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 💕시작 단어 259개
-
춘계 결막염
(春季結膜炎)
:
눈꺼풀 안쪽에 구진(丘疹)이 생기고, 삼출액이 나타나며 가렵고 눈이 부시는 결막염. 봄부터 여름에 걸쳐 증상이 심하고 몇 년 동안 반복된다. 초등학교 정도의 소년기에 많다.
🌏 春: 봄 춘 季: 계절 계 結: 맺을 결 膜: 꺼풀 막 炎: 불탈 염 -
춘수
(春首)
:
이른 봄. 주로 음력 정월을 이른다.
🌏 春: 봄 춘 首: 머리 수 -
춘의
(春意)
:
1
이른 봄에 온갖 것이 피어나는 기분.
2
남녀 간의 정욕.
🌏 春: 봄 춘 意: 뜻 의 -
춘빙
(春氷)
:
봄철의 얼음.
🌏 春: 봄 춘 氷: 얼음 빙 -
춘소
(春宵)
:
봄철의 밤.
🌏 春: 봄 춘 宵: 밤 소 -
춘니
(春泥)
:
얼었던 땅이 봄에 녹아서 된 진창.
🌏 春: 봄 춘 泥: 진흙 니 -
춘삼
(春衫)
:
봄에 입는 홑옷.
🌏 春: 봄 춘 衫: 적삼 삼 -
춘향대제
(春享大祭)
:
이른 봄에 종묘와 사직에 지내는 큰 제사.
🌏 春: 봄 춘 享: 누릴 향 大: 큰 대 祭: 제사 제 -
춘저
(春邸)
:
황제국에서, 황제의 자리를 이을 황제의 아들.
🌏 春: 봄 춘 邸: 집 저 -
춘양
(春陽)
:
1
봄철에 내리쬐는 햇볕.
2
계절이 봄인 때.
🌏 春: 봄 춘 陽: 볕 양 -
춘휘
(春暉)
:
1
봄의 따뜻한 햇빛.
2
부모의 따뜻한 보호 또는 은덕(恩德)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春: 봄 춘 暉: 빛 휘 -
춘금
(春禽)
:
봄철의 새.
🌏 春: 봄 춘 禽: 날짐승 금 -
춘사주
(春蛇酒)
:
봄철에 여러 초목의 새잎을 따서 독사 열 마리와 함께 넣어서 담근 술. 꼭 봉하여 땅에 묻어 두었다가 3년 만에 꺼내어 약으로 먹는다.
🌏 春: 봄 춘 蛇: 뱀 사 酒: 술 주 -
춘포
(春布)
:
비교적 굵은 면사(綿絲)를 날실로 하고 굵은 모시실을 씨실로 하여 짠 천. 빳빳하고 두꺼우며 질긴데, 봄철 옷감으로 쓰인다.
🌏 春: 봄 춘 布: 베 포 -
춘황
(春荒)
:
햇보리가 나올 때까지의 넘기 힘든 고개라는 뜻으로, 묵은 곡식은 거의 떨어지고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아니하여 농촌의 식량 사정이 가장 어려운 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春: 봄 춘 荒: 거칠 황 -
춘풍화기
(春風和氣)
:
봄날의 화창한 기운.
🌏 春: 봄 춘 風: 바람 풍 和: 화목할 화 氣: 기운 기 -
춘부
(椿府/春府)
: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椿: 참죽나무 춘 府: 마을 부 春: 봄 춘 府: 마을 부 -
춘방공자
(春坊公子)
:
조선 시대에, 세자시강원에 속한 시위공자.
🌏 春: 봄 춘 坊: 동네 방 公: 공변될 공 子: 아들 자 -
춘련
(春聯)
:
입춘(立春) 날 문이나 기둥 따위에 써 붙이는 주련(柱聯).
🌏 春: 봄 춘 聯: 잇닿을 련 -
춘반
(春盤)
:
입춘(立春) 날 궁중에서, 진상된 햇나물로 차리던 음식. 민간에서는 쑥떡과 나물로 만들었다.
🌏 春: 봄 춘 盤: 소반 반 -
춘조
(春曹)
:
조선 시대에, 육조 가운데 예악, 제사, 연향, 조빙, 학교, 과거 따위에 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원년(1392)에 두었고 고종 31년(1894)에 없앴다.
🌏 春: 봄 춘 曹: 무리 조 -
춘음
(春陰)
:
봄철의 흐린 날.
🌏 春: 봄 춘 陰: 응달 음 -
춘추
(春秋)
:
중국 주나라가 동쪽으로 도읍을 옮긴 기원전 770년부터 기원전 403년까지 약 360년간의 전란 시대. 공자가 역사책인 ≪춘추≫에서 이 시대의 일을 서술한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 春: 봄 춘 秋: 가을 추 -
춘경추확
(春耕秋穫)
:
봄에 밭을 갈고 가을에 곡식을 거두어들임.
🌏 春: 봄 춘 耕: 밭갈 경 秋: 가을 추 穫: 벼벨 확 -
춘유가
(春遊歌)
:
1
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시집살이하는 부녀자들이 봄놀이를 하면서 친정 생각의 간절함을 읊은 노래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
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조선 광해군 때에, 학자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동락 서원(同洛書院)이 있는 우담동(牛潭洞)에서, 여헌 후손 일가의 부녀자들이 친정에 왔다가 봄놀이하면서 부른 노래이다.
🌏 春: 봄 춘 遊: 놀 유 歌: 노래 가 -
춘래
(春來)
:
1
봄이 옴.
2
봄에 이름.
🌏 春: 봄 춘 來: 올 래 -
춘기
(春機)
:
1
봄의 정취. 또는 봄의 기운.
2
남녀 사이의 정욕.
🌏 春: 봄 춘 機: 틀 기 -
춘후
(春煦)
:
봄볕이 따뜻함.
🌏 春: 봄 춘 煦: 따뜻하게 할 후 -
춘삼월
(春三月)
:
봄 경치가 한창 무르익는 음력 3월.
🌏 春: 봄 춘 三: 석 삼 月: 달 월 -
춘천
(春天)
:
봄철의 하늘.
🌏 春: 봄 춘 天: 하늘 천 -
춘소
(春蔬)
:
봄철의 채소.
🌏 春: 봄 춘 蔬: 푸성귀 소 -
춘설
(春雪)
:
봄철에 오는 눈.
🌏 春: 봄 춘 雪: 눈 설 -
춘한
(春恨)
:
봄날의 경치에 이끌려 마음속에 일어나는 정한(情恨).
🌏 春: 봄 춘 恨: 한할 한 -
춘방원
(春坊院)
:
고려 시대에, 동궁(東宮)의 사무를 담당하던 관청.
🌏 春: 봄 춘 坊: 동네 방 院: 집 원 -
춘진
(春盡)
:
봄이 다 감. 또는 봄이 끝날 무렵.
🌏 春: 봄 춘 盡: 다할 진 -
춘야
(春夜)
:
봄철의 밤.
🌏 春: 봄 춘 夜: 밤 야 -
춘경추수하다
(春耕秋收하다)
:
봄에 밭을 갈고 가을에 곡식을 거두어들이다.
🌏 春: 봄 춘 耕: 밭갈 경 秋: 가을 추 收: 거둘 수 -
춘우수
(春雨水)
:
음력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 春: 봄 춘 雨: 비 우 水: 물 수 -
춘사
(春社)
:
1
중춘(仲春)에, 토신(土神)에게 농사의 순조로움을 비는 제사.
2
봄날에 행운을 비는 말. 서한문에서 쓰는 용어이다.
3
입춘이 지난 뒤 다섯 번째 무일(戊日).
🌏 春: 봄 춘 社: 모일 사 -
춘계
(春季)
:
봄의 시기.
🌏 春: 봄 춘 季: 계절 계 -
춘기 발동기
(春機發動期)
:
이성을 그리는 마음을 느끼기 시작하는 시기. 보통 14~19세에 해당하는데 환경, 습관, 기후, 인종 및 개인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 春: 봄 춘 機: 틀 기 發: 필 발 動: 움직일 동 期: 기약할 기 -
춘신
(春信)
:
봄의 소식. 얼었던 것이 풀리고, 꽃이 피고 새가 울기 시작하는 따위의 자연 현상을 이른다.
🌏 春: 봄 춘 信: 믿을 신 -
춘찰
(春察)
:
강원도 관찰사를 달리 이르던 말. 춘천에 있었기에 이렇게 이른다.
🌏 春: 봄 춘 察: 살필 찰 -
춘당대
(春塘臺)
: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이다.
🌏 春: 봄 춘 塘: 못 당 臺: 돈대 대 -
춘태
(春鮐)
:
봄에 잡은 복어.
🌏 春: 봄 춘 鮐: 복 태 -
춘수
(春愁)
:
봄철에 공연히 일어나는 뒤숭숭한 마음.
🌏 春: 봄 춘 愁: 근심 수 -
춘진하다
(春盡하다)
:
봄이 다 가다.
🌏 春: 봄 춘 盡: 다할 진 -
춘재
(春材)
:
봄에서 여름에 걸쳐 형성되는 목질의 부분. 나이테의 안쪽을 차지하며 추재에 비하여 세포가 크고 세포벽도 얇다.
🌏 春: 봄 춘 材: 재목 재 -
춘경추수
(春耕秋收)
:
봄에 밭을 갈고 가을에 곡식을 거두어들임.
🌏 春: 봄 춘 耕: 밭갈 경 秋: 가을 추 收: 거둘 수 -
춘만
(春滿)
:
‘춘만하다’의 어근. (춘만하다: 봄기운이 가득하다., 매우 평화스럽다.)
🌏 春: 봄 춘 滿: 찰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