相)
:
조선 후기의 문신(1767~1846). 초명은 매권(邁權). 자는 치문(致文). 호는 자오(自娛)ㆍ백졸(百拙). 1836년 강원도 지방에 기근과 탐관의 횡포가 심할 때 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후에 청백리로 선정되었다.
🌏 韓: 나라 한 益: 더할 익 相: 서로 상 -
한확
(韓確)
:
조선 전기의 문신(1403~1456). 자는 자유(子柔). 호는 간이재(簡易齋). 누이가 명나라 성조(成祖)의 비로 뽑혀 명나라로부터 광록시 소경(少卿)의 벼슬을 받았으며, 계유정난 때 수양 대군을 도와 정난공신이 되었다.
🌏 韓: 나라 한 確: 굳을 확 -
한명회
(韓明澮)
:
조선 세조 때의 문신(1415~1487). 자는 자준(子濬). 호는 압구정(狎鷗亭)ㆍ사우당(四友堂). 수양 대군을 도와 김종서를 비롯한 여러 대신을 차례로 죽이고 단종을 몰아내는 데 공을 세워 좌익 공신 1등이 되었으며, 뒤에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을 좌절시키고 그들을 주살하도록 하였다.
🌏 韓: 나라 한 明: 밝을 명 澮: 밭고랑 회 -
한덕문
(韓德文)
:
조선 인조 때의 무신(1578~1627). 자는 성재(聖哉). 정묘호란 때 북영장(北營將)으로서 안주(安州)를 수비하다가 성이 함락되자, 불길 속에 뛰어들어 자결하였다.
🌏 韓: 나라 한 德: 덕 덕 文: 글월 문 꾸밀 문 -
한계희
(韓繼禧)
:
조선 전기의 문신(1423~1482). 자는 자순(子順). 좌승지ㆍ우승지ㆍ이조 판서 등을 지냈으며, 예종 때 서평군(西平君)에 봉하여졌다. 훈구파에 속하는 유학자로, 최항과 함께 ≪경국대전≫을 편찬하고 ≪의방유취≫의 인본(印本) 간행을 주관하였다.
🌏 韓: 나라 한 繼: 이을 계 禧: 복 희 -
한명련
(韓明璉)
:
조선 중기의 무신(?~1624).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도원수 권율의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며, 의병장 정기룡과 함께 경상우도에 있던 적군을 무찔렀다.
🌏 韓: 나라 한 明: 밝을 명 璉: 호련 련 - 한니발 (Hannibal) : 카르타고의 장군(B.C.247~B.C.183?). 기원전 218년 제이 차 포에니 전쟁을 일으키고, 이탈리아에 침입하여 로마군을 격파하였다. 그 후 자마(Zama)의 싸움에서 로마군에게 패한 뒤 소아시아에서 자살하였다.
-
한계원
(韓啓源)
:
구한말의 문신(1814~1882). 자는 공우(公佑). 호는 유하(柳下). 몰락한 남인(南人) 출신으로 미관말직을 전전하다가, 흥선 대원군에게 발탁되어 우의정을 지냈으며, 뒤에 대원군의 실정(失政)을 탄핵한 최익현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파직당하였다.
🌏 韓: 나라 한 啓: 열 계 源: 근원 원 -
한응인
(韓應寅)
:
조선 중기의 문신(1554~1614).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百拙齋)ㆍ유촌(柳村). 임진왜란 때 팔도 순찰사가 되어 공을 세워 호조 판서로 임명되었다. 뒤에 선조가 위독할 때 유교칠신의 한 사람으로 영창 대군의 보호를 부탁받았다가 광해군 때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 韓: 나라 한 應: 응할 응 寅: 동방 인 -
한성근
(韓聖根)
:
조선 고종 때의 무신(?~?). 1866년 병인양요 때 문수산성을 수비하여 공을 세우고, 신식 군대인 별기군을 훈련하는 데 힘썼다.
🌏 韓: 나라 한 聖: 성인 성 根: 뿌리 근 -
한장석
(韓章錫)
:
조선 고종 때의 문신(1832~1894). 자는 치수(穉綏)ㆍ치유(穉由). 호는 미산(眉山)ㆍ경향(經香). 유신환의 문인(門人)으로 당대의 문장가로 이름을 떨치었다. 저서에 ≪미산집≫이 있다.
🌏 韓: 나라 한 章: 글월 장 錫: 주석 석 -
한징
(韓澄)
:
국어학자(1886~1944). 호는 효창(曉蒼). 이윤재 등과 조선어 학회의 편찬 위원, 표준말 사정 위원으로 일하다가 1942년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검거되어 복역 중 옥사하였다.
🌏 韓: 나라 한 澄: 맑을 징 -
한상질
(韓尙質)
:
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의 문신(?~1400). 자는 중질(仲質). 호는 죽소(竹笑). 조선 건국 후 주문사(奏聞使)가 되어 중국 명나라에 가서 ‘조선’이라는 국호를 받아 왔다.
🌏 韓: 나라 한 尙: 오히려 상 質: 바탕 질 -
한규설
(韓圭卨)
:
구한말의 무신(1848~1930). 자는 순우(舜佑). 호는 강석(江石). 1905년 의정부 참정(參政)이 되어 내각을 조직하였으나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파면당하였다. 뒤에 중추원 고문 따위를 역임하였고 국권 강탈 후 일본이 준 남작 작위를 거절하였다.
🌏 韓: 나라 한 圭: 홀 규 卨: 사람 이름 설 -
한공의
(韓公義)
:
고려 시대의 무신(?~?). 자는 의지(宜之). 공민왕 13년(1364) 밀직사 부사로 정조사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온 후 청성군(淸城君)에 봉하여졌다.
🌏 韓: 나라 한 公: 공변될 공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
한천
(寒泉)
:
‘이재’의 호. (이재: 조선 영조 때의 문신ㆍ학자(1680~1746). 자는 희경(熙卿). 호는 도암(陶庵)ㆍ한천(寒泉). 벼슬은 대사헌, 이조 참판을 거쳐 좌참찬에 이르렀다. 신임사화 후 설악산에 숨어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당시 낙론(洛論)의 대표적인 학자로 꼽힌다. 저서에 ≪도암집≫이 있다.)
🌏 寒: 찰 한 泉: 샘 천 -
한충
(韓忠)
:
조선 중종 때의 문신(1486~1521). 자는 서경(恕卿). 호는 송재(松齋). 남곤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나 의견 대립으로 그의 미움을 샀다. 기묘사화 때 조광조와 교유가 있었다 하여 유배되었다.
🌏 韓: 나라 한 忠: 충성 충 -
한비자
(韓非子)
:
‘한비’를 높여 이르는 말. (한비: 중국 전국 시대 말기의 법가(法家)(B.C.280?~B.C.233). 순자의 성악설과 노장의 무위자연설을 받아들여 법가(法家)의 학설을 대성하였다. 뒤에 진(秦)나라의 시황제에게 주목되어 독살당하였다. 저서에 ≪한비자≫ 20권이 있다.)
🌏 韓: 나라 한 非: 아닐 비 子: 아들 자 -
한석봉
(韓石峯)
:
‘한호’의 성(姓)과 호를 함께 이르는 이름. (한호: 조선 선조 때의 명필가(1543~1605). 자는 경홍(景洪). 호는 석봉(石峯)ㆍ청사(淸沙). 왕희지와 안진경의 필법을 익혀 해서, 행서, 초서 따위의 각 체에 뛰어났다. 추사 김정희와 함께 조선 서예계의 쌍벽을 이루며, <석봉천자문(石峯千字文)>, <석봉서법(石峯書法)> 따위가 전한다.)
🌏 韓: 나라 한 石: 돌 석 峯: 봉우리 봉 -
한경기
(韓景琦)
:
조선 전기의 문신(1472~1529). 자는 치규(稚圭). 호는 향설당(香雪堂). 자칭 죽림칠현의 한 사람으로 작품에 ≪향설당시집≫이 있다.
🌏 韓: 나라 한 景: 경치 경 琦: 옥 기 -
한형윤
(韓亨允)
:
조선 시대의 문신ㆍ서예가(1470~1532). 자는 신경(信卿). 연산군 때 갑자사화 따위로 여러 차례 귀양을 갔으며, 중종반정 후 다시 등용되어 첨지중추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초서와 예서에 뛰어나 당대의 명필가로도 이름을 떨쳤다.
🌏 韓: 나라 한 亨: 형통할 형 允: 진실로 윤 -
한태동
(韓泰東)
:
조선 숙종 때의 문신(1646~1687). 자는 노첨(魯瞻). 호는 시와(是窩). 서인(西人) 김익훈 등이 남인(南人) 세력의 뿌리를 뽑기 위하여 역모설을 조작하자 같은 서인으로서 조지겸(趙持謙) 등 소장파와 함께 그 흉계를 폭로하고 처형을 주장하였다.
🌏 韓: 나라 한 泰: 클 태 東: 동녘 동 -
한무숙
(韓戊淑)
:
소설가(1918~1993). 호는 향정(香庭). 1942년 ≪신시대≫의 장편 소설 모집에 <등불 드는 여인>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자신이 겪은 생활을 토대로 하여 역사 속의 인물, 문물 따위를 형상화하였다. 작품에 소설 <생인손>, <역사는 흐른다>, 소설집 ≪월운≫, ≪빛의 계단≫ 따위가 있다.
🌏 韓: 나라 한 戊: 다섯째 천간 무 淑: 맑을 숙 -
한인급
(韓仁及)
: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83~1644). 자는 원지(元之). 호는 현석(玄石)ㆍ서석(瑞石). 서예에 뛰어나 팔법(八法)에 능하였으며, 수찬ㆍ정언을 지냈으나 계축옥사 때 벼슬을 그만두고, 인조반정 후에 다시 등용되어 형조 판서를 거쳐 지돈령부사에까지 올랐다.
🌏 韓: 나라 한 仁: 어질 인 及: 미칠 급 - 한센 (Hansen, Martin Jens Alfred) : 덴마크의 소설가(1909~1955). 기괴한 작풍을 특징으로 하고, 전후 문학을 대표한다. 작품에 <뱀과 황소> 따위가 있다.
-
한극창
(韓克昌)
:
조선 중기의 문신(1600~1650). 자는 유백(裕伯). 호는 오주(鰲州). 김자점을 탄핵하다가 유배된 후 벼슬을 버리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병자호란 때 강화(講和)를 적극 반대하였고, 뒤에 민회빈 강씨의 사사(賜死)에 반대하다가 유배된 이경여 등을 위하여 상소하고 <백설가(白雪歌)>를 지었다.
🌏 韓: 나라 한 克: 이길 극 昌: 창성할 창 -
한탁주
(韓侂胄)
:
중국 남송의 정치가(?~1207). 영종(寧宗)을 옹립하는 데 공을 세워 정권을 장악하고 주자학파를 억압하였다. 금나라와 전쟁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문책을 받아 사미원에게 살해당하였다.
🌏 韓: 나라 한 侂: 맡길 탁 胄: 투구 주 -
한서
(翰西)
:
‘남궁억’의 호. (남궁억: 독립운동가ㆍ언론인ㆍ교육가(1863~1939). 자는 치만(致萬). 호는 한서(翰西). ≪황성신문≫ 사장을 지냈으며 교육과 민족 문화 사업에 힘썼다.)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西: 서녘 서 -
한치응
(韓致應)
:
조선 후기의 문신(1760~1824). 자는 혜보(徯甫). 호는 병산(甹山). 순조 때 채제공의 신원(伸冤)을 청하는 상소 사건에 연루되어 쫓겨났다가 뒤에 다시 등용되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이유수(李儒修), 정약전 등과 교유하며 죽란 시사(竹欄詩社)라는 모임을 조직하였다. 저서에 ≪병산집≫이 있다.
🌏 韓: 나라 한 致: 이를 치 應: 응할 응 -
한용운
(韓龍雲)
: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 아명은 유천(裕天). 법호는 만해(萬海/卍海). 용운은 법명. 3ㆍ1 운동 때의 민족 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조선 독립의 서(書)> 외에, 시집 <님의 침묵>, 소설 <흑풍>이 있고, 저서에 ≪조선 불교 유신론≫ 따위가 있다.
🌏 韓: 나라 한 龍: 용 용 雲: 구름 운 -
한자
(韓子)
:
‘한유’를 높여 이르는 말. (한유: 중국 당나라의 문인ㆍ정치가(768~824). 자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변려문을 비판하고 고문(古文)을 주장하였다. 시문집에 ≪창려선생집≫ 따위가 있다.)
🌏 韓: 나라 한 子: 아들 자 -
한유
(韓愈)
:
중국 당나라의 문인ㆍ정치가(768~824). 자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변려문을 비판하고 고문(古文)을 주장하였다. 시문집에 ≪창려선생집≫ 따위가 있다.
🌏 韓: 나라 한 愈: 더할 유 -
한준
(韓準)
: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42~1601). 자는 공칙(公則). 호는 남강(南岡).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고발하여 공신이 되고, 임진왜란 때는 이조 판서로 순화군(順和君)을 호위하였다.
🌏 韓: 나라 한 準: 법도 준 -
한음
(漢陰)
:
‘이덕형’의 호. (이덕형: 조선 중기의 문신(1561~1613).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ㆍ쌍송(雙松). 선조 25년(1592)에 예조 참판에 올라 대제학을 겸임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지중추부사로서 일본 사신 겐소(玄蘇)와 화의를 교섭하였으나 실패했다. 그 후 왕을 정주까지 호종하였고, 청원사(請援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원병을 요청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광해군 즉위 후에 영의정에 올랐다. 저서에 ≪한음문고(漢陰文稿)≫가 있다.)
🌏 漢: 한나라 한 陰: 응달 음 -
한상렬
(韓相烈)
:
독립운동가(1876~1926). 자는 문극(文極). 1907년에 횡성에서 의병 200명을 모아 지평, 홍천, 원주, 영월 등지에서 일본군과 무려 500여 차례나 싸웠다. 1923년에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 독립군 참모가 되었다가 공산당원에게 살해되었다.
🌏 韓: 나라 한 相: 서로 상 烈: 세찰 렬 -
한치형
(韓致亨)
:
조선 연산군 때의 문신(1434~1502). 자는 통지(通之). 무오사화 때 좌의정이 되어 김일손 등을 처형하게 하고, 연산군의 폭정을 충간하다가 미움을 사서 부관참시되었다.
🌏 韓: 나라 한 致: 이를 치 亨: 형통할 형 -
한신
(韓信)
:
중국 전한의 무장(武將)(B.C.?~B.C.196). 한(漢) 고조를 도와 조(趙)ㆍ위(魏)ㆍ연(燕)ㆍ제(齊)나라를 멸망시키고 항우를 공격하여 큰 공을 세웠다. 한나라가 통일된 후 초왕에 봉하여졌으나, 여후에게 살해되었다.
🌏 韓: 나라 한 信: 믿을 신 - 한 (Hahn, Otto) : 독일의 물리학자ㆍ화학자(1879~1968). 우라늄ㆍ토륨 따위의 핵분열을 연구하여 원자 폭탄의 기초를 만들었다. 1944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
한필호
(韓弼昊)
:
독립운동가(1886~1911). 황해도 안악에 양산 중학교를 세워 애국 사상을 고취하고, 신민회에 가입하여 항일 운동을 전개하였다. 1911년 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어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였다.
🌏 韓: 나라 한 弼: 도울 필 昊: 하늘 호 -
한흥일
(韓興一)
: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87~1651). 자는 진보(振甫). 호는 유시(柳市).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신주와 빈궁들을 강화에 무사히 피란하게 하였으며, 봉림 대군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갈 때 배종하였다.
🌏 韓: 나라 한 興: 일어날 흥 一: 하나 일 - 한슬리크 (Hanslick, Eduard) : 오스트리아의 음악 비평가(1825~1904). 자율적 음악 미학의 확립을 주장하여 리스트, 바그너 등의 신독일파를 비판하고 슈만과 브람스를 옹호하였다. 저서에 ≪음악 미학≫이 있다.
-
한산
(寒山)
:
중국 당나라의 승려(?~?). 풍간 선사(豊干禪師)의 제자로, 불교의 철학 이론에 두루 통하여 문수보살의 화신(化身)이라 일컬어진다. 저서에 ≪한산시집≫이 있다.
🌏 寒: 찰 한 山: 뫼 산 -
한효순
(韓孝純)
:
조선 중기의 문신(1543~1621). 자는 면숙(勉叔). 호는 월탄(月灘). 임진왜란 때 왜군을 격파하고 경상좌도 관찰사에 올라 군량미를 조달하는 데 공을 세웠다. 광해군 때 인목 대비의 폐모론(廢母論)을 발의하고 이를 반대하는 무리들을 유배하였다.
🌏 韓: 나라 한 孝: 효도 효 純: 순수할 순 -
한여유
(韓汝愈)
:
조선 후기의 학자(1642~1709). 자는 상보(尙甫). 호는 둔옹(遁翁). 송시열의 문인으로, 상수(象數)ㆍ병진(兵陣)ㆍ음률에 밝았다. 문집에 ≪둔옹집≫이 있다.
🌏 韓: 나라 한 汝: 너 여 愈: 더할 유 -
한우종
(韓禹宗)
:
독립운동가(?~1920). 1919년에 의주에서 보합단(普合團)을 조직하여 항일 투쟁을 벌이다가, 뒤에 선천 내산사(內山寺)에서 일본 경찰의 습격을 받고 교전 끝에 전사하였다.
🌏 韓: 나라 한 禹: 하우씨 우 宗: 마루 종 -
한원진
(韓元震)
:
조선 영조 때의 학자(1682~1751).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 강문 팔학사의 한 사람으로, 심성론 논쟁에서 이간(李柬)에 반대하여 인(人)과 물(物)의 성(性)이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저서에 ≪주서동이고(朱書同異考)≫가 있다.
🌏 韓: 나라 한 元: 으뜸 원 震: 벼락 진 -
한훈
(韓焄)
:
독립운동가(1890~1950). 본명은 우석(禹錫). 자는 성초(聖初). 호는 송촌(松村). 1907년 의병장 민종식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만주로 망명하였다. 1920년 미국 의원단이 내한할 때 김상옥 등의 암살단과 합류하여 모의 중 체포되어 복역하였다.
🌏 韓: 나라 한 焄: 김쐴 훈 -
한수
(韓脩)
:
고려 말기의 문신ㆍ명필가(1333~1384). 자는 맹운(孟雲). 호는 유항(柳巷). 지행(志行)이 고결하고 식견이 탁월하였으며, 초서와 예서를 잘 썼다. 작품에 <유항시집>이 있고, 노국 대장 공주 묘비, 안심사 사리탑비에 필적이 전한다.
🌏 韓: 나라 한 脩: 포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