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시작 단어 252개
- 자연 광선 (自然光線) : 램프ㆍ전구 따위의 인공적인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아닌, 태양 따위의 천연의 빛.
- 자연 취수 (自然取水) : 강물을 막아 수면을 높이지 아니하고 그 물을 직접 수로로 끌어 올려 물을 대거나 저장하는 일. 관개용수 및 공업용수 공급이 필요할 때 한다.
- 자연범 (自然犯) : 법률 규범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그 부당성이 자명한, 행위 자체가 반사회적이고 반도덕적인 범죄. 살인ㆍ강도ㆍ방화 따위가 이에 속한다.
- 자연 잔류 자기 (自然殘留磁氣) : 지구 자기로 인하여 암석이 자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기. 화산암이나 수성암의 잔류 자기를 통하여 지질 시대의 지구 자기에 관한 지식을 알 수 있다.
- 자연과 (自然科) : 초등학교 교과의 하나. 일상생활 속에 나타나는 자연 사물과 현상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관찰하고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그 목적이다.
- 자연식품 (自然食品) : 방부제나 인공 색소 따위를 넣지 아니한 자연 그대로의 식품.
- 자연 접지체 (自然接地體) : 위험한 전압이 사람의 몸에 걸리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기 설비의 접지체로 이용하는 지하 시설물. 수도관, 철근 콘크리트 기초, 케이블의 강철 띠 따위를 쓰는데 접지 공사 작업량이 적어서 경제적이나 위험하고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자연초 (自然草) :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 인공적으로 재배하는 풀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 자연 방출 (自然放出) : 들뜬상태에 있는 원자, 분자, 원자핵 따위가 외부 전기장의 작용 없이 스스로 빛 양자를 복사(輻射)하는 현상.
- 자연 방임 상태 (自然放任狀態) : 농작물 따위를 인위적으로 돌보지 않고 제멋대로 자라도록 놓아둔 상태.
- 자연하다 (自然하다) : 저절로 되어 억지나 거짓이 없다.
- 자연즙 (自然汁) : 어떤 물질에 다른 물기를 더하지 아니하고 그 자체만을 짜낸 액체.
- 자연옥 (自然玉) : 자연계에서 캐내는 옥.
- 자연 도태의 만능 (自然淘汰의萬能) : 생물의 몸속에서도 자연 선택이 일어나 유전 인자 상호 간에 생존 경쟁이 일어난다고 하는 이론. 독일의 유전학자 바이스만이 주장한 신다윈설의 중심 사상으로, 생존 경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 (自然哲學의數學的原理) : 영국의 뉴턴이 지은 물리학서. 역학 및 우주론에 관한 다년간의 연구를 집대성한 것으로, 물체의 운동과 힘과의 관계를 관성, 가속도, 작용 반작용의 법칙과 만유인력에 의하여 통일적으로 파악한 저서이다. 만유인력의 법칙을 처음으로 세상에 널리 알렸다. 1687년에 간행되었다.
- 자연 인류학 (自然人類學) : 생물로서의 인간을 생물학의 입장에서 연구하는 학문. 인류의 진화, 변이, 적응 따위가 중심 과제가 된다.
- 자연 수분 (自然受粉) : 식물에서 곤충, 바람, 물 따위에 의하여 저절로 이루어지는 가루받이.
- 자연 부락 (自然部落) : 취락(聚落)으로서 한 무리를 이루고, 사회생활의 기초 단위가 되는 촌락.
- 자연외도 (自然外道) : 모든 현상은 어떠한 원인이 있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저절로 생긴다는 사견(邪見)을 가진 외도(外道).
- 자연 신화 (自然神話) : 자연 현상이나 자연물의 기원, 상태, 활동 따위를 설명하는 신화.
- 자연미 (自然美) : 1 자연 경치의 아름다움. 2 사람의 손길이 가지 아니한 본래의 아름다움.
- 자연목적 (自然目的) : 합목적인 내부 구조를 가지는 자연물, 곧 유기체를 이르는 말. 칸트(Kant, I.)가 ≪판단력 비판≫에서 사용한 용어이다.
- 자연 분만 (自然分娩) : 제왕 절개 수술 따위의 인공적인 도움 없이 임산부의 자연적인 분만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출산.
- 자연 발화 (自然發火) : 물질이 상온에서 스스로 불이 붙어 연소되는 현상.
- 자연재해 (自然災害) : 태풍, 가뭄, 홍수, 지진, 화산 폭발, 해일 따위의 피할 수 없는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재해.
- 자연영양 (自然營養) : 천연물에서 그대로 섭취하는 영양. 인공영양에 상대하여 모유(母乳)에서 섭취하는 영양을 이른다.
- 자연보험료 (自然保險料) : 생명 보험을 계약할 때, 나이가 많아질수록 사망 위험도 높아짐을 고려하여 계산해 낸 보험료.
- 자연 원료 (自然原料) : 자연에서 직접 얻을 수 있고 공업적 가공을 거치지 아니한 원료.
- 자연 신학 (自然神學) : 신의 존재 및 그 진리의 근거를 초자연적인 계시나 기적에서 구하지 아니하고, 인간의 이성이 인식할 수 있는 자연적인 것에서 구하는 신학. 초자연의 특정한 교리에 의지하는 신학과 대응하는 것으로, 이신론이 그 전형이라 할 수 있다.
- 자연지세 (自然地勢) : 자연 그대로 있는 지형의 형세.
- 자연화 (自然畫) : 꽃이나 새 또는 그 밖의 짐승과 풍경을 그린 그림. 풍경화, 동물화, 정물화 따위가 있다.
- 자연 (瓷硯) : 도자기로 만든 벼루.
- 자연 집단 (自然集團) : 생물 진화의 기본 단위. 자연조건 아래에서 번식을 통하여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개체군을 이른다.
- 자연 야생 동물 공원 (自然野生動物公園) : 야생의 자연미를 살리기 위하여 야생 동물을 놓아기르는 공원. 휴식, 관광, 자연 학습의 장(場)으로 이용된다.
- 자연호 (自然湖) : 자연적으로 생긴 호수.
- 자연 필연성 (自然必然性) : 자연법칙에 나타나는 인과적 필연성. 우연이나 자유도 있을 수 없는 필연성을 이른다.
- 자연적 법칙 (自然的法則) : 자연계의 모든 사물을 지배하는 원인과 결과의 필연적 법칙.
- 자연의 인과성 (自然의因果性) : 자연계를 지배하고, 모든 자연 현상에 일관되어 있는 원인과 결과의 법칙. 칸트 철학에서는 자유의 인과성과 대립하는 의미로, 자연은 반드시 선행하는 것을 원인으로 하는 결과만을 낳으며, 이 비약(飛躍)이 불가능한 데에 자연의 인과성이 있다고 본다.
- 자연 감모 (自然減耗) : 생산품이나 원료, 자재 따위가 증발하거나 부서지거나 하여 저절로 줄어드는 일.
- 자연법학 (自然法學) : 자연법에 근거를 두고 사회 질서와 인위법을 통일적으로 구성하려고 하는 학문 체계. 흐로티위스(Grotius, H.), 홉스, 볼프, 루소, 칸트 등이 그 대표자이다.
- 자연파 (自然派) : 서정적인 농촌의 풍경화를 주로 그렸던 근대 미술의 한 유파. 영국의 풍경화파와 프랑스의 바르비종파가 있으며, 영국의 터너(Turner, W.), 프랑스의 밀레 등이 대표적이다.
- 자연 철학 (自然哲學) : 자연 현상의 바탕이 되는 형이상학적 원리를 연구하며, 자연 과학의 인식의 기초와 그 근본을 밝히려는 철학. 과학 철학이 인류의 자연에 대한 접근, 그 인식론적ㆍ방법론적인 문제에 제한되는 데 비해 좀 더 본질적인 자연 자체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 자연 (自然) : 1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저절로 생겨난 산, 강, 바다, 식물, 동물 따위의 존재. 또는 그것들이 이루는 지리적ㆍ지질적 환경. 2 사람과 사물의 본성이나 본질. 3 의식이나 경험의 대상인 현상의 전체. ... (총 7개의 의미)
- 자연빙 (自然氷) : 지구상에서 계절적 또는 영속적으로 얼어 버린 물.
- 자연변증법 (自然辨證法) : 마르크스ㆍ엥겔스의 변증법으로 파악된 자연관. 기계론적 자연관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물질이 상호 연관하면서 전체로써 변증법적 운동을 보여 준다고 한다.
- 자연 보호 (自然保護) : 인류의 생활 환경으로서의 자연이 파괴되지 아니하도록 지키려고 그 파괴의 원인을 밝히고 미리 막으며, 더 좋은 환경으로 만들어 인류의 생명을 보존하는 데에 이바지하는 일.
- 자연사 박물관 (自然史博物館) : 자연의 역사에 관한 자료를 수장한 박물관. 곧 생물학, 인류학, 고생물학 따위에 관련된 자료를 다룬다.
- 자연 채권 (自然債權) : 빌려 쓴 사람이 채무를 갚지 아니하더라도 빌려준 사람이 그 이행을 소송으로서 요구하지 못하는 채권.
- 자연교 (自然敎) : 종교의 발달 과정에서, 국민적 또는 세계적 종교에 이르기 이전에 생겨난 자연 발생의 원시적 종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물 숭배, 다신교, 자연 숭배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 자연 실재론 (自然實在論) : 감각에 의한 인식이 인식의 전부이며, 객관적 실재가 이미 감각에 주어져 있다고 보는 인식론. 감각에 주어진 것 모두가 객관적으로 실재한다고 보는 이론이다.