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 💕시작 단어 💡3 글자 53개
-
춘사주
(春蛇酒)
:
봄철에 여러 초목의 새잎을 따서 독사 열 마리와 함께 넣어서 담근 술. 꼭 봉하여 땅에 묻어 두었다가 3년 만에 꺼내어 약으로 먹는다.
🌏 春: 봄 춘 蛇: 뱀 사 酒: 술 주 -
춘유가
(春遊歌)
:
1
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시집살이하는 부녀자들이 봄놀이를 하면서 친정 생각의 간절함을 읊은 노래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
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조선 광해군 때에, 학자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동락 서원(同洛書院)이 있는 우담동(牛潭洞)에서, 여헌 후손 일가의 부녀자들이 친정에 왔다가 봄놀이하면서 부른 노래이다.
🌏 春: 봄 춘 遊: 놀 유 歌: 노래 가 -
춘삼월
(春三月)
:
봄 경치가 한창 무르익는 음력 3월.
🌏 春: 봄 춘 三: 석 삼 月: 달 월 -
춘방원
(春坊院)
:
고려 시대에, 동궁(東宮)의 사무를 담당하던 관청.
🌏 春: 봄 춘 坊: 동네 방 院: 집 원 -
춘우수
(春雨水)
:
음력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 春: 봄 춘 雨: 비 우 水: 물 수 -
춘당대
(春塘臺)
: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이다.
🌏 春: 봄 춘 塘: 못 당 臺: 돈대 대 -
춘경기
(春耕期)
:
봄갈이할 시기.
🌏 春: 봄 춘 耕: 밭갈 경 期: 기약할 기 -
춘령시
(春令市)
:
해마다 2월 3일 무렵에 대구에서 열리는 봄철 약령시.
🌏 春: 봄 춘 令: 명령할 령 市: 시장 시 -
춘조곡
(春朝曲)
:
신라 때, 옥보고가 지은 거문고곡 30곡 가운데 하나. ≪삼국사기≫에 곡명만 전한다.
🌏 春: 봄 춘 朝: 아침 조 曲: 굽을 곡 -
춘방관
(春坊官)
:
조선 시대에, 세자시강원에 속한 벼슬아치.
🌏 春: 봄 춘 坊: 동네 방 官: 벼슬 관 -
춘엽포
(椿葉包)
:
참죽나무의 어린잎으로 밥을 싸서 먹는 쌈.
🌏 椿: 참죽나무 춘 葉: 나뭇잎 엽 包: 쌀 포 -
춘상갑
(春上甲)
:
입춘(立春)이 지난 뒤에 첫 번째 돌아오는 갑자일(甲子日). 이날에 비가 오면 큰 흉년이 든다고 한다.
🌏 春: 봄 춘 上: 위 상 甲: 갑옷 갑 -
춘정월
(春正月)
:
봄이 시작되는 음력 정월.
🌏 春: 봄 춘 正: 바를 정 月: 달 월 -
춘분날
(春分날)
:
춘분이 되는 날.
🌏 春: 봄 춘 分: 나눌 분 -
춘신군
(春申君)
:
중국 전국 시대 초나라의 정치가(?~B.C.238). 본명은 황헐(黃歇). 춘신군은 봉호(封號). 제나라의 맹상군(孟嘗君), 조나라의 평원군(平原君), 위나라의 신릉군(信陵君)과 함께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불린다.
🌏 春: 봄 춘 申: 납 신 君: 임금 군 -
춘추재
(春秋齋)
:
조선 전기에 둔, 구재(九齋)의 하나. ≪춘추≫를 익히던 분과(分科)이다.
🌏 春: 봄 춘 秋: 가을 추 齋: 재계할 재 -
춘추관
(春秋館)
:
1
고려 시대에 둔, 시정(時政)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아. 충렬왕 때에 사관과 한림원을 합하여 만든 예문춘추관을 충숙왕 12년(1325)에 고친 것으로, 후에 공양왕 원년(1389)에 다시 전 이름으로 고쳤다.
2
조선 시대에 둔, 시정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때에 예문춘추관을 두었다가 태종 때에 예문, 춘추의 두 관으로 독립하였는데, 고종 때 없앴다.
🌏 春: 봄 춘 秋: 가을 추 館: 객사 관 -
춘개채
(春芥菜)
:
생채의 하나. 봄철에 겨자의 속대를 썰어 소금에 절여서 항아리에 담갔다가 초를 쳐서 먹는다.
🌏 春: 봄 춘 芥: 겨자 개 菜: 나물 채 -
춘계인
(春桂引)
:
세종 12년(1430) 2월까지 악보는 전하나 연주법과 가사가 없는 거문고 13곡 가운데 하나.
🌏 春: 봄 춘 桂: 계수나무 계 引: 끌 인 -
춘천군
(春川郡)
:
강원도 중서부에 있던 군.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춘천시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春: 봄 춘 川: 내 천 郡: 고을 군 -
춘설차
(春雪차)
:
우리나라에서 나는 차의 하나.
🌏 春: 봄 춘 雪: 눈 설 -
춘삼삭
(春三朔)
:
음력 1월, 2월, 3월의 봄철 석 달.
🌏 春: 봄 춘 三: 석 삼 朔: 초하루 삭 -
춘화도
(春畫圖)
:
남녀 간의 성교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 春: 봄 춘 畫: 그림 화 圖: 그림 도 -
춘향전
(春香傳)
:
조선 시대의 판소리계 소설. 주인공 성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당시 사회적 특권 계급의 횡포를 고발하고 춘향의 정절을 찬양하면서, 천민의 신분 상승 욕구도 나타내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春: 봄 춘 香: 향기 향 傳: 전할 전 -
춘앵전
(春鶯囀)
:
진연(進宴) 때에 추는 춤의 하나. 화문석 하나를 깔고 한 사람의 무기(舞妓)가 그 위에서 주악(奏樂)에 맞추어 춘다. 기생무(妓生舞) 가운데 연풍태(燕風態)의 하나로, 중국 당나라 고종이 꾀꼬리 소리를 듣고 악사 백명달(白明達)에게 명하여 짓게 한 것을 조선 순조 때에 효명 세자가 새롭게 고친 것이라고 한다.
🌏 春: 봄 춘 鶯: 꾀꼬리 앵 囀: 지저귈 전 -
춘앵무
(春鶯舞)
:
1
진연(進宴) 때에 추는 춤의 하나. 화문석 하나를 깔고 한 사람의 무기(舞妓)가 그 위에서 주악(奏樂)에 맞추어 춘다. 기생무(妓生舞) 가운데 연풍태(燕風態)의 하나로, 중국 당나라 고종이 꾀꼬리 소리를 듣고 악사 백명달(白明達)에게 명하여 짓게 한 것을 조선 순조 때에 효명 세자가 새롭게 고친 것이라고 한다.
2
봄 꾀꼬리를 흉내 낸 춤.
🌏 春: 봄 춘 鶯: 꾀꼬리 앵 舞: 춤출 무 -
춘엽채
(椿葉菜)
:
참죽나무의 어린잎을 데쳐서 무친 나물.
🌏 椿: 참죽나무 춘 葉: 나뭇잎 엽 菜: 나물 채 -
춘추전
(春秋傳)
:
≪춘추≫에 관한 주석서(註釋書)를 통틀어 이르는 말. 춘추삼전 이외에 한나라 때에 나온 ≪협씨전(夾氏傳)≫, ≪추씨전(鄒氏傳)≫과 송나라 때의 호안국이 지은 ≪호씨전(胡氏傳)≫ 따위가 있다.
🌏 春: 봄 춘 秋: 가을 추 傳: 전할 전 -
춘추잠
(春秋蠶)
:
봄누에와 가을누에를 아울러 이르는 말.
🌏 春: 봄 춘 秋: 가을 추 蠶: 누에 잠 -
춘향제
(春香祭)
:
매년 봄에 남원(南原)에서 벌이는 지방 문화제. 춘향의 넋을 위로하고 그 정절을 기리는 여러 행사와 놀이를 한다.
🌏 春: 봄 춘 香: 향기 향 祭: 제사 제 -
춘추분
(春秋分)
:
춘분과 추분을 아울러 이르는 말.
🌏 春: 봄 춘 秋: 가을 추 分: 나눌 분 -
춘의도
(春意圖)
:
남녀 간의 성교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 春: 봄 춘 意: 뜻 의 圖: 그림 도 -
춘추함
(春秋銜)
:
춘추관의 직함을 이르던 말.
🌏 春: 봄 춘 秋: 가을 추 銜: 재갈 함 -
춘분점
(春分點)
:
태양이 황도를 따라 남쪽에서 북쪽으로 지나가면서 하늘의 적도와 만나는 점.
🌏 春: 봄 춘 分: 나눌 분 點: 점찍을 점 -
춘관지
(春官志)
:
조선 시대에, 예조 정랑 이맹휴(李孟休)가 왕명에 따라 편찬한 책. 예조에 관한 여러 사례를 수록하고 30여 종의 인용 서목의 부록이 있다. 영조 20년(1744)에 간행되었다. 3권 3책.
🌏 春: 봄 춘 官: 벼슬 관 志: 뜻 지 -
춘천 댐
(春川dam)
:
강원도 춘천시에 있는 발전용의 콘크리트 댐. 1965년에 준공되었다.
🌏 春: 봄 춘 川: 내 천 -
춘추부
(春秋富)
:
나이가 젊음. 앞날이 많이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 春: 봄 춘 秋: 가을 추 富: 부유할 부 -
춘수전
(春收錢)
:
조선 시대에, 상무사(商務社)에서 보부상들로부터 봄에 걷던 돈. 병을 고치는 데에 썼다.
🌏 春: 봄 춘 收: 거둘 수 錢: 돈 전 -
춘도기
(春到記)
:
조선 시대에, 성균관과 사학에서 공부하는 유생들이 출석 일수를 채운 뒤 봄에 보던 시험.
🌏 春: 봄 춘 到: 다다를 도 記: 기록할 기 -
춘양목
(春陽木)
: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과 소천면 일대의 높은 산 지대에서 자라는 소나무. 또는 그 재목. 속이 붉고 단단하며 껍질이 얇아 건축재, 가구재 따위로 많이 쓴다.
🌏 春: 봄 춘 陽: 볕 양 木: 나무 목 -
춘관정
(春官正)
:
고려 시대에, 사천대에 속한 종오품 벼슬.
🌏 春: 봄 춘 官: 벼슬 관 正: 바를 정 -
춘파성
(春播性)
:
맥류(麥類), 채종(菜種) 따위가 봄에 뿌려져 저온기(低溫期)를 거치지 아니하고 이삭이 패거나 꽃이 피는 성질.
🌏 春: 봄 춘 播: 뿌릴 파 性: 성품 성 -
춘추복
(春秋服)
:
봄철과 가을철에 입는 옷.
🌏 春: 봄 춘 秋: 가을 추 服: 입을 복 -
춘궁기
(春窮期)
:
묵은 곡식은 다 떨어지고 햇곡식은 아직 익지 아니하여 식량이 궁핍한 봄철의 때.
🌏 春: 봄 춘 窮: 다할 궁 期: 기약할 기 -
춘순적
(椿筍炙)
:
참죽나무의 어린잎을 데쳐서 찬물에 헹구고 꼭 짠 다음에, 소금ㆍ기름ㆍ후춧가루를 치고 버무려 꼬챙이에 어긋매껴 꿰고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 푼 것을 씌워 기름에 지진 적.
🌏 椿: 참죽나무 춘 筍: 죽순 순 炙: 구울 적 -
춘부장
(椿府丈)
: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椿: 참죽나무 춘 府: 마을 부 丈: 어른 장 - 춘프트 (Zunft) : 중세 말기에 독일 도시에 형성되었던 수공업자들의 동업 조합. 조합 내부에 대해서는 모든 성원(成員) 간의 평등을, 외부에 대해서는 배타적 독점을 원칙으로 하였다.
-
춘택탕
(春澤湯)
:
오령산(五苓散)에서 육계(肉桂)를 빼고 인삼을 더하여 달여 만드는 탕약. 더위 때문에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를 때 쓴다.
🌏 春: 봄 춘 澤: 못 택 湯: 끓일 탕 -
춘향가
(春香歌)
:
판소리 열두 마당의 하나. 고전 소설 <춘향전>을 바탕으로 한 판소리로,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하나이다.
🌏 春: 봄 춘 香: 향기 향 歌: 노래 가 -
춘곤증
(春困症)
:
봄철에 나른하고 피로를 쉽게 느끼는 증상. 환경 변화에 몸이 적응하지 못하여 생긴다.
🌏 春: 봄 춘 困: 괴로울 곤 症: 증세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