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 💕시작 단어 746개
-
창외
(窓外)
:
창문의 밖.
🌏 窓: 창문 창 外: 바깥 외 -
창밤나비
(窓밤나비)
:
창나방과의 곤충. 편 날개의 길이는 1.5cm 정도이며, 몸과 날개는 검은색이고 앞날개 중앙에 흰색 점, 가장자리에 누런색 점, 뒷날개에는 큰 흰색 점이 있다. 한국, 만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窓: 창문 창 -
창병
(瘡病)
:
피부에 나는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심하면 고름이 생기고 짓무른다.
🌏 瘡: 부스럼 창 病: 병들 병 -
창울
(蒼鬱)
:
‘창울하다’의 어근. (창울하다: 나무가 빽빽하게 우거지고 푸르다.)
🌏 蒼: 푸를 창 鬱: 막힐 울 -
창공
(蒼空)
:
맑고 푸른 하늘.
🌏 蒼: 푸를 창 空: 빌 공 -
창간
(槍杆)
:
창의 자루.
🌏 槍: 무기 창 杆: 쓰러진 나무 간 -
창세기
(創世記)
:
모세 오경 가운데 첫 번째 책. 5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지 창조의 시작, 죄의 기원, 낙원 상실, 이스라엘 족장들의 생애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 創: 비롯할 창 상처 창 다칠 창 벨 창 부스럼 창 처음 창 창작할 창 건물이나구조물을만들 창 늘릴 창 징계할 창 世: 세대 세 記: 기록할 기 -
창선
(彰善)
:
남의 착한 행실을 세상에 드러냄.
🌏 彰: 밝을 창 善: 착할 선 -
창결하다
(悵缺하다/悵觖하다)
:
몹시 서운하고 섭섭하다.
🌏 悵: 원망할 창 缺: 이지러질 결 悵: 원망할 창 觖: 서운해 할 결 -
창대히
(昌大히)
:
세력이 번창하고 왕성하게.
🌏 昌: 창성할 창 大: 큰 대 -
창원군
(昌原郡)
:
경상남도에 속했던 군.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대산면ㆍ동면ㆍ북면은 창원시로, 구산면ㆍ내서면ㆍ진동면ㆍ진북면ㆍ진전면은 마산시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昌: 창성할 창 原: 근원 원 郡: 고을 군 -
창제자
(創製者)
: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들거나 제정한 사람.
🌏 創: 비롯할 창 상처 창 다칠 창 벨 창 부스럼 창 처음 창 창작할 창 건물이나구조물을만들 창 늘릴 창 징계할 창 製: 지을 제 者: 놈 자 -
창덕
(彰德)
:
남의 아름다운 덕이나 어질고 착한 행실을 밝혀 드러냄. 또는 그 덕이나 행실.
🌏 彰: 밝을 창 德: 덕 덕 -
창설하다
(創設하다)
:
기관이나 단체 따위를 처음으로 베풀다.
🌏 創: 비롯할 창 상처 창 다칠 창 벨 창 부스럼 창 처음 창 창작할 창 건물이나구조물을만들 창 늘릴 창 징계할 창 設: 베풀 설 -
창만
(漲滿)
:
물이 불어 넘칠 만큼 가득 참.
🌏 漲: 물 불을 창 滿: 찰 만 - 창자(가) 빠지다 : (속되게) 하는 짓이 줏대가 없고 온당하지 못하다.
-
창랑곡
(滄浪曲)
:
조선 시대의 가사(歌辭). 세상의 부귀공명을 버리고 강호에 노닐면서 세상을 살겠다는 내용으로, 모두 122구로 된 작품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滄: 찰 창 浪: 물결 랑 曲: 굽을 곡 -
창이
(蒼耳)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5미터 정도이고 온몸에 거친 털이 많으며, 잎은 삼각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여름에 노란 두상화(頭狀花)가 피는데 수꽃은 꼭지에 붙고 암꽃은 그 밑에 붙으며, 열매는 수과(瘦果)로 갈고리 모양의 가시와 짧은 털이 있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蒼: 푸를 창 耳: 귀 이 -
창명하다
(唱名하다)
:
이름을 부르다.
🌏 唱: 부를 창 名: 이름 명 -
창머리
(窓머리)
:
창문의 안쪽 바로 가까운 곳.
🌏 窓: 창문 창 -
창졸
(倉卒)
:
미처 어찌할 사이 없이 매우 급작스러움.
🌏 倉: 곳집 창 卒: 마칠 졸 -
창건하다
(創建하다)
:
건물이나 조직체 따위를 처음으로 세우거나 만들다.
🌏 創: 비롯할 창 상처 창 다칠 창 벨 창 부스럼 창 처음 창 창작할 창 건물이나구조물을만들 창 늘릴 창 징계할 창 建: 세울 건 -
창양
(搶攘)
:
‘창양하다’의 어근. (창양하다: 몹시 혼란하고 어수선하다.)
🌏 搶: 부딪칠 창 攘: 물리칠 양 -
창조
(倉曹)
:
고려 초기에, 민관에 속하여 창곡(倉穀)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성종 14년(995)에 상서창부로 고쳤다.
🌏 倉: 곳집 창 曹: 무리 조 -
창서
(暢敍)
:
마음을 명랑하고 후련하게 탁 터놓음.
🌏 暢: 화창할 창 敍: 줄 서 -
창졸하다
(倉卒하다)
:
미처 어찌할 사이 없이 매우 급작스럽다.
🌏 倉: 곳집 창 卒: 마칠 졸 -
창미닫이
(窓미닫이)
:
→ 미닫이창. (미닫이창: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게 되어 있는 창.)
🌏 窓: 창문 창 -
창종
(瘡腫)
:
1
헌데가 생겨서 부은 것.
2
헌데나 부스럼.
🌏 瘡: 부스럼 창 腫: 부스럼 종 -
창합풍
(閶闔風)
: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 閶: 문 창 闔: 문짝 합 風: 바람 풍 -
창유
(窓牖)
:
공기나 햇빛을 받을 수 있고,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벽이나 지붕에 낸 문.
🌏 窓: 창문 창 牖: 들창 유 -
창부
(倡夫)
:
1
남자 광대.
2
무당의 남편. 주로 음악을 맡아본다.
3
무당이 위하는 광대의 혼령.
... (총 4개의 의미)
🌏 倡: 여광대 창 夫: 남편 부 -
창양
(瘡瘍)
:
몸 겉에 생기는 여러 가지 외과적 질병과 피부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 瘡: 부스럼 창 瘍: 종기 양 -
창금장
(戧金匠)
:
창금을 하는 장인.
🌏 戧: 다칠 창 金: 쇠 금 匠: 장인 장 -
창립하다
(創立하다)
:
기관이나 단체 따위를 새로 만들어 세우다.
🌏 創: 비롯할 창 상처 창 다칠 창 벨 창 부스럼 창 처음 창 창작할 창 건물이나구조물을만들 창 늘릴 창 징계할 창 立: 설 립 -
창자막힘증
(창자막힘症)
:
창자의 일부가 막혀 통과 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 창자 안이 외부 압박, 유착, 염전, 마비, 종양 따위에 의하여 막힘 또는 협착 상태가 되어 나타나며 복통, 복부 팽만, 구토, 가스 배출 정지 따위의 증상을 일으킨다.
🌏 症: 증세 증 -
창면
(창麵)
:
끓는 물에 그릇째 넣어 익힌 얇은 녹말 조각을 걀쭉걀쭉하게 채를 쳐서 꿀을 탄 오미자 국물에 넣어 먹는 음식.
🌏 麵: 밀가루 면 -
창부
(娼婦)
:
돈을 받고 몸을 파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여자.
🌏 娼: 몸파는 여자 창 婦: 아내 부 -
창무하다
(暢茂하다)
:
풀과 나무가 잘 자라서 무성하다.
🌏 暢: 화창할 창 茂: 우거질 무 -
창축하다
(創築하다)
:
성 따위를 처음으로 축조하다.
🌏 創: 비롯할 창 상처 창 다칠 창 벨 창 부스럼 창 처음 창 창작할 창 건물이나구조물을만들 창 늘릴 창 징계할 창 築: 쌓을 축 -
창 다듬개
(槍다듬개)
:
돌창의 끝이나 자루 따위를 다듬는 오목날 밀개 모양의 연장.
🌏 槍: 무기 창 -
창적하다
(暢適하다)
:
유쾌하고 즐겁다.
🌏 暢: 화창할 창 適: 갈 적 - 창 : 천이나 가죽 따위의 얇은 물건이 해져서 뚫린 구멍.
-
창자 연결술
(창자連結術)
:
창자의 한 부분에 병이 생겼을 때에, 그 부분을 절제한 후 딴 부분과 접합하여 서로 통하게 하는 수술.
🌏 連: 잇닿을 연 結: 맺을 결 術: 꾀 술 -
창자꼬임증
(창자꼬임症)
:
창자가 창자 사이막을 축으로 하여 뒤틀리거나 서로 꼬이는 병.
🌏 症: 증세 증 -
창변
(窓邊)
:
창문의 가장자리. 또는 창문과 가까운 곳.
🌏 窓: 창문 창 邊: 가 변 -
창자간막 동맥
(창자間膜動脈)
:
대동맥으로부터 창자간막 안을 거쳐 위창자관에 분포하는 동맥. 상(上) 창자간막 동맥과 하(下) 창자간막 동맥으로 나뉜다.
🌏 間: 사이 간 膜: 꺼풀 막 動: 움직일 동 脈: 맥 맥 -
창흔
(瘡痕)
:
부스럼이 났던 자국이나, 칼에 다친 흉터.
🌏 瘡: 부스럼 창 痕: 흉터 흔 - 창춘 (Changchun[長春]) : 중국 송화강(松花江)의 지류에 접하여 있는 도시. 징하(京哈) 철도를 비롯한 세 개의 철도가 교차하는 교통 요충지이다. 길림성(吉林省)의 성도(省都)이다.
-
창백히
(蒼白히)
:
1
달빛이 맑고 깨끗하게.
2
얼굴빛이나 살빛이 핏기가 없고 푸른 기가 돌 만큼 해쓱하게.
3
불빛 따위가 환하지 아니하고 흐릿하게.
🌏 蒼: 푸를 창 白: 흰 백 -
창고 기탁 계약
(倉庫寄託契約)
:
창고업자와 물건을 맡기는 사람과의 사이에 맺는 계약.
🌏 倉: 곳집 창 庫: 곳집 고 寄: 부칠 기 託: 부탁할 탁 契: 맺을 계 約: 맺을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