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 💕시작 단어 💡지명 분야 16개
-
창원군
(昌原郡)
:
경상남도에 속했던 군.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대산면ㆍ동면ㆍ북면은 창원시로, 구산면ㆍ내서면ㆍ진동면ㆍ진북면ㆍ진전면은 마산시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昌: 창성할 창 原: 근원 원 郡: 고을 군 - 창춘 (Changchun[長春]) : 중국 송화강(松花江)의 지류에 접하여 있는 도시. 징하(京哈) 철도를 비롯한 세 개의 철도가 교차하는 교통 요충지이다. 길림성(吉林省)의 성도(省都)이다.
-
창녕
(昌寧)
:
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는 읍. 쌀, 보리, 콩, 목화 따위의 농산물 집산지이다.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61.41㎢.
🌏 昌: 창성할 창 寧: 편안할 녕 -
창덕
(彰德)
:
→ 장더. (장더: ‘안양’의 옛 이름.)
🌏 彰: 밝을 창 德: 덕 덕 -
창원
(昌原)
:
경상남도 남쪽에 있는 공업 도시. 창원 기계 공업 단지 조성 후 크게 발달하여 1980년에 시로 되었다. 2010년 7월 행정 구역 통합 추진에 따라 마산만(灣)에 있는 수산물ㆍ농산물의 집산지인 마산시, 진해만에 있는 자연 요새지인 진해시와 합쳐져 의창구ㆍ성산구ㆍ마산합포구ㆍ마산회원구ㆍ진해구로 이루어진 통합 시가 되었다. 명승지로 저도(豬島), 몽고정(蒙古井), 월영대(月影臺), 충무공 동상, 성주사(聖住寺) 따위가 있다. 경상남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747.915㎢.
🌏 昌: 창성할 창 原: 근원 원 -
창포강
(Tsangpo江)
:
중국 시짱 자치구의 남부를 흐르는 강. 히말라야산맥 서부에서 시작하여 인도의 아삼(Assam)으로 흘러든다. 길이는 1,450km.
🌏 江: 강 강 -
창바이산맥
(Changbai[長白]山脈)
:
중국 만주 동남부, 압록강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내려 우리나라와의 경계에 있는 산맥. 백두산이 있다.
🌏 山: 뫼 산 脈: 맥 맥 -
창성
(昌城)
:
평안북도 창성군에 있는 면. 군청 소재지이다.
🌏 昌: 창성할 창 城: 재 성 -
창장강
(Changjiang[長江]江)
:
‘양쯔강’의 다른 이름. (양쯔강: 중국의 중심부를 흐르는 아시아에서 제일 큰 강. 티베트고원 동북부에서 시작하여 윈난(雲南)ㆍ쓰촨(四川)ㆍ후베이(湖北)ㆍ장시(江西)ㆍ안후이(安徽)ㆍ장쑤(江蘇) 따위의 성(省)을 거쳐 동중국해로 흘러 들어간다. 이 유역은 예로부터 교통, 산업, 문화의 중심지였다. 길이는 6,300km.)
🌏 江: 강 강 - 창저우 (Changzhou[常州]) : 중국 장쑤성(江蘇省)에 있는 도시. 양쯔강(揚子江) 남쪽 기슭에 있으며, 농산물 집산이 활발하다.
-
창녕군
(昌寧郡)
:
경상남도 북쪽에 있는 군.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특히 양파가 유명하다. 명승지로 관룡사, 진흥왕 순수비, 창녕 석빙고, 영산 만년교, 부곡 온천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창녕, 면적은 532.94㎢.
🌏 昌: 창성할 창 寧: 편안할 녕 郡: 고을 군 - 창더 (Changde[常德]) : 중국 후난성(湖南省) 북부 둥팅호(洞庭湖)의 서쪽 기슭에 있는 도시. 위안장강(沅江江) 하류에 있으며, 교통의 요충지이며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
창선도
(昌善島)
: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에 속하는 섬. 면적은 54.34㎢.
🌏 昌: 창성할 창 善: 착할 선 島: 섬 도 - 창사 (Changsha[長沙]) : 중국 둥팅호(洞庭湖) 남쪽 샹장강(湘江江) 하류의 동쪽 기슭에 있는 도시. 수륙 교통의 요충지이며 후난성(湖南省)의 성도(省都)이다. 면적은 178㎢.
-
창성군
(昌城郡)
:
평안북도 서북부에 있는 군. 본디 고구려 땅이었는데 오랫동안 여진족이 거주하다가 고려 때 되찾았다. 농산ㆍ축산ㆍ광산 따위의 산물이 풍부하며, 명승지로 비래봉ㆍ수풍호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창성, 면적은 1,323㎢. 광복 이후 북한에서는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창성군의 창성면과 신창면의 일부만 합하여 신설하였다.
🌏 昌: 창성할 창 城: 재 성 郡: 고을 군 - 창즈 (Changzhi[長治]) : 중국 산시성(山西省) 동남부에 있는 도시. 교통의 요지로 상업이 성하고 모직물 제조ㆍ양조업 따위가 발달하였으며, 약용 인삼이 특산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