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 💕시작 단어 💡없음 품사 44개
-
징고
(澄高)
:
‘징고하다’의 어근. (징고하다: 달이 높이 떠서 맑다., (비유적으로) 인품이 맑고 높다.)
🌏 澄: 맑을 징 高: 높을 고 - 징글 벨 (Jingle Bell) : 크리스마스 캐럴의 하나. 본디 미국 민요이다.
-
징계 위원회
(懲戒委員會)
:
징계 사건을 처리하기 위하여 구성한 위원회.
🌏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委: 맡길 위 員: 관원 원 會: 모일 회 -
징병 기피죄
(徵兵忌避罪)
:
군대에 복무하여야 할 의무를 벗어나기 위하여 도망, 신체 훼손 따위의 행위를 함으로써 성립하는 죄.
🌏 徵: 부를 징 兵: 군사 병 忌: 꺼릴 기 避: 피할 피 罪: 허물 죄 -
징크 철판
(zinc凸版)
:
아연판에 찍은 글자나 선, 그림 이외의 부분을 질산으로 부식시켜 만든 볼록판.
🌏 凸: 볼록할 철 版: 널조각 판 -
징집 연도
(徵集年度)
:
징병되는 나이에 이른 연도.
🌏 徵: 부를 징 集: 모을 집 年: 해 연 度: 법도 도 - 징얼 : ‘징얼거리다’의 어근. (징얼거리다: 몸이 불편하거나 마음에 못마땅하여 짜증을 내며 자꾸 중얼거리거나 보채다.)
-
징명
(澄明)
:
‘징명하다’의 어근. (징명하다: 깨끗하고 맑다.)
🌏 澄: 맑을 징 明: 밝을 명 -
징원당 우사경
(澄源堂右司經)
:
고려 시대에, 징원당에 속한 벼슬. 공양왕 3년(1391)에 세자우사경을 고친 것이다.
🌏 澄: 맑을 징 源: 근원 원 堂: 집 당 右: 오른쪽 우 司: 맡을 사 經: 경서 경 -
징산 철도
(Jingshan[京山]鐵道)
:
중국 베이징과 산하이관(山海關) 사이를 잇는 철도. 만주 지방으로 직통하는 중요 간선으로 1901년에 개통되었으며, 중국 철도의 선구가 되었다. 길이는 423km.
🌏 鐵: 쇠 철 道: 길 도 -
징광 철도
(Jingguang[京廣]鐵道)
:
중국의 베이징(北京)과 광저우(廣州) 사이를 잇는 남북 종관(縱貫) 철도. 길이는 2,324km.
🌏 鐵: 쇠 철 道: 길 도 -
징징
(澄澄)
:
‘징징하다’의 어근. (징징하다: 매우 맑다.)
🌏 澄: 맑을 징 澄: 맑을 징 -
징계 면직
(懲戒免職)
:
부정을 저지르거나 부당 행위를 한 공무원을 벌로써 그 직위나 직무에서 물러나게 함.
🌏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免: 면할 면 職: 벼슬 직 -
징계 처분
(懲戒處分)
:
공무원의 복무 의무 위반 행위에 대하여 징계로서 내리는 행정 처분. 파면, 해임, 정직, 감봉, 견책이 있다.
🌏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處: 곳 처 分: 나눌 분 -
징계 사건
(懲戒事件)
:
징계 사유에 해당하여 징계 절차에 회부할 수 있거나 이미 회부된 사건.
🌏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事: 일 사 件: 사건 건 -
징크 평판
(zinc平版)
:
아연을 판재(版材)로 한 인쇄 평판.
🌏 平: 평평할 평 편편할 편 版: 널조각 판 -
징상
(澄爽)
:
‘징상하다’의 어근. (징상하다: 마음이 맑고 상쾌하다.)
🌏 澄: 맑을 징 爽: 시원할 상 -
징계 면관
(懲戒免官)
:
부정을 저지르거나 부당 행위를 한 공무원을 벌로써 그 직위나 직무에서 물러나게 함.
🌏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免: 면할 면 官: 벼슬 관 -
징세 청부제
(徵稅請負制)
:
나라에서 세금을 거둘 때, 일정 금액으로 민간의 조세 청부인에게 도급을 주어 그 사람의 계산에 따라 세금을 거두던 제도. 고대 로마 제국 및 근세의 절대주의 국가에서 행하였다.
🌏 徵: 부를 징 稅: 세금 세 請: 청할 청 負: 짐질 부 制: 억제할 제 -
징병 검사
(徵兵檢査)
:
‘병역판정검사’의 전 용어. (병역 판정 검사: 징집 대상자를 소집하여, 군대에서 복무할 자격이 되는지 신체나 신상 따위를 검사하는 일.)
🌏 徵: 부를 징 兵: 군사 병 檢: 검사할 검 査: 사실할 사 -
징계 해고
(懲戒解雇)
:
사칙(社則)이나 규율 따위를 어긴 벌로서 행한 해고.
🌏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解: 풀 해 雇: 품팔 고 -
징병 종결 처분
(徵兵終決處分)
:
지방 병무청장이 병역 판정 검사를 받은 남자에 대하여, 현역 입영, 보충역 편입, 징집 면제, 병역 면제, 징병 처분 연기 따위를 결정하는 처분.
🌏 徵: 부를 징 兵: 군사 병 終: 마칠 종 決: 결정할 결 處: 곳 처 分: 나눌 분 -
징한선 사건
(Jinghan[京漢]線事件)
:
중국 징한 철도 총공회(總工會)의 성립을 방해하기 위해 벌인 총파업을 군벌 우페이푸(吳佩孚)가 1923년 2월 7일에 무력으로 탄압한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중국 노동 운동은 한때 악화되었다.
🌏 線: 선 선 事: 일 사 件: 사건 건 -
징발 집행관
(徵發執行官)
:
징발 영장에 의하여 징발을 집행하는 사람.
🌏 徵: 부를 징 發: 필 발 執: 잡을 집 行: 다닐 행 官: 벼슬 관 -
징발 영장
(徵發令狀)
:
징발을 집행하기 위하여 징발관이 발행하는 영장.
🌏 徵: 부를 징 發: 필 발 令: 명령할 영 狀: 문서 장 -
징한 철도
(Jinghan[京漢]鐵道)
:
중국 베이징과 한커우(漢口) 사이를 잇는 철도. 1898년에서 1906년에 완성되었으며 중일 전쟁 때 파괴되었다가 남부의 웨한 철도(粤漢鐵道)에 연결되어 징광 철도(京廣鐵道)로 불리고 있다. 중국의 남북 종관(縱貫) 철도의 북반부를 이루며, 허베이(河北)ㆍ허난(河南)ㆍ후베이(湖北)의 각 성을 관통한다. 길이는 1,220km.
🌏 鐵: 쇠 철 道: 길 도 -
징계 위원
(懲戒委員)
:
징계 위원회를 구성하는 위원.
🌏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委: 맡길 위 員: 관원 원 -
징계 사범
(懲戒事犯)
:
징계를 받아야 할 불법 행위. 또는 그런 행위를 저지른 사람.
🌏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事: 일 사 犯: 범할 범 -
징원당 좌사경
(澄源堂左司經)
:
고려 시대에, 징원당에 속한 벼슬. 공양왕 3년(1391)에 세자좌사경을 고친 것이다.
🌏 澄: 맑을 징 源: 근원 원 堂: 집 당 左: 왼쪽 좌 司: 맡을 사 經: 경서 경 -
징병 제도
(徵兵制度)
:
국가가 국민 모두에게 강제적으로 병역의 의무를 지우는 의무 병역 제도.
🌏 徵: 부를 징 兵: 군사 병 制: 억제할 제 度: 법도 도 -
징정
(澄淨)
:
‘징정하다’의 어근. (징정하다: 물이 맑고 깨끗하다.)
🌏 澄: 맑을 징 淨: 깨끗할 정 - 징건 : ‘징건하다’의 어근. (징건하다: 먹은 것이 잘 소화되지 아니하여 더부룩하고 그득한 느낌이 있다.)
-
징수 의무자
(徵收義務者)
:
세금을 내야 할 사람으로부터 세금을 거두어 납부하는 사람. 원천 징수의 경우 원천 소득의 지급자가 이에 해당한다.
🌏 徵: 부를 징 收: 거둘 수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務: 힘쓸 무 者: 놈 자 -
징춘 유적
(Jingcun[荊村]遺跡)
:
중국 산시성(山西省) 윈청시(運城市) 완룽현(萬榮縣) 징춘에 있는 신석기 시대의 유적. 움집터가 3층에 걸쳐 있고, 두 개의 가마터에서는 채도(彩陶)ㆍ흑도(黑陶)ㆍ회도(灰陶) 따위가 나왔다.
🌏 遺: 남길 유 跡: 자취 적 -
징청
(澄淸)
:
‘징청하다’의 어근. (징청하다: 물 따위가 썩 맑고 깨끗하다.)
🌏 澄: 맑을 징 淸: 맑을 청 -
징세 편의의 법칙
(徵稅便宜의法則)
:
세금을 거두어들이는 절차가 편리하여야 한다는 원칙. 영국의 스미스의 과세 사대 원칙 및 독일의 바그너의 조세 원칙 가운데 하나이다.
🌏 徵: 부를 징 稅: 세금 세 便: 편할 편 宜: 마땅할 의 法: 법도 법 則: 법 칙 -
징철
(澄澈)
:
‘징철하다’의 어근. (징철하다: 속이 들여다보일 정도로 끝없이 맑다.)
🌏 澄: 맑을 징 澈: 물 맑을 철 - 징기스 칸 (Jinghis Khan) : → 칭기즈칸. (칭기즈 칸: 몽골 제국의 제1대 왕(1167?~1227). 본명은 테무친. 한자식 이름은 성길사한(成吉思汗). 몽골족을 통일하고 이 칭호를 받아 몽골 제국의 칸이 되었다. 중앙아시아를 평정하는 한편, 서양 정벌로 동서양에 걸친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재위 기간은 1206~1227년이다.)
-
징병 적령
(徵兵適齡)
:
병역법에 따라 병역 판정 검사를 받아야 할 연령. 우리나라는 만 19세로 정하고 있다. 다만, 군(軍)에서 필요로 하는 인원과 병역 자원의 수급 상황 따위를 고려하여 19세가 되는 사람 중 일부를 20세가 되는 해에 병역 판정 검사를 받게 할 수 있다.
🌏 徵: 부를 징 兵: 군사 병 適: 갈 적 齡: 나이 령 -
징병 연령
(徵兵年齡)
:
병역법에 따라 병역 판정 검사를 받아야 할 연령. 우리나라는 만 19세로 정하고 있다. 다만, 군(軍)에서 필요로 하는 인원과 병역 자원의 수급 상황 따위를 고려하여 19세가 되는 사람 중 일부를 20세가 되는 해에 병역 판정 검사를 받게 할 수 있다.
🌏 徵: 부를 징 兵: 군사 병 年: 해 연 齡: 나이 령 -
징집 면제
(徵集免除)
:
병역 판정 검사의 결과, 복무에 부적합하거나 그 밖의 사정으로 징집을 면제하는 일.
🌏 徵: 부를 징 集: 모을 집 免: 면할 면 除: 덜 제 -
징벌 관세
(懲罰關稅)
:
상대국이 자기 나라를 차별 대우 하거나 비우호적으로 대하였을 때, 그에 대한 보복으로 상대국의 수입 상품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
🌏 懲: 혼날 징 罰: 벌줄 벌 關: 빗장 관 稅: 세금 세 -
징세 도급제
(徵稅都給制)
:
나라에서 세금을 거둘 때, 일정 금액으로 민간의 조세 청부인에게 도급을 주어 그 사람의 계산에 따라 세금을 거두던 제도. 고대 로마 제국 및 근세의 절대주의 국가에서 행하였다.
🌏 徵: 부를 징 稅: 세금 세 都: 도읍 도 給: 줄 급 制: 억제할 제 -
징집 연기
(徵集延期)
:
부양가족이 있거나 원양(遠洋)ㆍ국외를 왕래하는 일, 범죄, 가사 사정, 재학, 유학, 신체검사 결과 따위의 이유로 징집을 연기하는 일.
🌏 徵: 부를 징 集: 모을 집 延: 끌 연 期: 기약할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