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작 단어 💡역사 분야 112개
-
한인 아병
(漢人牙兵)
:
조선 효종 때에, 청나라를 피하여 조선에 귀화한 명나라 사람. 한강에서 고기잡이를 하여 생선을 나라에 진상하는 일을 맡아 하였다.
🌏 漢: 한나라 한 人: 사람 인 牙: 어금니 아 兵: 군사 병 -
한량군관
(閑良軍官)
:
조선 시대에, 총융청에 속한 벼슬.
🌏 閑: 한가할 한 良: 어질 량 軍: 군사 군 官: 벼슬 관 -
한림권점
(翰林圈點)
:
조선 시대에, 예문관 검열을 뽑던 절차. 후보자 명단 가운데 뽑을 사람 이름 위에 점을 찍어 표시하였다.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林: 수풀 림 圈: 우리 권 點: 점찍을 점 -
한량기로
(閑良耆老)
: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에, 70세가 넘어서 퇴직한 이품 이상의 벼슬아치. 하례 때나 나라의 중대사를 의논할 때 조의에 참석하였다.
🌏 閑: 한가할 한 良: 어질 량 耆: 늙은이 기 老: 늙을 로 -
한국
(汗國)
:
중국 새외(塞外) 민족의 우두머리인 가한(可汗)이나 한(汗)이 다스리던 나라.
🌏 汗: 땀 한 國: 나라 국 -
한치장
(汗致匠)
:
조선 후기에, 중앙 관아에 속하여 대나무나 버드나무로 여름용 등받이와 토시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 汗: 땀 한 致: 이를 치 匠: 장인 장 -
한사
(韓舍)
: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 가운데 열두째 등급. 사두품 이상이 오를 수 있었다.
🌏 韓: 나라 한 舍: 집 사 -
한영 수호 통상 조약
(韓英修好通商條約)
:
조선 고종 20년(1883)에 영국과 맺은 통상 조약. 그 전해에 영국의 윌스 해군 제독과 조선의 전권 대사 조영하, 김홍집 사이에 조인되었던 내용의 일부를 수정하여 이해 4월에 비준 교환을 끝냄으로써 국교가 시작되었다.
🌏 韓: 나라 한 英: 꽃부리 영 修: 닦을 수 好: 좋을 호 通: 통할 통 商: 장사 상 條: 가지 조 約: 맺을 약 -
한인
(閑人)
:
1
고려 시대에 있던, 토호(土豪) 출신의 무인(武人). 서경을 수비하거나 백정과 함께 보충병으로 선발되었다.
2
조선 시대에 있던, 토호 출신의 무인. 문무 삼품관 이하의 퇴직자로 일정 기간 동안 서울에서 숙위(宿衛)의 의무를 갖던 사람과 그 자손을 이른다.
3
한가하고 일이 없는 사람.
🌏 閑: 한가할 한 人: 사람 인 -
한각
(翰閣)
:
한림과 각신을 아울러 이르던 말.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閣: 문설주 각 -
한주
(翰注)
:
조선 시대에, 한림(翰林)과 주서(注書)를 아울러 이르던 말.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注: 물댈 주 -
한산주서
(漢山州誓)
:
신라 때에 둔 오주서의 하나. 지금의 경기도 광주에 설치하였던 군대이다.
🌏 漢: 한나라 한 山: 뫼 산 州: 고을 주 誓: 맹세할 서 -
한송사 석조 보살 좌상
(寒松寺石造菩薩坐像)
:
강원도 강릉시 한송사 터에 있던 석조 보살 좌상. 고려 시대에 만든 것으로, 지금은 국립 춘천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강릉 한송사지 석조 보살 좌상’이다. 국보 제124호
🌏 寒: 찰 한 松: 소나무 송 寺: 절 사 石: 돌 석 造: 지을 조 菩: 보리 보 薩: 보살 살 坐: 앉을 좌 像: 모양 상 -
한산당상관
(閑散堂上官)
:
조선 시대에, 실무는 맡지 아니하고 이름만의 직책을 가지고 있던 당상관.
🌏 閑: 한가할 한 散: 흩을 산 堂: 집 당 上: 위 상 官: 벼슬 관 -
한성은행
(漢城銀行)
:
1897년에 김종한, 이보응이 설립한 근대적 민간 은행. 1903년에 중앙은행으로 개편되었다가 1905년에 다시 주식회사 한성은행으로 되었다. 국권 강탈 후에 조선 식산 은행의 지배를 받았다.
🌏 漢: 한나라 한 城: 재 성 銀: 은 은 行: 다닐 행 -
한
(漢)
:
1
중국에서, 기원전 202년에 유방이 세운 나라. 기원후 8년 왕망이 스스로를 ‘신’(新)의 황제로 칭하기 전까지의 기간에 해당한다. 기원후 25년에 유수가 한(漢) 왕조를 부흥시키며 후한(後漢)으로 이어진다. (신: 중국의 신왕조가 다스리던 나라. 왕망이 전한을 멸하고 세웠으나 15년 만에 한나라 유수(劉秀)에게 멸망하였다.)
2
중국에서 역대로 존재하였던 전한, 후한, 촉한, 성한, 북한, 남한 따위를 두루 이르는 말.
3
중국 고대 왕조인 전한과 후한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총 5개의 의미)
🌏 漢: 한나라 한 -
한려
(漢旅)
:
조선 시대에, 명나라 사람의 자손으로서 대보단을 지키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전에 무관을 지낸 사람을 뽑아서 번갈아 번(番)을 들게 하였다.
🌏 漢: 한나라 한 旅: 나그네 려 -
한구자
(韓構字)
:
조선 정조 6년(1782)에 김석주가 한구(韓構)의 필체를 본보기로 하여 주조한 구리 활자.
🌏 韓: 나라 한 構: 얽을 구 字: 글자 자 -
한지
(干支)
:
신라ㆍ가야에서, 귀족 벼슬아치들을 높여서 부르던 말. 벼슬 이름 뒤에도 이 말을 덧붙였다.
🌏 干: 일꾼 한 支: 지탱할 지 - 한뎃가마 : 선사 시대에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서 불을 지펴 토기를 굽던 가마.
-
한일 수호 조약
(韓日修好條約)
: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조선 고종 13년(1876)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한 조약. 군사력을 동원한 일본의 강압에 의하여 맺어진 불평등 조약이었으며, 이 조약에 따라 당시 조선은 부산 외에 인천, 원산의 두 항구를 개항하게 되었다.
🌏 韓: 나라 한 日: 날 일 修: 닦을 수 好: 좋을 호 條: 가지 조 約: 맺을 약 -
한직
(限職)
:
고려ㆍ조선 시대에, 신분과 직종에 따라 품계를 제한하여 벼슬아치를 서용(敍用)함. 또는 그런 제도. 양반은 정일품, 기술관과 양반 서얼은 정삼품 당하관, 토관ㆍ향리는 정오품, 서리는 정칠품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 限: 한계 한 職: 벼슬 직 -
한학상통사
(漢學上通事)
:
조선 시대에, 사역원에 속한 벼슬의 하나. 부경(赴京)의 역관 직으로 사행(使行) 때 예단(禮單)을 간수하고 상의원의 어공(御供) 무역을 맡아보았다.
🌏 漢: 한나라 한 學: 배울 학 上: 위 상 通: 통할 통 事: 일 사 -
한량품관
(閑良品官)
: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에, 현직에서 물러나 한가하게 지내던 품관.
🌏 閑: 한가할 한 良: 어질 량 品: 물건 품 官: 벼슬 관 -
한국 법전
(韓國法典)
:
융희(隆熙) 4년(1910) 6월 15일 현재의 대한 제국에서 시행되던 법령을 망라한 법전. 15편 78장 72절로 되어 있다.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法: 법도 법 典: 법 전 -
한토
(漢土)
:
1
중국 땅.
2
중국 고대 왕조인 전한과 후한을 통틀어 이르는 말.
🌏 漢: 한나라 한 土: 흙 토 -
한나라
(漢나라)
:
중국에서 역대로 존재하였던 전한, 후한, 촉한, 성한, 북한, 남한 따위를 두루 이르는 말.
🌏 漢: 한나라 한 -
한림박사
(翰林博士)
:
1
중국 당나라 때에, 한림원에 속하여 조칙의 기초를 맡아보던 벼슬.
2
고려 시대에, 학사원ㆍ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林: 수풀 림 博: 넓을 박 士: 선비 사 -
한림학사
(翰林學士)
:
1
중국 당나라 때에, 한림원에 속하여 조칙의 기초를 맡아보던 벼슬.
2
고려 시대에, 학사원ㆍ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林: 수풀 림 學: 배울 학 士: 선비 사 -
한성부
(漢城府)
:
조선 시대에, 서울의 행정ㆍ사법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5년(1396)에 한양부를 고친 것으로 삼법사의 하나이다.
🌏 漢: 한나라 한 城: 재 성 府: 마을 부 -
한일 신협약
(韓日新協約)
:
1907년 헤이그 밀사 사건 뒤에 일본의 강압에 의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이 맺은 조약. 전문 칠 조(七條)로 되어 있으며 모든 행정ㆍ사법 사무를 통감부의 감독 아래에 두는 것 따위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 韓: 나라 한 日: 날 일 新: 새로울 신 協: 도울 협 約: 맺을 약 -
한국
(韓國)
:
1
‘대한제국’을 줄여 이르는 말. (대한 제국: 조선 고종 34년(1897)에 새로 정한 우리나라의 국호(國號). 왕을 황제라 하고 연호를 광무(光武)라고 하였는데, 1910년 국권 피탈로 멸망하였다.)
2
아시아 대륙 동쪽에 있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공화국. 아르오케이(ROK:Republic of Korea) 또는 코리아(Korea)라고도 불린다. 기원전 2333년에 성립된 고조선에서부터 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삼국 시대를 거쳐 통일 신라ㆍ고려ㆍ조선으로 이어져 오다가 1910년에 일제의 침략으로 강제 합병 되었으나, 1945년에 제이 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독립하였다. 1948년에 남쪽 지역만의 총선으로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50년에 북한이 6ㆍ25 전쟁을 일으킴으로써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국토 분단이 고착화되었다. 주민의 대부분은 황색 인종인 한민족(韓民族)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에 속하는 한국어이고 문자는 한글을 쓴다. 수도는 서울, 면적은 22만 1336㎢, 남한은 9만 9313㎢.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
한
(汗)
:
‘칸’의 음역어. (칸: 중세에, 몽고ㆍ터키ㆍ타타르ㆍ위구르에서 군주를 이르던 말.)
🌏 汗: 땀 한 -
한로 수호 통상 조약
(韓露修好通商條約)
:
조선 고종 21년(1884)에 조선과 제정 러시아 사이에 체결된 조약. 최혜국 대우, 선박 왕래와 관세에 관한 규정, 밀무역의 금지, 치외 법권의 인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1885년 7월 비준됨으로써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최초로 국교가 성립되었다.
🌏 韓: 나라 한 露: 이슬 로 적실 로 은혜를베풀 로 드러낼 로 샐 로 약하게할 로 무너질 로 수레 로 술 로 修: 닦을 수 好: 좋을 호 通: 통할 통 商: 장사 상 條: 가지 조 約: 맺을 약 -
한림도화원
(翰林圖畫院)
:
중국 궁정에서 그림 그리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천자(天子)에게 속하여 있었으며 승지가 그 책임을 맡아보았다.
🌏 翰: 날개 한 줄기 한 금계 한 흰색 한 붓 한 높다 한 문장 한 성 한 林: 수풀 림 圖: 그림 도 畫: 그림 화 院: 집 원 -
한양조
(漢陽朝)
:
1392~1910년에 한반도를 지배하던 왕조. 태조 이성계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27명의 임금이 계승하였다.
🌏 漢: 한나라 한 陽: 볕 양 朝: 아침 조 -
한일 의정서
(韓日議定書)
:
대한 제국 광무 8년(1904) 러일 전쟁 뒤에 우리나라와 일본이 맺은 조약. 전문 육 조(六條)로 되어 있는데, 일본은 대한 제국의 독립과 영토 보전ㆍ황실의 안전을 위하며 대한 제국은 이를 위한 일본의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일본에게 충분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하고, 이 협정의 취지에 위반되는 협약을 제3국과는 체결할 수 없다는 따위를 내용으로 한다. 일본은 이로 인하여 많은 토지를 군용지로 차지하였다.
🌏 韓: 나라 한 日: 날 일 議: 의논할 의 定: 정할 정 書: 글 서 -
한성 전기 회사
(漢城電氣會社)
:
1898년에 전차ㆍ전등ㆍ전화 사업을 위하여 설립한 회사. 형식상 대한 제국의 회사였지만 실제 운영은 미국이 맡았으며, 1904년에 결국 미국 회사로 넘어가게 되었다.
🌏 漢: 한나라 한 城: 재 성 電: 번개 전 氣: 기운 기 會: 모일 회 社: 모일 사 -
한찬
(韓粲)
:
고려 시대에, 문무 구품 관등 가운데 여섯째 등급. 태조 때 신라의 관제를 본떠서 관등을 정하였다.
🌏 韓: 나라 한 粲: 정미 찬 -
한학훈도
(漢學訓導)
:
조선 시대에, 사학훈도의 하나. 사역원에서 중국어의 통역과 교육을 맡아보던 정구품 문관 벼슬.
🌏 漢: 한나라 한 學: 배울 학 訓: 가르칠 훈 導: 이끌 도 -
한강진
(漢江鎭)
:
조선 시대에, 삼진(三鎭) 가운데 한강 상류의 송파진과 하류의 양화진 사이에 있던 나루. 서울 경비의 5대 요지였다.
🌏 漢: 한나라 한 江: 강 강 鎭: 누를 진 -
한국 전쟁
(韓國戰爭)
: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이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기습적으로 침공함으로써 일어난 전쟁. 1953년 7월 27일에 휴전이 이루어져 휴전선을 확정하였으며, 휴전 상태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戰: 싸울 전 爭: 다툴 쟁 -
한리학관
(漢吏學官)
:
조선 시대에, 사역원 소속으로 중국어와 이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
🌏 漢: 한나라 한 吏: 벼슬아치 리 學: 배울 학 官: 벼슬 관 -
한성순보
(漢城旬報)
:
조선 고종 20년(1883)에 우리나라에서 처음 펴낸 근대 신문. 통리아문 박문국에서 순 한문으로 인쇄하여 관보(官報) 형식으로 펴내었다. 고종 23년(1886)에 국한문 혼용의 ≪한성주보≫로 고쳤다가 고종 25년(1888)에 폐간되었다.
🌏 漢: 한나라 한 城: 재 성 旬: 열흘 순 報: 갚을 보 -
한국 독립당
(韓國獨立黨)
:
1
1930년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김구, 안창호 등이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여당 격으로 강력한 항일 투쟁을 벌였다.
2
1930년 만주에서 홍진, 이청천(李靑天) 등이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 한족 총연합회를 개편한 것이다.
🌏 韓: 나라 한 國: 나라 국 獨: 홀로 독 立: 설 립 黨: 무리 당 -
한량문신
(閑良文臣)
: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에, 한량품관 가운데 문신이었던 사람.
🌏 閑: 한가할 한 良: 어질 량 文: 글월 문 꾸밀 문 臣: 신하 신 -
한품하다
(限品하다)
:
고려ㆍ조선 시대에, 신분과 직종에 따라 품계를 제한하여 벼슬아치를 서용(敍用)하다. 양반은 정일품, 기술관과 양반 서얼은 정삼품 당하관, 토관ㆍ향리는 정오품, 서리는 정칠품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 限: 한계 한 品: 물건 품 -
한맹
(寒盟)
:
고구려 때에, 해마다 10월에 지내던 제천 의식. 온 나라 백성이 추수에 대한 감사로 하늘에 제사하고 춤과 노래로 즐기었다.
🌏 寒: 찰 한 盟: 맹세할 맹 -
한어적
(汗於赤)
:
조선 후기에, 중앙 관아에 속하여 대나무나 버드나무로 여름용 등받이와 토시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 汗: 땀 한 於: 어조사 어 赤: 붉을 적 -
한부
(漢符)
:
조선 시대에, 궁궐을 드나드는 여자 종이 차던 나무패. 문표(門標)로서 해마다 그 모양을 달리하였다.
🌏 漢: 한나라 한 符: 부신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