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시작 단어 1,955개
-
천축사
(天竺寺)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절. 봉은사(奉恩寺)의 말사(末寺)로,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 天: 하늘 천 竺: 나라 이름 축 寺: 절 사 -
천정
(天井)
:
→ 천장. (천장: 반자의 겉면.)
🌏 天: 하늘 천 井: 우물 정 -
천하석
(天河石)
:
녹색을 띤 미사장석. 예로부터 장식석(裝飾石)으로 많이 쓰였는데 남아메리카의 아마존, 러시아의 우랄 지역에서 많이 난다.
🌏 天: 하늘 천 河: 강물 하 石: 돌 석 -
천미하다
(賤微하다)
:
신분이나 지위 따위가 하찮고 천하다.
🌏 賤: 천할 천 微: 작을 미 -
천하주
(天下主)
:
세상의 주인.
🌏 天: 하늘 천 下: 아래 하 主: 주인 주 -
천의
(薦擬)
:
벼슬아치를 윗자리에 천거하던 일.
🌏 薦: 드릴 천 擬: 헤아릴 의 -
천개지벽
(天開地闢)
:
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開: 열 개 地: 땅 지 闢: 열 벽 -
천열
(淺裂)
:
잎 가장자리의 끝부분이 톱니처럼 얕게 갈라진 형태.
🌏 淺: 얕을 천 裂: 찢을 열 -
천대
(賤待)
:
1
업신여기어 천하게 대우하거나 푸대접함.
2
함부로 다루거나 마구 굴림.
🌏 賤: 천할 천 待: 기다릴 대 -
천번지복
(天飜地覆)
:
하늘과 땅이 뒤집힌다는 뜻으로, 천지(天地)에 큰 변동이 일어나 질서가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飜: 뒤칠 번 地: 땅 지 覆: 엎어질 복 -
천화하다
(遷化하다)
:
1
변하여 바뀌다.
2
고승(高僧)이 죽다. 이 세상의 교화를 마치고 다른 세상의 교화로 옮긴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遷: 옮길 천 化: 될 화 -
천정
(泉亭)
:
샘터에 세운 정자(亭子).
🌏 泉: 샘 천 亭: 정자 정 -
천신하다
(薦新하다)
:
1
철 따라 새로 난 과실이나 농산물을 먼저 신위(神位)에 올리다.
2
무당이 가을이나 봄에 몸주에게 올리는 굿을 하다.
3
처음으로 또는 오랜만에 차례가 돌아와 얻을 수 있게 되다.
🌏 薦: 드릴 천 新: 새로울 신 -
천택
(天澤)
:
1
천자의 은택.
2
하늘과 못이라는 뜻으로, ‘상하(上下)’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하늘의 은혜.
🌏 天: 하늘 천 澤: 못 택 -
천은
(天恩)
:
1
하늘의 은혜.
2
임금의 은덕.
🌏 天: 하늘 천 恩: 은혜 은 -
천생
(賤生)
:
1
천첩에게서 난 자손.
2
주로 남자가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賤: 천할 천 生: 날 생 -
천금자
(千金子)
:
대극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50~70cm이다. 아래쪽 잎은 어긋나고 선 모양이며, 위쪽 잎은 마주나고 피침 모양이다. 여름에 누런빛을 띤 자주색 꽃이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蒴果)이다. 유독 식물로 뿌리와 씨를 약용하는데 지중해와 서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
🌏 千: 일천 천 金: 쇠 금 子: 아들 자 -
천정
(天頂)
:
지구 표면의 관측 지점에서 연직선을 위쪽으로 연장했을 때 천구(天球)와 만나는 점.
🌏 天: 하늘 천 頂: 정수리 정 -
천근
(茜根)
:
꼭두서니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차고 맛이 쓰며, 여러 가지 출혈 증상이나 부인병의 약재로 쓴다.
🌏 茜: 꼭두서니 천 根: 뿌리 근 -
천동하다
(擅動하다)
:
1
함부로 행동하다.
2
허가받아야 할 것을 받지 아니하고 마음대로 처리하다.
🌏 擅: 멋대로 천 動: 움직일 동 -
천첩하다
(臶疊하다)
:
거듭 겹치거나 포개어지다.
🌏 臶: 거듭 천 疊: 겹쳐질 첩 -
천람석
(天藍石)
:
철, 알루미늄 따위의 함수(含水) 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광석. 단사 정계에 속하며, 남색을 띤다.
🌏 天: 하늘 천 藍: 쪽 람 石: 돌 석 -
천이 원소
(遷移元素)
:
주기율표의 제4주기, 제5주기, 제6주기 원소 중에 외각 a궤도함수의 전자 수가 한 개 이상 10개 미만인 원소, 또는 f궤도함수의 전자 수가 한 개 이상 14개 미만인 원소. 원자 번호 21번부터 29번, 39번부터 47번, 57번부터 79번, 그리고 89번 이상의 원소가 포함된다.
🌏 遷: 옮길 천 移: 옮길 이 元: 으뜸 원 素: 흴 소 -
천문천정
(天文天頂)
:
지구 표면의 관측 지점에서 연직선을 위쪽으로 연장했을 때 천구(天球)와 만나는 점.
🌏 天: 하늘 천 文: 글월 문 꾸밀 문 天: 하늘 천 頂: 정수리 정 -
천매
(賤賣)
:
물건 따위를 싸게 팖.
🌏 賤: 천할 천 賣: 팔 매 -
천체학
(天體學)
:
우주의 구조, 천체의 생성과 진화, 천체의 역학적 운동, 거리ㆍ광도ㆍ표면 온도ㆍ질량ㆍ나이 등 천체의 기본 물리량 따위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天: 하늘 천 體: 몸 체 學: 배울 학 -
천흉술
(穿胸術)
:
가슴안 속에 액체 상태의 물질이 괴었을 때, 천자(穿刺) 침으로 이를 뽑아내는 방법.
🌏 穿: 뚫을 천 胸: 가슴 흉 術: 꾀 술 -
천관
(遷官)
:
벼슬을 바꾸어 옮김.
🌏 遷: 옮길 천 官: 벼슬 관 -
천불전
(千佛殿)
:
천불을 모신 전각.
🌏 千: 일천 천 佛: 부처 불 殿: 큰 집 전 -
천수국
(千壽菊)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만수국과 비슷하나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독특한 냄새가 나며 꽃봉오리가 크다. 높이는 45~60cm이며,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고 우상 복엽이다. 6~7월에 붉은색을 띤 노란색 또는 노란색의 두상화(頭狀花)가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관상용이고 멕시코가 원산지이다.
🌏 千: 일천 천 壽: 목숨 수 菊: 국화 국 -
천문대
(天文臺)
:
천문 현상을 관측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 또는 그런 기관.
🌏 天: 하늘 천 文: 글월 문 꾸밀 문 臺: 돈대 대 -
천문동정과
(天門冬正果)
:
천문동으로 만든 정과. 쌀뜨물에 천문동을 담갔다가 심을 빼고 물에 삶아서 쓴맛을 우려낸 뒤에 꿀을 치고 끓여서 만든다.
🌏 天: 하늘 천 門: 문 문 冬: 겨울 동 正: 바를 정 果: 열매 과 -
천지운기
(天地運氣)
:
하늘과 땅이 정하여 준 운명.
🌏 天: 하늘 천 地: 땅 지 運: 운전할 운 氣: 기운 기 -
천만군
(千萬軍)
:
수없이 많은 군사.
🌏 千: 일천 천 萬: 일만 만 軍: 군사 군 -
천태교
(天台敎)
:
천태종의 가르침.
🌏 天: 하늘 천 台: 별 태 敎: 가르칠 교 -
천렵꾼
(川獵꾼)
:
냇물에서 고기 잡는 일을 하는 사람.
🌏 川: 내 천 獵: 사냥할 렵 -
천식
(賤息)
:
천한 자식이란 뜻으로, 남에게 자기 자식을 낮추어 이르는 말.
🌏 賤: 천할 천 息: 숨쉴 식 -
천수대비가
(千手大悲歌)
:
신라 경덕왕 때, 희명이 지은 10구체 향가. 분황사 천수관음 앞에서 이 노래를 불러 눈먼 아들의 눈을 뜨게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千: 일천 천 手: 손 수 大: 큰 대 悲: 슬플 비 歌: 노래 가 -
천상천하 유아독존
(天上天下唯我獨尊)
:
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 天: 하늘 천 上: 위 상 天: 하늘 천 下: 아래 하 唯: 오직 유 我: 나 아 獨: 홀로 독 尊: 높을 존 -
천화판
(天花板)
:
반자틀에 소란을 대고 반자널을 얹은 반자. 우물 반자, 조정 반자, 화반자가 있다.
🌏 天: 하늘 천 花: 꽃 화 板: 널빤지 판 -
천개석
(天蓋石)
:
석굴 건축에서 천장을 덮는 돌.
🌏 天: 하늘 천 蓋: 덮을 개 石: 돌 석 -
천관산
(天冠山)
: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에 있는 산. 전라남도의 도립 공원이다. 높이는 723미터.
🌏 天: 하늘 천 冠: 갓 관 山: 뫼 산 -
천주
(薦主)
:
어떤 사람을 추천하여 준 사람.
🌏 薦: 드릴 천 主: 주인 주 -
천평
(天平)
:
→ 천칭. (천칭: 저울의 하나. 가운데에 줏대를 세우고 가로장을 걸치는데, 양쪽 끝에 똑같은 저울판을 달고, 한쪽에 달 물건을, 다른 쪽에 추를 놓아 평평하게 하여 물건의 무게를 단다.)
🌏 天: 하늘 천 平: 평평할 평 -
천토
(賤土)
:
풍속이 지저분한 시골.
🌏 賤: 천할 천 土: 흙 토 -
천릉
(遷陵)
:
산릉을 옮겨 모심.
🌏 遷: 옮길 천 陵: 큰 언덕 릉 -
천례
(天禮)
:
하늘에 제사 지내는 예(禮).
🌏 天: 하늘 천 禮: 예도 례 -
천로
(泉路)
:
사람이 죽어서 간다고 하는 저승길을 이르는 말.
🌏 泉: 샘 천 路: 길 로 -
천만대
(千萬代)
:
아주 오랫동안 이어지는 세대.
🌏 千: 일천 천 萬: 일만 만 代: 대신할 대 -
천신
(賤臣)
:
천한 신하라는 뜻으로, 신하가 임금을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賤: 천할 천 臣: 신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